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비문학의 세계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4. 전설의 세계

반응형

4장 전설의 세계

1전설의 분류: 전승장소, 발생목적, 설화대상에 따라 분류

1. 전승장소에 따라 지역적 전설, 이주적 전설로 구분 =>양분법으로 분류하는데 난점 예상

지역적 전설: 일정한 지역에서 일어난 이야기, 지리적 특징·명칭의 유래·습관의 기원

이주적 전설: 똑같은 줄거리의 전설로 도처에서 발견, <장자못전설>, <오뉘힘내기 전설>

2. 발생한 목적에 의한 분류로 설명적 전설, 역사적 전설, 신앙적 전설로 구분

설명적 전설: 민중들이 설명을 목적으로 만들어 낸 것(자연+사물 등)

-지리적 특징, 자연현상, 특수한 습관, ·식물의 특수한 현상, ·바위의 생김새 등을 설명

=>설명적 민담과 혼동되지만 구분 가능(전설은 어떤 장소에 국한된 것)

)며느리밥풀꽃(밥풀을 입에 문채 죽은 며느리의 넋, 제한 없는 종 전체로 민담의 범주)

-경남 하동의 철쭉꽃(절개를 지키다 죽어간 아내의 넋, 전설의 범주)

역사적 전설: 대부분의 전설로 어떤 역사적 사실로부터 성립+성장, 지방적·국가적 영웅 등장

-역사적 지식을 가진 이가 설명, 민중의 기억+지식에 결합되어 생성, 야담·야사·패사 등

신앙적 전설: 민간신앙을 기초로 금기를 교시해 주는 것 등

 

2전설의 문체와 구조: 신화나 민담에 비해 단순한 것이 특징

1. 증거물에 대한 설명(전설의 최소 요건), 짜임새+문학적 형상화가 없는 단순 구조

지명전설에서 발견 =>무학대사가 서울을 발견하는 과정(설울=서울, 10리를 더 가서 왕십리)

유기적 구조를 갖는 전설로 <선녀의 깃옷=금상산 선녀와 나무꾼>, <지네산>

-증거물 결부로 전설, 민담으로도 전환 가능한 이야기

2. 일상적인 말과 차이를 보이지 않는 문체 사용(공식적·관용적 표현 사용 )

-난삽한 문체 사용도 가능, 풍수·과거·역사적 인물+사건(야담·패사·야사) =>한문·해박한 사실포함

 

3전설에 나타난 인간관: 예기치 않던 사태에 당황하거나 왜소해지는 경우가 많은 전설

1. 인물의 특수성은 증거물에서 유래, 예기치 않던 사태 =증거물에서 발생 =증거물 보존

-실수로 생긴 예기치 않던 사태 =>인간의 한계 발생 =>인간의 불행을 민감하게 형상화

-<에밀레종>, <쌀 나오는 구멍>, <오뉘 힘내기> 등에서 비슷한 주제 발견

2. 전설은 진실하고 유능한 인물이 실패하여 비극성을 담아내는 이야기이다.

-탁월한 능력을 지닌 장수가 뜻을 이루지 못하고 패배한 전설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비장미

 

4전설 분석과 실제와 의미 -<천자(天子) 전설>을 중심으로

1. <천자 전설>은 역사적으로 실재한 성공한 이야기 =><야래자설화>+풍수전설 수용

-한반도에 전승되는 천자전설은 명태조 주원장 전설, 청태조 노라치 전설, 한천자 전설 등

2. 명태조와 청태조 전설은 천자의 출생담으로 <야래자설화>와 천자명당전설 수용

-한반도에서 출생=>이성계와 비교하면서 주원장과 누르하치를 혼동하여 전승

-야래자전설은 일본, 중국, 한반도에서 전승되는 이야기

3. 강원 춘성군 가리산 지역의 <한천자전설>은 시대와 왕조 불분명, 명태조와 유사

-작중시간이 역사적 시간으로 구체화되어 있지 않은 풍수설화(민담으로 변모)

