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장 민담의 세계
이야기주머니: 이야기를 주머니에 모아서 입구를 묶은 채 대들보에 걸어두고 관심을 두지 않자 이야기들이 복수하기로 결정, 독수·독아·독사 등으로 변해서 주인을 죽이려하였으나 충직한 하인에 의해서 실패 =>이 이야기는 민담의 본질을 말해주는 귀중한 자료 |
【1】 민담의 전승과 재창조: 들어주는 사람이 있어야 전승과 재창조 가능(화자와 청중의 중요성)
1. 민담은 듣고 다른 사람에게 다시 전달해야 한다는 것이 특징(전승에 의하여 구연)
①신화와 다른 점은 신성성이 없으며 전승의 이유는 이야기 자체의 흥미와 의미
-같은 것의 되풀이가 아니라 변화를 내포(화자에 따라 다르고, 이야기에 따라 다르다)
②완전히 같은 2개의 각편 존재불가(모든 구비문학+설화의 공통점)
-민담은 변화의 폭이 크다(흥미위주의 요청으로 변화를 자극)
2. 창조적인 방향과 파괴적인 방향으로 두 가지의 변화 방향 형성
①유능한 화자는 개성에 맞고 시대적 요청에 상응+재창조 =>직업적 이야기꾼 등장
-자기만의 레파토리(문서)를 지니고 있어 화자의 가치관·문학관 파악가능
②소극적 화자는 들은 것보다 더 빈약하게 각편을 형성
【2】 유형과 화소: 민담을 분류하기 위하여 민담학자들이 사용한 용어
1. 유형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전승적인 이야기, 독립성을 지니면 유형으로 인정
-간단한 유형(하나의 화소), 복잡한 유형(수많은 화소), 유럽·아시아 문명권에 따라 차이 형성
2. 화소는 이야기를 이루는 독립된 요소, 한 유형에는 여러 개의 화소가 존재
①특이하고 인상적 내용으로 형성되어 파괴불가, 용이하게 기억, 독립적 생명유지
②화소는 어떤 물건(부자 방망이), 행위자(잔인한 계모), 행위(보지 말라고 하는 것을 보다)
③세계적인 공통성 보유, 민담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3. 역사지리학파에서 민담의 국제적 이동 논의에 대한 기초 작업으로 유형과 화소 분류
①유럽의 민담 자료인 『민담유형집』(아르네와 톰슨)
②전 세계 구비서사문학 포괄하려고 시도한 톰슨의 『화소색인』
③민담 뱀서방 =>아르네와 톰슨의 ‘Type 425 잃어버린 남편을 찾아서’와 동일
-화소의 분석은 국제적 이동을 밝히는 데는 도움, 유기적 작품을 다루는 데는 장애로 작용
【3】 민담의 분류: 정의, 방법과 입장의 차이로 여러 가지로 다르게 설정
1. 동물담: 동물유래담, 본격동물담, 동물우화로 세분
①동물유래담은 생김새, 습성, 명칭 등을 설명해주고 있는 것, 종을 대표
예)「견묘쟁주」의 개와 고양이의 사이가 나쁜 이유를 설명, 종 전체를 대표
-순수유래담(구성이유 설명)과 부가유래담(결말의 어구)으로 세분
②본격동물담은 동물에게 인간적 속성을 부여하여 의인화, 개체로서 행동한다(특징)
-꾀쟁이 토끼, 미련한 곰, 교활한 여우, 어리석은 호랑이 등 =>인간세계에서 활동(적대·우호관계)
③동물우화는 동물의 환경에서 행동, 동물에게 일정한 유형 부여
-인간의 행동을 동물 행동으로 바꾸어 도덕적·교훈적 내용을 비유적으로 표현 =>속담
2. 본격담: 배경, 등장인물, 초자연력 유무에 의하여 현실담과 공상담으로 분류
①현실담은 현실적 인물 등장, 지혜·용기로 사건 처리
②공상담은 초현실계에 초자연적 인물 등장, 초자연력을 사용하여 난관극복 =>행복한 결말
-흥미성 강조로 소화와 구별불가
3. 소화: 과장담, 모방담, 치우담, 사기담, 경쟁담의 다섯으로 분류
