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730)
공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41. 장관감염증의 종류 4급(바실루스 세레우스균 감염증 등) 41. 장관감염증의 종류 4급(바실루스 세레우스균 감염증 등) 9. 바실루스 세레우스균 감염증 (Ba cillus cereus ga stroenteritis) • 바실루스 세레우스균 감염증이란 바실루스 세레우스균이 만들어내는 장독소에의한 급성위장관염으로, 오염된 음식 섭취, 조리한 후 실온에 방치하여 균의 포자가증식하거나 독소가 생성되고 이를 섭취한 경우 감염된다.• 설사형과 구토형의 두가지 형태를 나타나며 설사형은 8~16시간 잠복기를 거치고,구토형은 1~5시간의 잠복기를 거쳐 나타나게 된다. 구토와 복통이 특징적이며설사는 약 30%에서 발생한다.• 진단은 감염된 환자의 대변에서 바실루스균을 검출하여 확진한다.    10. 그룹 A형 로타바이러스 감염증(Rota vira l ga stroenteriti..
공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40. 장관감염증의 종류 4급(장침습성대장균 감염증 등) 40. 장관감염증의 종류 4급(장침습성대장균 감염증 등) 4. 장침습성대장균 감염증(EIEC )• 장침습성대장균이란 장침습성대장균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으로 오염된음식이나 물 섭취를 통해서 감염되며, 1~3일의 잠복기 후 발열, 복통, 구토, 수양성설사 등의 증상을 보인다.• 약 10%에서는 혈성 설사가 있기도하다.• 이러한 위장관염 증상은 보통 7일 이내에 소실된다.• 진단은 감염된 환자의 대변에서 장침습성대장균 검출을 검출하여 확진한다.   5. 장병원성대장균 감염증(EPEC )• 장병원성대장균이란 장병원성대장균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으로오염된 음식, 물을 섭취하거나 분변-구강 경로로 감염된다.• 1~6일의 잠복기를 거쳐 구토, 설사, 복통, 발열 등의 증상을 보인다.• 진단은 감염된 환자의 대변..
공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39. 장관감염증의 종류 4급(살모넬라 감염증 등) 39. 장관감염증의 종류 4급(살모넬라 감염증 등)  1. 살모넬라 감염증(Sa lm onellosis)• 살모넬라 감염증이란 비(非)장티푸스 살모넬라균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이다.• 오염된 음식, 물을 섭취하거나 오염된 분변에 접촉한 경우 감염이 된다.• 6~48시간의 잠복기 후 발열, 두통, 오심, 구토,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이러한 증상은 수 일에서 일주일까지 지속된다.• 진단은 감염된 환자의 대변검사에서 비(非)장티푸스 살모넬라균을 검출하여 확진한다.•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에 의한 구토, 설사를 주 증상으로 하는 감염병이다.   2. 장염비브리오균 감염증(Vib rio p a ra hem olyticusga stroenteritis)• 장염비브리오균 감염증이란 장염비브리오..
공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38. 법정 소화기계 감염병 2급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 등) 38. 법정 소화기계 감염병 2급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 등) 5.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O 157)1) 정의• 장출혈성 대장균(Enterohem orrha gic Escherichia coli) 감염에 의하여출혈성 장염을 일으키는 질환이다.2) 병원소 및 감염원• 소가 가장 중요한 병원소이며, 사람과 사람 간 전파도 가능하다.  3) 전파경로• 식수와 식품을 매개로 전파된다.• 적은 양으로도 감염될 수 있어 사람과 사람 간 전파도 중요하다.• 대부분은 쇠고기로 가공된 음식물에 의하여 발생하며, 조리가 충분하지 않은햄버거의 섭취로 집단 발생하는 예가 많다.4) 잠복기• 2~10일(평균 3~4일)  5) 증상• 발열, 오심, 구토, 심한 경련성 복통, 설사는 경증, 수양성 설사에서 혈성 설사까지다양하게..
공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37. 법정 소화기계 감염병 2급 (파라티푸스 등) 37. 법정 소화기계 감염병 2급 (파라티푸스 등) 3. 파라티푸스(Pa ra typ hoid fever)1) 정의• 파라티푸스균(Sa lm onella pa ra typhi A, B, C ) 감염에 의한 급성 전신성발열성 질환이다.2) 병원소 및 감염원• 병원소는 사람이며, 감염원은 대변 및 토사물이다.3) 전파경로• 주로 환자나 보균자의 대변이나 소변에 오염된 음식이나 물에 의해 전파된다.  4) 잠복기• 1~10일5) 증상• 발열이 지속되면서 오한, 두통, 복통, 설사나 변비, 상대적 서맥 등 장티푸스와증상이 비슷하나 경미하다.• 2~5%는 대∙소변으로 균을 배출하는 만성보균자가 된다.6) 치료• 대증 치료 :경구 또는 정맥으로 수분과 전해질을 신속히 보충해 주어야 한다.• 항생제 치료 : 시프로플..