 

4-1명태조 전설: 명당의 성격을 다르게 표현된 한반도와 중국의 명태조 전설

-최상수 채록(경남 웅천 <천자바위전설><천자봉전설>)

-임석재 채록(경남 거제군 <천자혈전설>), 정상박 채록(경남 의령의 <수중명당과 주천자>)

1. 웅천의 천자봉 전설: 사연만 있을 뿐, 천자예징이나 예징의 실현은 나타나지 않음

-산천이 수려하여 훌륭한 인물이 많이 배출된다는 인식에서 만들어진 전설로 평가

2. 웅천의 천자바위 전설: 이성계의 탄생과 명태조 주원장의 탄생을 함께 다룬 전설

-이성계의 부친이 풍수, 수영을 못하는 관계로 명당자리를 주원장 조상에게 인계

-수중명당은 물과 친연성이 있는 존재가 주인이 된다는 것으로 수신신앙 반영

3. 천자혈 전설: 이성계가 주역인 풍수로 등장(주걸웅=주원장과 함께 등장)

주걸웅(주원장)은 야래자인 물개의 아들로 설정, 이성계와 동시대의 인물로 등장

-중국과 한반도에서 비슷한 시기에 왕조 교체 발생(명나라, 조선), 권좌에 오르기 전 교섭을 상상

주걸웅은 만냥짜리 술(천자상), 이성계는 천냥짜리 술(왕후상) =>노파가 평가

-천자는 국량이 크고 천명을 타고 나기 때문에 욕심만으로 천자가 될 수 없다(정명사상)

4. 수중명당과 주천자: 경남 의령군 부림면 신반리에서 채록한 주원장의 탄생담=

주천자가 마산돌섬에서 태어난 인물로 설명, <야래자> 유형과 유사 =수중의 천자명당

주원장(중국 호주 출신), =>황각사 승려 =>원나라 말에 명나라 개국(포의로 제업을 이룸)

-함북 회령의 청태조 전설과 유사 =>주원장 설화와 청태조 전설 혼합

5. 중국의 명태조 전설: 명나라 왕문록의 용흥자기, 돈대 아래 굴 속 명당

-주원장의 조부가 매입+주원장 탄생 =>춘성군 가리산 천자명당 전설과 상통하는 명당 예징

 

4-2청태조 노라치 전설

1. 함경북도 화령 경원 등지에서 채록, <야래자설화><천자명당설화>, <천자검설화>

<주몽신화><삼천녀설화(애신각라 시조신화)>와 교섭관계 형성 =>비교신화학의 중요 자료

함북 회령의 현무암 마을의 오지암=오제암 =>청나라 태조의 발상지로 유명

-수달을 아버지로 둔 노라치의 아들이 청태조(단기 42668월 회령군 김능근씨담)

-전반부(노라치 출생담=전형적인 야래자 설화), 후반부(천자가 되는 과정=천자명당설화)

(수달)를 살해 장면=청에 대한 전승자의 감정이입(청태종의 조선 정벌=병자호란)

세 째 아들 한(=우두머리를 의미)이 건국, 춘성군의 한천자의 유래로 추정

2. 만주지역에서 채록된 전설로 황상이 될 인물(다리에 있는 7개의 붉은점)이라 살해 예정

3. 만주족의 시조인 애신각라 전설과 유사성이 확인되는 청태조 노라치 탄생전설

임석재가 채록(함북 경원) =>회령 서촌 한성자라는 산에서 청태조 애신각라 출생담

-(수달, 죽음)=>누르하치의 셋째 아들에게 천자검 선물 =>대청제국 건국

경원에서 채록(부는 수달, 오제암 바위 밑 연못(한성산), 노달치 탄생(삽화추가)

누르하치보다 높게 인식(황태극이 국호를 청으로 변경했기 때문)=>신성징표 없음

-청태종의 조선 정벌로 위대한 인물로 인식(우호적 인물과 다른 마음으로 수달을 죽임)

