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장 속담의 세계
【1】 속담의 특징: ‘민중에 유통되는 관용어구’라는 것이 속담의 정의
▶속담은 구체적이고 특수한 사례를 진술, 일반적·보편적 의미를 유발하는 기능을 가진다.
-언술된 문면 그대로의 의미 이외에 보다 넓은 일반적 의미를 추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
▶속담은 보통의 언술과 구별되고 다른 관용어와 구분
①민중 속에서 생성된 관용적 표현으로서 ②보편적 의미를 강조하기 위하여 쓰여 지는
▶속담은 사회적 소산이다: 대중 속에서 형성, 민중의 산물로 민중이 공감하고 애용 ▶속담에는 민중의 생활철학이 반영(시행착오의 체험을 통하여 얻어진 일반하의 법칙) -처세의 교훈+민중의 신념+세태의 풍자·인생관, 일상생활의 주변에서 보고 느낀 소재로 표현 ▶속담은 향토성을 반영한다(생활습관·풍속·생업과 관련되어 형성) ▶속담은 시대상을 반영한다(시대적 산물로 생성되고 사멸, 시대사조에 따라 호흡) ▶속담의 형식은 간결한 것이 특징(꽉 짜여 있는 토막말, 군더더기가 없는 세련된 말) ▶속담은 언어생활을 윤택하게 한다(비유와 상징으로 사용, 의미 함축, 지혜의 표현) |
③일정한 기능을 갖는 세련된 말
【2】 속담의 생성과 변천: 신라에서 발생(삼국유사)
『삼국유사』 권5 「욱면비염불서승」 =자기일이 급하여 남의 일을 서두른다.
-고려 속요 「정석가」 =군밤에서 싹 나거든(전혀 희망이 없다는 것을 표현)
-『세종실록』 =고려공사삼일(고려의 정치가 내구성 없는 조령모개식)
2. 속담은 설화나 사건을 계기로 발생되기도 한다.(중국의 고사에서 유래되기도 한다)
-닭의 벼슬은 될지언정 소의 꼬리는 되지말라(전국시대 별설가 소진의 말)
-오십보백보(별 차이가 없다)는 맹자가 한 오십보소백보에서 유래
-고사에서 파생(조삼모사, 새옹지마, 오월동주, 삼고초려)
3. 소설의 내용에서 유래, 민중의 공감을 얻고 확대 전파, 유래는 모르고 관용구로 사용
-홍길동전(놈 재주는 홍길동이다), 구운몽(팔선녀를 꾸민다)
-임진록(춥기는 사명당 사첫방이다), 소대성전(소대성이 모양 잠만 자나)
-삼국지에서 파생한 속담(장비하고 쌈 안하면 그만이지 등)
4.발생지역을 드러내기도 한다. 문면에 구체적 지역명이 등장
-평택이 무너지나 아산이 깨어지나, 지저분하기는 오간 다리 밑이라
-종로에서 빰 맞고 한강에서 눈 흘긴다, 은진은 강경으로 꾸려 간다 등
5. 최근에 발생한 속담으로 비행기 태운다, 일진회 맥고모자 같다 등
【3】 속담의 옛 재료: 『용재총화』, 『패관잡기』, 『순오지』 등에 기록
1. 홍만종 『순오지』: 효종 때, 124개의 속담을 한역하여 기록(관심을 가지고 집록)
-홍만종을 속담의 진정한 가치를 이해한 사람이라고 평가
2. 이덕무 『열상방언』: 영조 때 『청장관전서』 중에 「열상방언」 조에 속담 100개 한역 수록
-중국 속담을 본떠 여섯 자로 글자수를 맞추고 압운 결정(어색한 번역, 전달이 어렵다)
3. 조재삼 『송남잡지』: 순조 때 속담의 연유를 밝히고 전와에 의한 오류를 교정
-출전에 따라 견강부회하여 무리하게 설명
4. 정약용 『이담속찬』: 우리나라 속담 200여 수를 한역하여 수록
5. 『동언해』: 작자 미상, 400여 개를 한역하여 수록
6. 최원식 『조선이언』: 한글로 900여개의 속담 기록, 최초의 국문 속담집
【4】 속담의 유형 및 기능: 내용별로 총 48개 군으로 나누어 설명한 『한국속담활용사전』