①과장담: 엉터리 이야기(방귀를 뀌어 뒷동산의 밤을 딴 며느리)
②모방담: 정직자 성공 흉내내다 실패하는 부정직자 이야기(흥부와 놀부)
③치우담: 바보들의 이야기(저능아, 바보사위, 어리석은 시어머니)
④사기담: 거짓말+지혜로 상대방을 속이고 의도한 바를 성취(김선달, 정수동·정만서의 일화)
⑤경쟁담: 어떤 내기(시합)에서 지혜로 승리 쟁취(단수가 높은가 경쟁)
【4】 민담의 형식: 공식적, 관용적 표현이 법칙으로 정립
1. 있는 그대로의 형식 존중, 자기대로 이용하여 각편으로서의 특수성 창조
-이는 구비문학, 구비서사문학의 현상으로 민담에서 가장 선명하게 부각
-산문인 민담, 율격의 도움 없이 문학적 흥미 중시, 공식적·관용적 표현을 다채롭게 활용
2. 공식적 표현(서두와 결말의 형식, 대립과 반복의 형식, 진행의 형식)
3. 관용적 표현은 부분적인 것(밤이되니=밤의 밤중쯤 되니까, 부자=천석꾼도 부럽지 않고)
▶서두와 결말의 형식: 이야기를 시작할 때와 마칠 때에 사용되는 일정한 표현 ①시작(옛날 옛적에, 옛날 옛적 갓날 갓적 호랑이 담배 피울 시적에) ②끝(이런 이야기란다. 그래 가지고 그 사람이 죽었는데, 어제가 바로 제삿날이었다) ③일상적인 말과 구별, 작품세계의 독자적인 소우주 확립 -서사적 과거시제로 전개 후 현재로 되돌아오게 하며 허구적인 것임을 강조, 흥미유발 ▶대립과 반복의 형식: 인물이나 상황을 창조할 때 흔히 사용 ①가장 흔한 선·악의 대립 =>흑부리 영감, 흥부와 놀부, 우렁색시(선=평민·악=양반), ==>지하국 대적퇴치(인간=선·괴물=악) -힘과 꾀의 대립(호랑이와 토끼), 미와 추의 대립(콩쥐와 팥쥐) ②대립은 현실의 문제를 선명하게 반영하는 방식, 신념을 나타내기 위한 수단 ③반복도 현실 자체의 반복적 성격에 근거를 두는 것으로 강조의 수단으로 사용 -바보사위의 실수담, 심보 사나운 호랑이와 할머니, 해와 달이 된 오누이 등 ④선·악의 대립과 결부된 반복은 두 번으로 이루어진다. =>파멸의 요소 내포 -혹 뗀 영감 흉내 내다가 혹 붙이고 온 영감, 흥부를 흉내 내다 망한 놀부 ⑤반복을 세 번 한다. 세 가지의 소원, 세 가지 시련, 세 가지 과업, 삼형제 등 -동질적 반복, 발전적 반복, 발전되면서 반복하다 다른 상태로 전환(현실의 발전 법칙 반영) -대립과 반복을 통하여 민담의 기억과 구연을 쉽게 하고, 이해하고 즐길 수 있다. ▶진행의 형식의 특징은 작중시간의 진행에 따라 이야기 전개(기억과 이해가 용이) 1. 인물의 행동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계속 이야기하는 단선적 진행이 기본적 형식 예)천 냥 점, 심보사나운 호랑이와 할머니, 흥부와 놀부, 혹부리 영감 등 2. 삼형제 사형제일 경우 중간 부분에서 병립적인 형식 사용(아버지의 유물과 삼 형제) 3. 유사한 사건들의 반복인 누적적인 것, 연쇄적인 것도 발견 ①누적적 형식: 한 행위가 원인이 되어 다음 행위가 생기는 결과 =>더 큰 기대 실현 -중간의 어느 사건을 빼면 이야기 성립불가 -새끼 서 발(새끼 서발로 동이와 말, 색시로 바꾸는 과정) ②연쇄적 형식: 반복되는 사건들이 서로 인과관계가 없는 경우, 사건 하나를 빼도 문제없다. -심보 사나운 호랑이와 할머니(바늘=눈, 게, 절구통, 멍석, 지게 등) -각 사건이 독립된 이야기일 경우는 연쇄담에 해당 4. 회귀적인 형식으로는 두더지가 혼처를 찾는 과정을 이야기한 두더지의 혼인 -이들은 모두 민담의 예술성을 높이는 효과적인 형식들이다. |
-전승적인 고정성+화자에 따른 개인적 차이 형성
