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정비사업

(54)
자동차정비소, 자동차학과, 자동차정비기사 등 자동차정비사업 요점정리 44. 안전관리 18 44. 안전관리 18 1. 고압가스 위험물 가. 위험물의 개요 일반적으로 위험물이라 함은 25℃, 상압(1기압)에서 대기 중의 산소 또는 수분 등과 쉽게 그리고 격렬히 반응하면서 짧은 시간 내에 방출되는 막대한 에너지로 인해 화재 및 폭발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물질로, 이들에 대한 일반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자연계에 흔히 존재하는 물 또는 산소와의 반응이 쉽다. ● 반응 시 수반되는 발열량이 크다. ● 반응 시 수반된 발열량이 크다. ● 수소와 같은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킨다. ● 화학적 구조 및 결합력이 매우 불안정하다. (1) 발화점 어떤 물질이 충분한 산소 중에서 스스로 연소하려면 최소한의 에너지가 필요한데 이 에너지를 최소발화 에너지라고 하고 이때의 온도를 발화온도 또는 자동발화온도(AIT : ..
자동차정비소, 자동차학과, 자동차정비기사 등 자동차정비사업 요점정리 43. 안전관리 17 43. 안전관리 17 라. 소화기 (1) 소화기 적용 표시 가) A급 : 타고나서 재가 남는 화재(나무, 종이 등 일반가연물) 나) B급 : 타고나서 재가 남지 않는 화재(유류 및 가스화재) 다) C급 : 전기기기 등에서 발생 라) D급 : 마그네, 칼륨 등 가연성 금속 화재 마) F(k)급 : 식용유 화재 * 우리나라는 A,B,C 급만 규정 (2) 소화기 사용법 가) 불이 난 곳에 소화기를 가까이 한다. 나) 소화기의 손잡이 부분에 있는 안전핀을 뽑는다.(둥그렇게 손가락을 끼울 수 있 는 원이 있는 핀) 다) 바람을 등지고 불이 난 방향으로 호스를 조준 한다. 라) 호스를 손으로 꽉 잡고 소화기의 윗부분에 눌러지는 손잡이를 누른다. 마) 불씨가 있는 불 아래쪽을 향해 화재를 진압 한다.
자동차정비소, 자동차학과, 자동차정비기사 등 자동차정비사업 요점정리 42. 안전관리 16 42. 안전관리 16 3. 소방 설비 가. 옥내외 소화전 설비 (1) 옥내 소화전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 발생 초기에 자체 요원에 의하여 신속하게 화재 를 진압할 수 있도록 건축물 내에 설치하는 고정식 물 소화 설비이다. (2) 옥외 소화전 설비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자체 소화 또는 인접 건축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건축물 외부에 설치하는 고정식 물 소화 설비로서 건축물 1, 2층 부분 정도의 화재 소화에 유효하다. 나. 설치대상 (1) 옥내 소화전 (2) 옥외 소화전 다. 소화설비 종류 (1) 물 분무 소화 설비 물 분무 소화 설비는 물을 미세한 입자의 상태로 분사시켜 방호 대상물을 균일한 물 입자로 덮음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에 의해 화재를 진화시키거나 연소..
자동차정비소, 자동차학과, 자동차정비기사 등 자동차정비사업 요점정리 41. 안전관리 15 41. 안전관리 15 2. 화재의 방지 대책 가. 화재의 예방 (1) 전기 화재 예방 가) 접촉 불량으로 인한 화재 ① 원인 전기가 흐르고 있는 전선 즉 전기가 가는 길에는 곳곳에 많은 접속점 (회로의 분기 등)이 있다. 이 접속점에서 저항이 생겨 전류의 흐름에 장애가 생기고 발열 이 된다. 이런 상황이 누적 되면 전선의 피복에 누런 변화가 생기며 급기야 탄화 되어 전선의 피복에 불이 붙기도 하며, 피복 내부의 전선이 단락이 되어 스파크 가 발생하여 인화 물질인 유증기에 불씨가 되기도 한다. ② 예방요령 전선의 접촉 저항을 줄이기 위해 접속점을 규격의 부품을 사용하고 적절한 조 임으로 조여야 한다. 정기적으로 접속점을 점검 하여야 한다. 나) 누전으로 인한 화재 ① 원인 누전이란 전기장치를 위해 설치된 ..
자동차정비소, 자동차학과, 자동차정비기사 등 자동차정비사업 요점정리 40. 안전관리 14 40. 안전관리 14 1. 화재의 위험성 가. 화재란 (1) 연소의 정의 물질이 탄다는 것을 또 다른 표현으로 연소라 한다. 연소 한다는 것은 화학반응으로 발열과 발광을 수반하는 산화반응을 말한다. 즉 물질이 외부로부터 점화에너지를 받아 산소와 화합하여 산화반응을 일으켜 점화에너지 이상의 열에너지를 발생하고 다른 물질 로 변화하는 것이다. 이렇게 발생 된 열에너지를 발열이라고 한다. 그리고 발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면 그 온도에 대응하는 열 복사선을 방출하는데 다시 온도가 고온으로 되 었을 때의 열 복사선은 가시광선 대역으로 들어오는 파장으로 되어 돌아오는데 이것이 발광이다. 연소가 되기 위한 필수 요소로는 가연성물질(가연물), 산소공급원, 점화에너 지 등 세 가지 요소가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이들을 연..
