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730)
공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51. 인수 공통 감염병의 종류(결핵 등) 51. 인수 공통 감염병의 종류(결핵 등)3) 결핵(Tub erculosis)(1) 정의- 결핵균(Mycoba cterium tuberculosis com plex)에 의해 발생하는인수공통 감염병이다.(2) 병원소- 사람과 소(3) 전파경로- 결핵 환자의 기침이나 재채기로 비말 감염(가장 흔한 전파경로)- 밀집 생활 환경에서 직접 감염- 결핵에 걸린 소의 우유 제품을 통한 감염 (4) 잠복기- 1~2년(5) 임상증상- 기침, 객혈, 무력감, 식욕부진, 체중감소, 발열,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6) 진단- 투베르쿨린 검사- 흉부 X-선 촬영- 객담검사 (7) 치료- 새로 발견된 환자에게 즉각적인 항결핵요법을 시작하는 것이 여러 면에서 중요하다.- 결핵균은 특징적으로 아주 서서히 자라기 때문에 1~..
공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50. 인수 공통 감염병의 종류(탄저 등) 50. 인수 공통 감염병의 종류(탄저 등) • 소와 사람- 탄저,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 결핵, 브루셀라증 등• 돼지와 사람- 일본뇌염, 렙토스피라증 등• 쥐와 사람- 페스트, 렙토스피라증, 양충병 등• 개와 사람- 공수병, 톡포자충증 등• 닭, 오리와 사람- 동물인플루엔자 인체감염병  1) 탄저(Anthra x)(1) 정의- 탄저균(Ba cillus a nthra cis) 감염에 의한 인수 공통 질환이다.(2) 병원소- 소, 산양 등(3) 전파경로- 토양에 있던 탄저균 아포가 동물에게 옮겨가 동물을 감염시키고, 감염된 동물을매개로 하여 인체 감염이 일어나는데 아포 흡입, 섭취, 상처나 찰과상 부위로의아포 유입 등이다. (4) 잠복기- 1일 ~ 8주(보통 5일)이며 노출량과 노출경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공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49. 기타 기생충 감염병 49. 기타 기생충 감염병 1. 구충증(Hookw orm d isea se)• 구충은 십이지장충과 아메리카구충이 있는데, 우리나라는 십이지장충이 많고미주에서는 아메리카구충이 대부분을 차지한다.1) 전파경로• 인체의 소장에 침입하여 4~5주 후면 산란을 하여 분변으로 나와 자연환경에서부화하고 손, 발 등의 피부로 경피적 침입을 한다.2) 감염증상• 침입 초기에는 기침, 구역, 구토도 있으며, 성충이 되면 빈혈증, 소화 장애가나타난다.  3) 예방대책• 정기적인 구충제 복용, 인분의 위생적 처리• 특히 경피적 침입을 하므로 인분을 사용한 밭에서 작업을 할 때에는 장화와 장갑을사용하여 피부를 보호하여야 한다.    2. 유구조충증(갈고리촌충, Intestina l ta enia sis)• 돼지고기를 생식하는 ..
공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48. 기생충 감염병의 종류 2 48. 기생충 감염병의 종류 24) 간흡충증(간디스토마, clonorchia sis)• 우리나라 낙동강, 영산강, 금강, 한강 등의 강변지역 주민이 많이 감염되며,민물고기를 생식하는 생활습관을 가지고 있는 지역 주민이 특히 많이 감염된다.(1) 전파경로- 성충은 사람, 개, 고양이 등의 분변으로 충란이 되어 배출된다.- 제1중간숙주인 쇠우렁이, 제2중간숙주인 담수어(참붕어, 피라미, 잉어 등)등을거친다.- 담수어를 섭취한 민물고기를 생식하거나 이를 조리한 기구 등을 통해 감염된다.(2) 감염증상- 일반적으로 간 및 비장비대, 복수, 소화기장애, 황달 등이 나타난다.  (3) 예방대책- 구충제 복용 및 민물고기의 생식을 금한다.- 손이나 도마, 조리 기구를 위생적으로 관리한다.- 인분 처리를 철저히 하고,..
공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47. 기생충 감염병의 종류 47. 기생충 감염병의 종류 1) 회충증(Asca ria sis) • 회충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높은 감염률을나타내는 기생충이다.(1) 전파경로- 회충수정란이 변과 함께 배출되어 채소밭에 뿌려지면 오염된 야채, 불결한 손,파리의 매개에 의한 음식물의 오염으로 경구침입을 하고 위에서 부화하여 심장,폐포, 기관지, 식도를 거쳐 소장에 정착한다. (2) 감염증상- 권태, 미열이 있고 구토, 변비, 설사복통, 식욕부진, 체중감소, 오심, 신경증상으로는경련, 빈뇨, 두드러기, 불면증 등이 올 수 있다.(3) 예방대책- 가장 중요한 매개물이 야채이므로 야채를 흐르는 물에 3~5회 충분히 씻거나익혀서 먹는 것이 중요하다.- 정기적으로 구충제(알벤다졸, a lbenda zole) 복용, ..