【5】 민담의 구조: 작품 전체를 이루는 민담 각 부분의 관계, 주제는 구조에 의해서 결정
1. 민담의 기억·구연·재창조를 가능하게 하는 가장 핵심적인 것은 구조
-공통된 구조를 기반으로 각편들대로의 특수성 전개, 서로 다른 민담들 사이에도 같은 구조 존재
2. 민담의 미시적 연구(유형분류, 화소분석)에서 거시적 측면으로 연구 =>프로프와 레비-스트로
①병립적 구조(레비-스토리)-순서에 구애 없이 이야기에 내포된 기본적 대립을 종합적으로 파악
-한 영역과 다른 영역 사이의 논리적 관계의 직관에 존재하는 은유 발견 =>연역적·사변적
②프로프가 개척, 던데스가 계승한 순차적 구조: 순서에 따라 부분으로 구분
-부분들의 근복적 성격과 관계의 논리 파악, 귀납적·경험적
-러시아 민담(프로프), 북미 인디안 민담(던데스)에서 더 큰 범위에서 존재하는 유형적 구조발견
3. 순차적 구조 분석으로 한국 민담 구조의 의미 해석 시도 =>동삼과 이시미
-고난과 의외의 행복이라는 두 가지 단락소의 연속적 대립·부정의 관계 형성
-뱀서방+부자가 된 거지에서도 발견, 꿩과 이시미는 행운+의외의 고난이 연속적 대립·부정관계
-「동삼과 이시미」, 「꿩과 이시미」는 비슷한 이야기이면서 대조적인 구조
【6】 민담에 나타난 민중의식
1. 민중의식이 잘 반영된 「지하국 대적 퇴치」
①좌절·패배를 모르는 주인공(장수), 어떤 고난+적대인 자와도 싸워 이길 수 있다는 낙관론 형성
②장수와 아귀의 대결(인간과 비인간의 싸움에서 과감하게 승리)
-비인간인 적대적·우호적 존재들을 통해 자연의 위협을 표현
③장수와 부하들의 대결 =>선과 악의 싸움에서 선이 승리=>가장 기본적인 가치관의 표현
④장수와 공주의 결혼: 민담의 주인공은 어떠한 난관을 극복하고서도 행복을 쟁취
-행복의 중요 요건(결혼·부·과거급제), 인간의 가장 간절한 소망이 행복(솔직하고 선명하게 표현)
-노력 안 해도 행복한 경우(새끼 서 발, 천 냥 점), 예견과 다른 방향에 구하는 경우(구복여행)
2. 능력이 없어도 주인공의 자력으로, 혹은 의외의 행운으로 주어지는 행복
-의외의 행복은 운명론적 사고, 풍수담(부자가 된 거지=부친을 묻은 자리가 명당=부자)
-부지런하고 진실된 사람은 하늘이 돕는다는 것이 민담의 운명론
3. 동물담의 호랑이와 토끼(어리석은 강자는 지혜로운 약자를 못 이긴다)
①토끼와 거북(거북의 지혜=권력자에게 충성하는 간계, 토끼의 지혜=힘의 횡포를 이기는 전술)
-동물에 인간의 특징 부여, 인간사회의 문제 제기(민중과 적대자의 대결, 민중이 지혜로 승리)
②「개와 고양이는 왜 원수가 되었는가」는 개(민중적 성격), 간교한 고양이는 반대 입장
-동물 유래담답게 승리가 없이 계속되고 있다
4. 소화의 민중의식은 낡은 권위나 경화된 관념 파괴, 삶의 진실된 모습을 보여주는 이야기
①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주인을 골탕 먹이는 하인에 관한 여러 유형의 이야기
-주은의 횡포(어리석음), 하인은 지혜롭다는 설정(권위 파괴) =>과장된 표현과 웃음 형성
②모방담은 욕심 많은 인물이 선인의 행동을 모방하려다가 낭패(흥부와 놀부)
③성에 관한 소화는 경화된 윤리적 관념 파괴, 삶의 자유로운 모습을 긍정적으로 표현
-양반들이 즐겨 사용, 『어면순』 등에 기록되어 전승
5. 전설은 비장의 원천, 소화는 골계의 고향, 민담은 흥미+ 진실성+허위에 반항, 준엄하게 준수
【7】 민담분석과 의미-【구렁이와 꾀 많은 신부】를 중심으로
【7-1】 자료개관: <구렁이와 꾀 많은 신부>와 <견묘쟁주>의 전반부로 자료 범위 확대