④천자명당전설 자료의 특징은 출생담(야래자 설화), 천자가 되는 과정(풍수전설 수용)

<야래자 설화>는 한···동아시아 일대에서 널리 전승
1. 한반도의 문헌자료로 서동설화와 견훤전설, 구비자료로 함북 성진 회령(청태조 전설),
-강원평강(평강채씨), 경기여주(창령조씨), 충남 연기(쌍유리 마을시조), 충남부여(남지전설)
공통서사단락(임신·정체불명남성·, 정체+살해(··수달·자라·거북·지렁이), 사내출산
성씨시조나 국왕 등 신성한 인물의 출생담으로 신화적 성격 보유
-건국국조 신화출생담과 달리 물과 친연성 있는 동물로 부계 설정 =>출신비하가 특징
<이류교구전설>로 평가 =>인간외의 다른 종류와 성적결합을 의미
-정체 확인 후 살해 이유(부계혈통 부정·무시, 모계사회의 여성주도권 행사 모습 반영)
비교)천부지모(천부수모)의 신화=건국신화+무속신화에 수용되어 계승(주몽·단군=환인·해모수)
-오산(시루말), 제주도(천지왕본풀이) =>일방적 잉태+부의 유훈 실천+여성은 출산과 육아책임
==>부계사회의 남성 주도권 행사 모습을 반영
2. 일본은 삼륜산 전설(미와야마 신사의 신화로 고사기 숭신천황 조 삼륜산 전설항에 기록)
-야래자가 신으로 등장+수려하게 생긴 남자로 미화 =>남성=신격화, 신화로서 신성성 보유
3. 중국은 선실지어괴등 고문헌에 수록 =>신화적 성격없이 지괴류로 설정
야래자는 굼뱅이(제인 조씨 아들), 굼뱅이를 나타내는 한자 제조(蠐螬)에서 근거한 것
-·타류·매로 표현(괴이한 사연 기록, 지괴로 인식), 여괴+포도 등으로 설정
-정체확인 후 살해(신이성 존재, 신성성 ), 괴이한 사건의 해결로 끝
출산한 아이가 큰 인물로 성장 부분이 없는 이유(부계사회 확립, 모계사회 흔적 부정)
한국의 건국시조 출생담으로 수용된 야래자 설화(견훤전설, 명태조전설, 청태조전설)
1. 견훤전설(야래자의 신성성 퇴색), 세간에 전해지던 설화 기록(지렁이 아들=하챦은 미물)
왕건을 괴롭힌 인물이라서 삼국유사에서 신성성 거세, 괴이성만 존재
지렁이 아들 탄생담으로 상주에서 전승, 광주에서 채록한 내용도 유사
2. 개국시조인 견훤과 누르하치의 부계혈통을 수중동물+지렁이로 폄하한 이유
-신화로서 신성성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
견훤은 개국시조이지만 고려왕조에 위해를 가하는 인물로 고려에서 반감 형성=>비하
누르하치(노라치=노달치, 후금건국), 청으로 국호변경(황태극=청태종), 태조로 승격
-청태종의 조선정벌(정묘·병자호란)로 민족감정 형성, 야래자설화를 수용하여 혈통 비하
-명태조전설에서도 야래자설화 출생담 수용=>청태조전설과 혼동한 것으로 평가
야래자설화의 특징은 여성이 임신출산, 남성의 정체 은닉하고 비하한다는 것
모계사회의 혼속 반영(남성이 밤에 여성방문, 고깃덩어리와 모자+칼 준비)
-성적결합에서 여성이 주도권 확보, 출산한 아이는 여성의 자녀들로 구성하여 육아
자유로운 남성의 여성편력 형성, 생부를 지목하여 친밀한 관계도 형성
-정체확인 후 살해는 모계사회에서 부계사회로 바뀌는 과정의 변화로 이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