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구비문학의 세계

(12)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12. 수수께끼의 세계 제12장 수수께끼의 세계 【1】 수수께끼의 특징: 은유를 써서 대상을 정의하는 언어표현법 1. 구연에서 화자청자 쌍방이 참여한다는 점: 주고받는 것으로서 설문과 응답으로 구성 2. 묘사가 극히 단순하다는 점: 가장 간단한 형태를 띤다(속담과 수수께끼) -단순하지만 언어현상으로 주목, 1행 내지 2행의 짧은 문장으로 구성 3. 은유적 표현이라는 점: 완곡하게 표현(메타포=metaphor) =>그리스 아리스토텔레스 -수수께끼의 본질은 말의 불가능한 결합에 의하여 사실을 표현하는 점(은유의 결합) -포터도 아리스토텔레스와 유사한 정의, 메타포로 평가 -은유를 사용하는 목적(속담=특수한 것을 일반화, 수수께끼=일반적인 것을 특수화) 4. 고의적 오도성을 띠고 있다는 점: 종을 세 개 갖고 있는 사람은? =세종대..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11. 속담의 세계 제11장 속담의 세계 【1】 속담의 특징: ‘민중에 유통되는 관용어구’라는 것이 속담의 정의 ▶속담은 구체적이고 특수한 사례를 진술, 일반적·보편적 의미를 유발하는 기능을 가진다. -언술된 문면 그대로의 의미 이외에 보다 넓은 일반적 의미를 추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 ▶속담은 보통의 언술과 구별되고 다른 관용어와 구분 ①민중 속에서 생성된 관용적 표현으로서 ②보편적 의미를 강조하기 위하여 쓰여 지는 ▶속담은 사회적 소산이다: 대중 속에서 형성, 민중의 산물로 민중이 공감하고 애용 ▶속담에는 민중의 생활철학이 반영(시행착오의 체험을 통하여 얻어진 일반하의 법칙) -처세의 교훈+민중의 신념+세태의 풍자·인생관, 일상생활의 주변에서 보고 느낀 소재로 표현 ▶속담은 향토성을 반영한다(생활습관·풍속·생업과..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10. 재담의 세계 제10장 재담의 세계 【1】 재담의 특징: 재미와 재치가 함께 있는 말 1. 재담은 재미를 유발하는 요소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진 말이라고 정의 -전문 직업이야기꾼인 재담가의 말이라고도 정의 가능 2. 우스운 이야기는 소화 또는 소담이라고 하지만 재담과 소담은 구별된다. -언어의 묘미를 살려서 재치 있게 이야기하여 재미를 돋우어 내는 이야기가 곧 재담 -언어형식과 이야기의 내용면에서 모두 재미를 유발하는 요소나 장치가 갖추어진 이야기가 재담 3. 언어를 통한 재미(말하고 들어서 의미를 알고 느끼는 재미)가 재담이 추구하는 재미의 영역 -언어수행의 과정(음성학적·음운론적 단위요소)에서 재담의 여러 기법 고안 -음성기호와 의미기호의 관계에서 의사소통 혼란 야기 =>언어유희로 발전 =>재담 【2】 재담의 기법과 ..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9. 민속극의 세계 제9장 민속극의 세계 【1】 한국 가면의 의의: 민속극은 민간전승의 연극, 연극이 아닌 것은 민속극에서 제외 1. 연극의 세 가지 특징 ①가장한 배우가 ②사건을 대화·몸짓으로 표현 ③독립적 공연예술 ▶연극의 3대 요소가 희박하여 민속극에서 제외된 놀이들 ①유희인 「대문놀이」「군사놀이」「풀각시놀이」「만석중놀이」 =>민속극에 포함시키려고 시도 ②농악대의 「잡색놀이」는 단편적이며 즉흥적인 대사, 농악놀이의 일부 =>가면극의 원초형태 -전남의 「안놀음」 「비비새놀음」은 가면극에 근접한 것으로 조사 ③무당굿놀이인 제주도(세경놀이·영감놀이), 경기도(소놀이굿), 평안도(제석방아놀이) -굿의 일부로만 공연되므로 제외, 무가에 포함(무속문화) ④판소리는 연극요소 ①이 부분적으로 성립, 잡다한 성격의 서사문학, 무대공연..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8. 판소리의 세계: 이야기를 노래하는 구비서사가요(서사무가와 서사민요) 제8장 판소리의 세계: 이야기를 노래하는 구비서사가요(서사무가와 서사민요) -명창이 고수의 북장단에 맞추어 창과 아니리를 교체하면서 구연하는 공연서사요 -구비서사가요 서사민요는 길쌈노동요로 여성의 정과 한을 표현한 소박한 노래 -구비서사가요 서사무가는 무속의식의 무가로 본풀이라고도 부른다. ①좌창형식은 무속인 혼자 장고+징+꽹과리 치면서 앉아서 노래하는 형식 ②입창형식은 반주무의 장고반주에 맞추어 서서 부르는 형식 -무속의식의 제의에서 구연되는 노래로 신성성과 주술성, 종교적 기능을 수행 ③오락 예술적 성격으로 공연되는 판소리 가창방식과 유사한 서사무가 -판소리는 문학적 측면(서사시), 음악적 측면(장편의 노래), 연극적 측면(공연예술에 해당) 【1】 판소리의 기원: 전라도에서 무속의 무가가 판소리로 전..