1. <구렁이와 꾀 많은 신부>는 독립적으로 전승되는 설화유형이면서
-<견묘쟁주> 설화의 전반부에 구슬 획득과정에 대한 설명적 삽화로 결구되기도 한 설화
-<견묘쟁주>는 구슬 상실과정과 되찾는 과정 중심, 개와 고양이 사이의 동물유래담의 성격
2. <구렁이와 꾀 많은 신부>는 다른 설화유형에 비해 변의 폭이 작은 편
【7-2】 국면의 전환 양상과 그 의미: 모두 4개의 국면으로 구성 ▶1국면(꿩과 이시미=공격당해 먹히기 직전), 자연공간+동물상호 간의 대결 양상 -꿩은 열세적 존재로 상호우위에 입각한 대결이 아니라 일방의 우위에 입각한 것 -이시미가 먹이로 삼기 적당한 새가 꿩, 구렁이 꿩의 상관성 <종소리>설화에서도 등장 ▶2국면(부부와 이시미=꿩을 가로챈 인간, 여자가 먹고 임신), 동물상호 간의 대결+인간개입 ①우위를 지키던 이시미가 인간에 의해 좌절, 인간과 동물의 대결로 장면 전환 -원한을 제공한 인간에게 바로 보복하지 않는다는 점(꿩이 먹이차원이 아님을 암시) ②노인·자식 없는 부부로 설정, 꿩을 먹고 아이 출산=인과성(신랑이름=꿩덕이=들꿩신랑) -자연공간에서 집이라는 문화공간으로 공간이동 ▶3국면(아들과 이시미=장가가는 아들에게 이시미가 목숨 요구), 문화공간+혼례 ①신부의 집으로 가는 중에 이시미와 조우(자연공간), 아들의 목숨을 요구하는 이시미 -꿩은 이시미에게 단순한 먹이가 아니었던 것(용이 될 수 있던 기회를 상실했던 이시미) -10년 된 꿩을 먹은 아들이 성장하길 기다린 것, 아들을 먹고 승천할 기회를 노리는 것 -생존보다 승천이 목표, 몸 속 구슬을 내주면서까지 신랑의 목숨을 요구한 것 -꿩(하늘), 인간(하늘과 땅) 구렁이의 점유 공간은 땅 =>공간상승 획득(승천) ②이시미의 승천 필요조건으로 날짐승(꿩)을 설정한 것은 공간의 점유를 의미 -이시미와 날아다니는 꿩 결합=용이라는 복합적 신격 속성 획득(신성한 존재로 상승) ③다른 각편의 불타는 구렁이를 구해주는 장면(적선의 결과가 예상하지 못했던 고난 초래) -승천방해·적선행위 무시=인간사의 논리로는 신적세계의 섭리를 재단불가하다는 의미로 작용 ④승천 방식인 불에 태워짐 고찰, 나무 위에서 태워지기도 하고 허물이 태워지기도 하는 것 -<구렁덩덩신선비>에서 신선비인 구렁이 허물 보관(수신신앙의 지속을 의미) -수성적 차원인 구렁이의 허물이 상극인 화성적 차원의 불과 만나 열세로 하락 -뱀이 복합적 속성을 지닌 신격으로 인식(불+물을 아우르는 존재) -나무라는 매개 등장, 순차적인 공간 상승을 의미=>우리민족의 순차적 사고방식과 연결 ⑤<종소리> 까치의 희생으로 구렁이와 인간 모두에게 바람직한 상황으로 마무리 -짐승의 희생으로 인간의 안녕을 도모했던 시기를 설화적 형상화를 통해 보여주는 것 ▶4국면(신부와 이시미=남편의 상황을 안 신부가 지혜로 이시미와 대항하여 승리) ①사회적 관습에 의해 신랑과 결연을 맺은 신부가 이시미와 대결(문화적 관습을 매개로 전개) -신랑의 생존위협=신부의 생존위협, 심각한 이시미의 행위가 신부에 의해 희화화 ②승천좌절에 대한 원한이 4국면에서 최고조 형성, 신랑을 잡아먹고 승천하길 고대 -신부=승천의 장애물, 신부가 생존문제 해결을 위해 이시미의 목숨인 구슬요구 -승천에 대한 강한 욕구로 구슬의 조화가 별무소용이 된 이시미의 집착과 어리석음 |
▶구비·적충·변이의 문학인 구비문학의 유형분석과 의미해석은 종홥화와 체계화 지향 필요 -표면상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유형들을 상호대비, 하나의 의미체계 형성=>심층적 의미 추찰 |