공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46. 기생충 감염병 46. 기생충 감염병 1. 기생충 감염병1) 기생 생활에 대한 정의•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물들은 서로 밀접한 상호 관계를 이루면서 생활하고있다.• 각각의 생물개체들은 독립적으로 생활하는 자유 생활(free living)과 다른 생물에의해 생활하는 기생 생활(pa ra sitism )을 한다.• 기생 생활의 경우에는 거처를 제공하는 쪽을 숙주(host), 거처를 빌리는 쪽을기주(pa ra site)라고 하며, 숙주와 기주가 서로 이익을 취하고 서로 의지할 때를공서 생활(sym biosis)이라고 한다.• 그러나 기주가 이익을 취하고 숙주는 이롭지 않거나 해를 받고 있는 경우를 기생생활이라고 한다.  2) 기생충 감염병의 발생원인과 특성(1) 발생원인- 기생충 감염병의 분포 및 발생 정도는 집단의 위생..
공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45. 기타 성매개 감염병 45. 기타 성매개 감염병1. 트리코모나스증(Trichom onia sis)1) 정의•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Trichom ona s va gina lis)라는 원충류에 감염되어여성의 질 속에 발생하는 질환이다.• 성교를 통해 전파되는 가장 흔한 성병 중 하나이다.2) 전염 경로• 가장 흔한 전염 경로는 성관계이지만, 손, 불결한 변기, 수건 등을 통해서 전염될 수있으며 구강과 직장으로도 감염될 수 있다.  3) 임상증상• 질 점막이 염증 반응에 의해 붉게 붓고 외음부가 부어 오른다.• 거품과 악취가 나는 하얀 점액성, 농성 분비물이 생긴다.• 성기가 매우 가렵고 작열감이 나타난다.• 성교 시 불쾌감과 통증이 있을 수 있다.• 대개 임균성 요도염에 비해 증상이 늦게 발현되고 서서히 진행된다.• 또한 배..
공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44. 성매개 감염병 3 44. 성매개 감염병 34) 연성하감(C ha ncroid )• 헤모필루스 두크레이균(Hem ophilus ducreyi) 감염에 의한 성기나 회음부의통증성 궤양성 질환이다.• 전파경로는 성 접촉으로 전파된다.• 임상증상은 성기 궤양이 나타나는데 붉은 구진에서 시작하여 빠르게 농포로진행한 후 농포가 터져 통증성 궤양을 형성하는데 전형적인 궤양은 지름 1cm 내지2cm 로 경계가 뚜렷하다.• 남성의 경우 음경의 포피, 음경 귀두관, 음경 등에, 여성의 경우 음순, 질 입구, 항문주위 등에 주로 궤양이 분포한다.• 성기 궤양이 나타난 후 1주 내지 2주일이 지나서 부보(buboes)가 발생하며 종종심한 통증을 동반한다. 5) 성기단순포진(Herp es)• 제2형 단순포진 바이러스(Herpes sim plex..
공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43. 성매개 감염병 2 43. 성매개 감염병 22) 임질(G onorrhea )(1) 정의- 임균(Neisseria gonorrhoea e) 감염에 의하여 주로 요도염이나 자궁경부염등을 일으키는 질환이다.(2) 전파경로- 환자, 무증상감염자와 성 접촉으로 전파되며, 무증상 감염의 비율이높아서(60~80%) 감염병의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3) 잠복기- 2~7일 (4) 임상증상- 남성 : 요도염 증상으로 화농성 요도 분비물과 배뇨 시 통증, 그리고 요도구의발적 등이 나타난다. 그러나 감염이 계속 진행되면 남성에게 부고환염과직장항문염 등이 올 수 있다.- 여성 : 자궁경부염, 요도염 증상으로 작열감, 빈뇨, 배뇨 시 통증, 질 분비물 증가,비정상적 월경 출혈 등이 나타난다. 그러나 감염이 계속 진행되면 자궁내막염과난관염 등이..
공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42. 성매개 감염병 42. 성매개 감염병1. 성매개 감염병(Sexua lly Tra nsm itted Disea se)1) 정의• 성매개 감염병은 직접적인 신체의 접촉뿐만 아니라 혈액을 포함한 체액에 의해사람과 사람 간에 전파되는 전염성 질환으로 일차적으로 성 접촉에 의해서 얻게되는 모든 질환을 뜻한다.2) 특징• 성매개 감염병은 매개물이 없이 사람에게서 사람으로 직접 전파되며, 접촉자의발견이 어렵기 때문에 그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3) 성매개 감염병의 구분(1) 세균성 성매개 감염병- 매독, 임질, 연성하감, 클라미디아 감염증 등(2) 바이러스성 성매개 감염병- 성기단순포진(herpes),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증, 첨규콘딜롬 등(3) 원충류 및 기생충성 성매개 감염병- 트리코모나스증, 사면발이증 등 2. 「감염병의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