1. 교훈형은 교훈과 경계를 목적으로 하는 것, 격언이나 금언과 유사 -만고불변의 보편적 진리, 처세관련 내용, 심성이나 심리 등을 표현 ▶달도 차면 기운다/자연의 보편적 질서에 가까운 속담(보편적 진리+인생무상을 깨우치는 말)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있다 / 인간과 인간관계를 중시한 속담 /찬물도 위 아래가 있다 -작은 재주를 자랑해서는 안 된다는 교훈을 내포, 올바른 자세 유지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 /인간의 품성 등에 얽힌 교훈 -집에서 새는 바가지는 들에 나가도 샌다. 중은 뭣을 해도 무릎을 꿇고 한다. |
2. 풍자형은 어떤 행위·행위자에 대한 비판과 조롱의 뜻을 담고 있다.(문면에 그대로 노출) ▶횃대 밑에서 호랑이 잡는다 / 능력이 없으면서 능력이 있는 체 큰 소리치는 사람에 대한 풍자로 부정적인 인간형을 특수한 사례를 들어 유형화하여 풍자 ▶노처녀보고 시집가라 한다 / 쓸데없는 소리를 하는 것을 풍자, 행동 교정의 효과 형성 -행위나 행위자에 대한 효과적인 비난 수단으로 적절한 비판을 가하는 기능으로 작용 -우물에서 슝늉 달란다, 업은 아이 3년 찾는다 등 풍자기법 특수성으로 표현 가능 |
3. 표현형은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 것이 주목적, 절묘한 비유로 효과 형성, 직유적 표현 ▶저녁 굶은 시어미상 / 인상 쓰고 있는 모습을 표현, 찌푸린 사람의 얼굴모양을 표현 -교훈, 풍자의 의도 없이 당시의 얼굴 모양을 표현하는데 주력 ▶게 눈 감추듯 / 정지된 모습이 아니라 행위나 동작을 표현(잽싸게 움직이는 모습) -생활경험이 같은 사람들끼리 의미를 생생하게 전달, 재미있게 전달 ▶개 보름 쇠듯 / 처지를 표현(딱한 신세), 대보름에는 개에게 먹이를 주지 않는 풍습 -곤궁한 처지나 가련한 신세를 드러내는 내용, 향유층의 생활상 표현 |
-한 눈에 내용파악(장점), 기준에 따라 가감, 배타적 유형 구분이 어려운 것이 단점
【5】 속담의 문학적 의의: 속담이 지닌 영향력(문학에서도 발휘)
1. 속담은 일상대화나 다른 문학작품 속에 끼어서 그 의미를 강화시킨다.
-속담을 가장 많이 애용하는 하층민, 양반층+권세가에 대한 속담으로 집단적 사고 추정
①사모 쓴 도둑놈 ②관찰사 닿은 곳에 선화당 ③만만한 데 말뚝 박는다 등
-양반에 대해 부정적이며 적대적, 악담에 가까운 발언도 존재
-속담으로 생활상 파악 가능, 비판적 시각은 속담의 중요한 문학적 기능 중 하나
2. 비유적 특성에서 오는 문학적 의미, 은유나 직유 등의 비유를 사용하여 생성+활용
-다의성과 함축성을 갖춘 본보기, 시대와 지역을 넘어 생명력 유지
3. 문학적 구성-짧은 문장 속에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강렬하게 각인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장치 개발
-옷은 새 옷이 좋고, 사람은 헌 사람이 좋다 / 강렬하게 작용하도록 유도
-은유, 비유, 반복, 대조, 대조, 대구, 의문형식의 설의법 등 다양한 표현기법 사용
'구비문학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12. 수수께끼의 세계 (1) | 2022.09.09 |
---|---|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10. 재담의 세계 (2) | 2022.09.08 |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9. 민속극의 세계 (2) | 2022.09.08 |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8. 판소리의 세계: 이야기를 노래하는 구비서사가요(서사무가와 서사민요) (1) | 2022.09.07 |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7. 민요의 세계 (0) | 2022.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