▶통과의례(결혼)를 통한 신부가 이시미와 대결 =>상황 역전+승리 가능 =>결혼의 의미 검토 ①마을의 안녕+신에게 배우자를 바치던 습속, 인신공희의 형태가 혼례로 형식화(처녀=영웅) ②<구렁이와 꾀 많은 신부>의 신부 => 신의 배우자로 성격 변모 -신의 배우자로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제의), 한 남자의 신부로서 남자의 생존 보장(일상사) ③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이시미의 승천방식 =>신부의 역할 변화 -신혼(神婚)의 제의적 양상이 인간의 혼례라는 일상사의 양상으로 변모(모두 영웅적 성격) ▶신 중심의 생활방식에서 인간 중심의 생활방식으로 변모(순차적 사고로 이해) ①신과의 화합, 집단의 풍요·번영을 위해 개인의 희생을 당연시하던 시기 존재 -사신과 인간이 동일시, 인간의 죽음 문제는 비극적이지 않았던 윤리중립적 시기 ②죽음이라는 현상에 가치 개입, 새로운 인식의 전환+죽음의 심각성 발견 -신에게 바쳐지는 자의 죽음이 비극적임을 인식, 신과 인간의 화합에 균형 발생(대안필요) |
▶인간 중심의 시기로의 전환과정에서 형성된 인간의 대응방식 ①사신과 인간의 심각한 대결로 전환하는 방식 ②짐승제물을 바치고 신과 화합 도모, 신격을 불인정하고 다시 대결하는 방식 ③<구렁이와 꾀 많은 신부>는 ②의 경우에 해당 =>꿩을 매개로 상관성 표현(중간적 모습) -제물의 성격변화, 제의적 신혼 소멸, 인간의 통과제의인 혼례의 중요성 강조 ④사신은 아무런 제물도 받지 못하는 상태, 단순 동물차원으로 전락 -신랑은 사신과의 관계지속, 사신에게 절대적 열세, 인간 중심으로 변모하는 과도적 양상 ▶단순·평면적인 민담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는 복잡하고 심층적인 것(구비문학 텍스트 가치) -민중들의 생활철학이 절충되어 이루어진 설화는 주변 설화와 연결·형성·변이되는 문화양식 |
▶설화의 공간배경과 혼인의 의미, 구출자의 성격에 따른 설화의 두 양상 검토 1. 공간배경의 흐름은 자연공간 ->문화공간 ->자연공간 ->문화공간 ->자연공간 -문화의 세례(혼례)을 통해 결합된 신부의 역량(매개자적 역할 수행)으로 신랑의 생존 보장 2. 구출자가 여성일 경우는 혼인-구출의 양상으로 결합이 우선(온달, 무왕이야기) -<구렁이와 꾀 많은 신부>에서는 남성의 역할 제거 =>원초적인 여성영웅 모습 간직 -온달, 무왕, 신유복에서는 남성이 여성의 도움으로 영웅화 =>남성영웅화, 여성역할 감소 |
-구렁이의 복수시도가 원한 제공자의 아들이 장가는 첫 날에 이루어진(각편마다 동일)
'구비문학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7. 민요의 세계 (0) | 2022.09.07 |
---|---|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6. 무가의 세계 (0) | 2022.09.06 |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4. 전설의 세계 (1) | 2022.09.05 |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3. 신화의 세계 (0) | 2022.09.05 |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2. 설화의 세계 (0) | 2022.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