자동차정비소, 자동차학과, 자동차정비기사 등 자동차정비사업 요점정리 39. 안전관리 13 39. 안전관리 13 마. 시험기의 운용 (1) 절연시험기 저압 전로에 사용되는 절연체의 절연성능 확인(간이법)하는 계측기로 이동식 전기설 비(핸드그라인더, 핸드드릴 등)의 절연저항 측정, 감전재해 조사 시 재해발생 기인물의 절연저항 측정, 각종 저압전로(조명전로, 전동기 권선 등)의 절연성능 확인, 각종 절연 손상 가능성이 높은 설비의 절연저항 측정 시 사용한다. 가) 측정원리 외부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전로의 대지 간에 사용전압보다 높은 외부전압(DC 500V 또는 1,000V : 계측기에서 발생)을 인가하여 발생하는 누설전류를 역으로 계 산하여 저항으로 표시해 준다. 나) 주의사항 ① 계측기 발생 전압이 DC 500V 이상이므로 인체에 직접 접촉 금지 ②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만 절연저항 측정..
자동차정비소, 자동차학과, 자동차정비기사 등 자동차정비사업 요점정리 38. 안전관리 12 38. 안전관리 12 4. 예방 및 보수 가. 예방 보수의 필요성 전기기기는 설치 순간부터 열화현상이 서서히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나 주위 환경이나 운전조건에 따라 열화되는 속도가 달라지므로 적절한 예방 보수 및 대책으로 열화로 인 한 재해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명 연장도 가능하다. 전기기기의 예방 보수는 인명과 재산의 손실 예방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의 장점 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① 사고를 감소시키고 중대한 재해사고로 발전하기 전에 대책을 마련할 수 있다. ② 생산성 향상, 재해 감소를 위한 경영상의 노력으로 가동정지 시간이 단축된다. ③ 재해 감소에 따른 보험상의 혜택 또는 기타 재해로 인한 직·간접비용이 감소된다. 나. 예방 보수의 주요 항목 (1) 변전실 또는 전기실 가) 보호..
자동차정비소, 자동차학과, 자동차정비기사 등 자동차정비사업 요점정리 37. 안전관리 11 37. 안전관리 11 3. 전기설비의 방호 장치 가. 누전차단기 누전차단기는 지락 전류에 의한 감전·화재 및 기계·기구의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 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저전압 전로에서는 누전 차단의 주된 사용 목적은 다음과 같다. ① 감전 보호 ② 누전 화재 보호 ③ 전기설비 및 전기기기의 보호 ④ 기타 다른 계통으로의 사고 파급 방지 누전 차단기의 보호 기능별 종류와 용도는 와 같다. 나. 자동 전격 방지기 교류 아크 용접기는 무부하 시 2차측 홀더와 어스가 약 65V~90V의 높은 전압이 걸려 작업장에 대한 위험도가 높으므로 용접기가 아크 발생을 중단시킬 때 단시간 내에 용접 기의 2차 무부하 전압을 안전 전압인 25V 이하로 내려줄 수 있는 전기적 방호장치이다. (1) 자동 전격 방지장치의 동작 원리..
자동차정비소, 자동차학과, 자동차정비기사 등 자동차정비사업 요점정리 36. 안전관리 10 36. 안전관리 10 다. 감전에 의한 재해 전기의 재해 중 가장 빈도수가 높은 것이 감전 재해 즉 전격에 의한 재해이다. 감전이 란 인체 일부 또는 전체에 전류가 흘렀을 때 인체 내에서 일어나는 생리적인 현상으로 서 근육의 수축, 호흡 곤란, 심실 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등으로 인하여 사망하 거나, 추락·전도 등 2차적 재해를 유발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전격에 의한 인체 의 반응 및 사망 한계는 그 속성상 인체의 실험이 매우 어렵고 또 어떤 실험결과가 나와 도 그것의 검증이 어렵다는 점과 인간의 다양성(키, 몸무게, 성별, 인종별), 재해 당시 상황의 변수(땀, 습기, 접촉 부위의 물리적 상태) 등의 이유로 국제적으로 그 기준이 일 치되어 있지 않으나 비교적 일치되어 ..
자동차정비소, 자동차학과, 자동차정비기사 등 자동차정비사업 요점정리 35. 안전관리 9 35. 안전관리 9 제 2절 전력관리 1. 전기 재해의 위험성 일반적으로 전기 재해는 인체에 직접 전기가 흘러 발생하는 감전 재해와 전기가 점화 원으로 작용하여 발생되는 화재·폭발 및 정전기, 전자파에 의한 자동화 전기 기계·설 비의 오동작 등이 있다. 감전에 의한 재해는 그 빈도수에 있어서 전체 산업재해 중 차지하는 비율은 높지 않으 나 심각한 잠재적 사고위험 요인을 내포하고 있어 재해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기계적 위험과는 달리 전기적 위험은 몇 가지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 전기는 위험의 감지가 어렵다는 것이다. 전기는 눈에 보이지도 않고 소리나 냄 새도 맡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손으로 확인할 수도 없기 때문에 더욱 위험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높은 사망률이며 이는 수 분 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