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비문학의 세계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11. 속담의 세계

반응형

제11장 속담의 세계

1속담의 특징: 민중에 유통되는 관용어구라는 것이 속담의 정의

속담은 구체적이고 특수한 사례를 진술, 일반적·보편적 의미를 유발하는 기능을 가진다.

-언술된 문면 그대로의 의미 이외에 보다 넓은 일반적 의미를 추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

속담은 보통의 언술과 구별되고 다른 관용어와 구분

민중 속에서 생성된 관용적 표현으로서 보편적 의미를 강조하기 위하여 쓰여 지는

속담은 사회적 소산이다: 대중 속에서 형성, 민중의 산물로 민중이 공감하고 애용
속담에는 민중의 생활철학이 반영(시행착오의 체험을 통하여 얻어진 일반하의 법칙)
-처세의 교훈+민중의 신념+세태의 풍자·인생관, 일상생활의 주변에서 보고 느낀 소재로 표현
속담은 향토성을 반영한다(생활습관·풍속·생업과 관련되어 형성)
속담은 시대상을 반영한다(시대적 산물로 생성되고 사멸, 시대사조에 따라 호흡)
속담의 형식은 간결한 것이 특징(꽉 짜여 있는 토막말, 군더더기가 없는 세련된 말)
속담은 언어생활을 윤택하게 한다(비유와 상징으로 사용, 의미 함축, 지혜의 표현)

일정한 기능을 갖는 세련된 말

2속담의 생성과 변천: 신라에서 발생(삼국유사)

삼국유사5 욱면비염불서승=자기일이 급하여 남의 일을 서두른다.

-고려 속요 정석가=군밤에서 싹 나거든(전혀 희망이 없다는 것을 표현)

-세종실록=고려공사삼일(고려의 정치가 내구성 없는 조령모개식)

2. 속담은 설화나 사건을 계기로 발생되기도 한다.(중국의 고사에서 유래되기도 한다)

-닭의 벼슬은 될지언정 소의 꼬리는 되지말라(전국시대 별설가 소진의 말)

-오십보백보(별 차이가 없다)는 맹자가 한 오십보소백보에서 유래

-고사에서 파생(조삼모사, 새옹지마, 오월동주, 삼고초려)

3. 소설의 내용에서 유래, 민중의 공감을 얻고 확대 전파, 유래는 모르고 관용구로 사용

-홍길동전(놈 재주는 홍길동이다), 구운몽(팔선녀를 꾸민다)

-임진록(춥기는 사명당 사첫방이다), 소대성전(소대성이 모양 잠만 자나)

-삼국지에서 파생한 속담(장비하고 쌈 안하면 그만이지 등)

4.발생지역을 드러내기도 한다. 문면에 구체적 지역명이 등장

-평택이 무너지나 아산이 깨어지나, 지저분하기는 오간 다리 밑이라

-종로에서 빰 맞고 한강에서 눈 흘긴다, 은진은 강경으로 꾸려 간다 등

5. 최근에 발생한 속담으로 비행기 태운다, 일진회 맥고모자 같다 등

3속담의 옛 재료: 용재총화, 패관잡기, 순오지등에 기록

1. 홍만종 순오지: 효종 때, 124개의 속담을 한역하여 기록(관심을 가지고 집록)

-홍만종을 속담의 진정한 가치를 이해한 사람이라고 평가

2. 이덕무 열상방언: 영조 때 청장관전서중에 열상방언조에 속담 100개 한역 수록

-중국 속담을 본떠 여섯 자로 글자수를 맞추고 압운 결정(어색한 번역, 전달이 어렵다)

3. 조재삼 송남잡지: 순조 때 속담의 연유를 밝히고 전와에 의한 오류를 교정

-출전에 따라 견강부회하여 무리하게 설명

4. 정약용 이담속찬: 우리나라 속담 200여 수를 한역하여 수록

5. 동언해: 작자 미상, 400여 개를 한역하여 수록

6. 최원식 조선이언: 한글로 900여개의 속담 기록, 최초의 국문 속담집

4속담의 유형 및 기능: 내용별로 총 48개 군으로 나누어 설명한 한국속담활용사전

1. 교훈형은 교훈과 경계를 목적으로 하는 것, 격언이나 금언과 유사
-만고불변의 보편적 진리, 처세관련 내용, 심성이나 심리 등을 표현
달도 차면 기운다/자연의 보편적 질서에 가까운 속담(보편적 진리+인생무상을 깨우치는 말)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있다 / 인간과 인간관계를 중시한 속담 /찬물도 위 아래가 있다
-작은 재주를 자랑해서는 안 된다는 교훈을 내포, 올바른 자세 유지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 /인간의 품성 등에 얽힌 교훈
-집에서 새는 바가지는 들에 나가도 샌다. 중은 뭣을 해도 무릎을 꿇고 한다.
2. 풍자형은 어떤 행위·행위자에 대한 비판과 조롱의 뜻을 담고 있다.(문면에 그대로 노출)
횃대 밑에서 호랑이 잡는다 / 능력이 없으면서 능력이 있는 체 큰 소리치는 사람에 대한 풍자로 부정적인 인간형을 특수한 사례를 들어 유형화하여 풍자
노처녀보고 시집가라 한다 / 쓸데없는 소리를 하는 것을 풍자, 행동 교정의 효과 형성
-행위나 행위자에 대한 효과적인 비난 수단으로 적절한 비판을 가하는 기능으로 작용
-우물에서 슝늉 달란다, 업은 아이 3년 찾는다 등 풍자기법 특수성으로 표현 가능
3. 표현형은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 것이 주목적, 절묘한 비유로 효과 형성, 직유적 표현
저녁 굶은 시어미상 / 인상 쓰고 있는 모습을 표현, 찌푸린 사람의 얼굴모양을 표현
-교훈, 풍자의 의도 없이 당시의 얼굴 모양을 표현하는데 주력
게 눈 감추듯 / 정지된 모습이 아니라 행위나 동작을 표현(잽싸게 움직이는 모습)
-생활경험이 같은 사람들끼리 의미를 생생하게 전달, 재미있게 전달
개 보름 쇠듯 / 처지를 표현(딱한 신세), 대보름에는 개에게 먹이를 주지 않는 풍습
-곤궁한 처지나 가련한 신세를 드러내는 내용, 향유층의 생활상 표현

-한 눈에 내용파악(장점), 기준에 따라 가감, 배타적 유형 구분이 어려운 것이 단점

5속담의 문학적 의의: 속담이 지닌 영향력(문학에서도 발휘)

1. 속담은 일상대화나 다른 문학작품 속에 끼어서 그 의미를 강화시킨다.

-속담을 가장 많이 애용하는 하층민, 양반층+권세가에 대한 속담으로 집단적 사고 추정

사모 쓴 도둑놈 관찰사 닿은 곳에 선화당 만만한 데 말뚝 박는다 등

-양반에 대해 부정적이며 적대적, 악담에 가까운 발언도 존재

-속담으로 생활상 파악 가능, 비판적 시각은 속담의 중요한 문학적 기능 중 하나

2. 비유적 특성에서 오는 문학적 의미, 은유나 직유 등의 비유를 사용하여 생성+활용

-다의성과 함축성을 갖춘 본보기, 시대와 지역을 넘어 생명력 유지

3. 문학적 구성-짧은 문장 속에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강렬하게 각인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장치 개발

-옷은 새 옷이 좋고, 사람은 헌 사람이 좋다 / 강렬하게 작용하도록 유도

-은유, 비유, 반복, 대조, 대조, 대구, 의문형식의 설의법 등 다양한 표현기법 사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