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7. 민요의 세계 제7장 민요의 세계 【1】 민요의 전반적 특징: 노래로 된 구비전승, 음악이면서 문학, 가사는 율문으로 형성 1. 공동작+개인작, 비전문적인 민중의 노래 ①기억의 부담이 없이 단순해서 의식적 수련 없이 배울 수 있다. ②민중이 널리 부르는 노래로 음악적·문학적 성격도 민중적(생활·감정·사상을 표현) -민요는 민속극과 함께 순수하게 민중만의 예술이며 문학 ③민요는 생활상의 필요성에서 창자가 스스로 즐기는 노래(노동, 의식거행, 유희) -창자가 즐기기 위해 부르기 때문에 기능적·자족적 성격, 창자에게 충실한 노래 2. 노래가 아닌 것, 구비전승이 아닌 것은 민요가 아니며, 특수집단의 노래도 민요에서 제외 -종교적(무가+불가), 예능적 특수집단(가객, 광대)의 노래인 가곡·가사·시조·판소리 등도 제외 3. 잡..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6. 무가의 세계 제6장 무가의 세계 【1】 한국 무속의 세계 【1-1】 한국 무속과 샤머니즘: 한국의 무속을 동북아시아 샤머니즘인 협의 개념으로 이해 1. 샤머니즘에 대한 광의 개념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된 원시적 주술신앙 2. 동북아시아 일대에서 샤먼들이 신과 직접 교령하여 인간의 문제 해결하는 협의 개념(학계) -샤머니즘의 특징=>망아(忘我), 전환(trance), 점유(possession), 영혼 여행 등으로 규정 3. 한국 무속=샤머니즘 성립 이유는 강신무의 선굿의례를 샤머니즘과 같은 범주로 인정 ①독경무속+기타 세습무의 의례는 동북아시아 샤머니즘과 개별적 차이 형성 -영혼여행이 없는 한국, 신을 제의 현장에 불러다가 문제 해결하는 것이 차이점 ②무속인을 부르는 지역별 명칭, 행위에 따른 명칭 -제주(슨방·심방),..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5. 민담의 세계 제5장 민담의 세계 이야기주머니: 이야기를 주머니에 모아서 입구를 묶은 채 대들보에 걸어두고 관심을 두지 않자 이야기들이 복수하기로 결정, 독수·독아·독사 등으로 변해서 주인을 죽이려하였으나 충직한 하인에 의해서 실패 =>이 이야기는 민담의 본질을 말해주는 귀중한 자료 【1】 민담의 전승과 재창조: 들어주는 사람이 있어야 전승과 재창조 가능(화자와 청중의 중요성) 1. 민담은 듣고 다른 사람에게 다시 전달해야 한다는 것이 특징(전승에 의하여 구연) ①신화와 다른 점은 신성성이 없으며 전승의 이유는 이야기 자체의 흥미와 의미 -같은 것의 되풀이가 아니라 변화를 내포(화자에 따라 다르고, 이야기에 따라 다르다) ②완전히 같은 2개의 각편 존재불가(모든 구비문학+설화의 공통점) -민담은 변화의 폭이 크다(흥미..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4. 전설의 세계 제4장 전설의 세계 【1】 전설의 분류: 전승장소, 발생목적, 설화대상에 따라 분류 1. 전승장소에 따라 지역적 전설, 이주적 전설로 구분 =>양분법으로 분류하는데 난점 예상 ①지역적 전설: 일정한 지역에서 일어난 이야기, 지리적 특징·명칭의 유래·습관의 기원 ②이주적 전설: 똑같은 줄거리의 전설로 도처에서 발견, , 등 2. 발생한 목적에 의한 분류로 설명적 전설, 역사적 전설, 신앙적 전설로 구분 ①설명적 전설: 민중들이 설명을 목적으로 만들어 낸 것(자연+사물 등) -지리적 특징, 자연현상, 특수한 습관, 동·식물의 특수한 현상, 산·바위의 생김새 등을 설명 =>설명적 민담과 혼동되지만 구분 가능(전설은 어떤 장소에 국한된 것) 예)며느리밥풀꽃(밥풀을 입에 문채 죽은 며느리의 넋, 제한 없는 종 전..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3. 신화의 세계 제3장 신화의 세계 【1】 신화의 본질과 기능 1. 신화는 전설·민담보다 복잡하여 심각한 견해 대립 초래, 고찰 필요 ①신에 관한 이야기: 신을 인간과 다른 존재로 볼 경우 보편성 성립 불가 ②자연·사회현상의 기원과 질서를 설명하는 이야기: 원인론적 이야기가 신화 -그리스 신화에서 출발, 19세기까지 인정되던 견해로 타당성의 한계 보유(만족스런 규정 아님) ③신성시되는 이야기: 보편적으로 타당한 규정, 20세기 인류학자들이 규정으로 제시 2. 신화가 지닌 신성성에 관한 대립된 견해(신화의 본질에 관한 논의 시작) ①신성성=영원+현실을 초월해서 존재하는 근원적인 무엇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현상 -플라톤과 관념론적 학자들의 견해, 정신분석학자(융), 신칸트학파(카시러), =>신학자(베르댜예프), 종교학자(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