공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36. 법정 소화기계 감염병 2급 (콜레라 등) 36. 법정 소화기계 감염병 2급 1. 콜레라(C holera )1) 정의• 비브리오 콜레라(vibrio cholera e)가 분비한 독소에 의하여 많은 양의 설사와구토를 일으키는 급성 장관 감염병이다.2) 병원소 및 감염원• 병원소는 환자이며, 감염원은 대변 및 오염된 오염수 및 음식물 등이다.3) 전파경로•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통해 전파되며, 드물게 환자 또는 병원체 보유자의 대변이나구토물과 직접 접촉에 의한 감염도 가능하다.  4) 잠복기• 보통 수 시간에서 5일(약 2~3일)5) 증상• 쌀뜨물과 같은 심한 설사가 갑자기 나타나는 것이 특징으로, 종종 구토를 동반하며탈수 상태에 빠져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무증상 감염이 더 많고 복통 및 발열은 거의 없으나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복통 ..
공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35. 소화기계 감염병의 이해 35. 소화기계 감염병의 이해1. 소화기계 감염병의 정의1) 정의• 환자나 보균자의 분변으로 배출된 병원체가 식수나 음식물 등에 오염되어 입으로침입하여 감염을 일으키는 수인성 감염병을 말한다.2) 수인성 감염병의 특징(1) 발생 상황 : 환자 발생이 폭발적이고 동시에 발생하는 것이 보통이다.(2) 발생 지역 : 대체로 급수지역에 일치되고 있다.(3) 성∙연령∙직업 : 성별, 연령별, 직업별에 따른 차이가 없이 발생한다.(4) 사망률 : 사망률은 일반적으로 낮으며 2차 감염은 없는 편이다.(5) 수인성 감염병은 연중 발생하지만, 특히 비가 많이 오고 곰팡이와 세균이잘 번식하는 고온다습한 여름에 많이 발생한다.  2. 소화기계 감염병의 일반적인 예방대책1) 환자나 보균자를 조기에 발견∙격리∙치료하며, 주위의..
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34. 법정 호흡기계 감염병 4급 (인플루엔자) 34. 법정 호흡기계 감염병 4급 (인플루엔자)1. 인플루엔자1) 정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 A, B, C )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주로 겨울철에 유행한다.2) 전파 경로• 감염된 환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배출되는 호흡기 비말에 의해 전파된다.90cm 이내 거리에서는 작은 입자인 에어로졸(a erosol)에 의해 공기 감염도가능하므로 폐쇄 공간 내에서 집단적으로 감염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건조한 점액에서도 몇 시간 동안 생존할 수 있기 때문에 악수 등의 직접접촉이나 의류, 침구 등의 환경을 매개로 하여 감염될 수도 있다.  3) 잠복기• 1~4일4) 증상• 38℃ 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 근육통, 두통, 피로감 등의 전신 증상과 인후통,기침,..
공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33. 법정 호흡기계 감염병 3급 (레지오넬라증) 33. 법정 호흡기계 감염병 3급 (레지오넬라증 등) 1. 레지오넬라증  1) 정의• 레지오넬라균(Legionella species)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레지오넬라 폐렴과 폰티악열(독감형)이 있다.2) 전파 경로• 대형 건물의 냉각탑, 에어컨디셔너, 중증 호흡기 치료기기, 분무기 등의 오염된 물속에 있는 균이 비말 형태로 인체에 흡입되어 전파된다. [그림 7-2]3) 잠복기(1) 레지오넬라 폐렴 : 2~10일(2)폰티악열(독감형) : 5~65시간(평균 36시간)  4) 증상(1) 레지오넬라 폐렴- 만성 폐질환자, 흡연자, 면역 저하 환자 등에서 호발하며 발열, 오한, 마른기침이나소량의 가래를 동반하는 기침, 근육통, 두통, 전신 쇠약감, 식욕부진 등을 보인다.(2) 폰티악열(독감형)- 2..
공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32. 법정 호흡기계 감염병 2급 (풍진 등) 32. 법정 호흡기계 감염병 2급 (풍진 등) 9. 풍진 1) 정의• 풍진 바이러스(Rubella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이다.2) 전파 경로• 공기 매개에 의해서 또는 비말 전파 및 직접 접촉을 통해 감염되며, 수직 감염으로전파되기도 한다.3) 잠복기• 12~23일(평균 14일)  4) 증상• 풍진은 홍역에 비해 증상은 가벼우나 대개는 열이 나며, 목이나 귀 뒤에 있는림프절이 붓고 만지면 통증이 있는데 이는 약 2~7일 동안 계속된다. 발진은 한번에 다 생기지 않고 첫날에는 얼굴과 목에 생기고 다음 날에는 희미해지면서 가슴,등, 팔 등에 새로운 발진이 생기는데 셋째 날이 되면 대부분 사라진다.5) 치료• 대증요법을 실시한다.  6) 예방 관리• MMR 백신을 생후 12~15개월, 만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