공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21. 병원체의 탈출
21. 병원체의 탈출1. 병원체의 탈출 개요• 병원소가 있다는 것만으로는 감염병이 전파되지 않으며, 병원체가 병원소를 탈출할수 있는 경로가 필요하다. 감염원으로부터 탈출하는 경로는 병원체가 성장하는숙주의 장소에 따라 다르다.• 주로 호흡기, 소화기, 비뇨기, 개방병소, 기계적 탈출로 구분된다. 2. 병원체의 탈출 경로1) 호흡기계 탈출(1) 호흡기는 가장 흔한 병원체 배출의 경로로, 가장 많으며 가장 위험한 탈출구이다.(2)코, 인두, 후두, 기도, 기관지, 폐, 입(기침, 재채기, 담화) 등을 통해 공기에 의해멀리까지 전파된다.(3)감기, 폐결핵, 디프테리아, 홍역, C O VID-19, 인플루엔자 등이 이에 해당한다. 2) 소화기계 탈출(1) 분변, 침, 토사물 등을 통하여 탈출한다.(2) 세균성..
공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19. 병원체
19. 병원체1. 병원체의 개요• 숙주에 침범하여 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병원성 미생물을 의미한다.• 종류로는 기생충, 곰팡이, 스피로헤타, 세균, 바이러스, 리케차 등이 있다. 2. 병원체의 종류1) 동물성 기생생물(1) 단세포 동물로서 아메바, 플라스모디아, 트리코모나스 등과 같은 원충류와 단세포이상인 후생동물 등이 있다.(2)회충, 십이지장충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2) 식물성 기생생물• 곰팡이, 병원성 진균, 사상균 등이 있다.3) 스피로헤타• 가늘고 길며 편모가 없고 회전운동으로 움직인다. 매독균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4) 세균(Ba cteria )(1) 다양한 형태의 세균이 병을 일으킬 수 있으나 모든 세균이 문제가 되는 것은아니고 일부 병원성 세균이 문제가 된다.(2) 세균의 종..
공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16. 감염병의 분류
16. 감염병의 분류1. 시간 경과의 특성에 따른 분류1) 급성 감염병• 병원체의 체내 침입에 의해 빠른 시간 내에 심한 증상을 나타내는 감염병이다.• 여기에 해당하는 감염병에는 콜레라, 장티푸스, 세균성 이질, 페스트, 폴리오,일본뇌염, 유행성 간염, 디프테리아, 백일해,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인플루엔자 등이 있다.2) 만성 감염병• 서서히 발생하여 3개월 이상 오래 걸리는 감염병을 뜻한다.• 여기에 해당하는 감염병에는 결핵,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성병, 한센병, B형간염 등이 있다. 2. 병원체의 종류에 따른 분류1) 세균성 감염병• 병원체가 세균인 감염병이다.• 여기에 해당하는 감염병에는 결핵, 폐렴, 콜레라, 장티푸스, 세균성 이질, 페스트,디프테리아, 백일해, 성홍열, 렙토스피라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