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정비사업

자동차정비소, 자동차학과, 자동차정비기사 등 자동차정비사업 요점정리 36. 안전관리 10

반응형

36. 안전관리 10

 

다. 감전에 의한 재해


전기의 재해 중 가장 빈도수가 높은 것이 감전 재해 즉 전격에 의한 재해이다. 감전이
란 인체 일부 또는 전체에 전류가 흘렀을 때 인체 내에서 일어나는 생리적인 현상으로
서 근육의 수축, 호흡 곤란, 심실 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등으로 인하여 사망하
거나, 추락·전도 등 2차적 재해를 유발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전격에 의한 인체
의 반응 및 사망 한계는 그 속성상 인체의 실험이 매우 어렵고 또 어떤 실험결과가 나와
도 그것의 검증이 어렵다는 점과 인간의 다양성(키, 몸무게, 성별, 인종별), 재해 당시
상황의 변수(땀, 습기, 접촉 부위의 물리적 상태) 등의 이유로 국제적으로 그 기준이 일
치되어 있지 않으나 비교적 일치되어 있는 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인체가 감전되었을 때 그 위험도는 다음과 같은 순으로 크게 영향을 받는다.
① 통전 전류의 크기(인체에 흐르는 전류의 값 mA)
② 통전의 시간과 전격의 위상
③ 통전 경로 즉, 전류가 흐르는 인체의 부위가 특히 심장을 통과하게 되면 심장에
충격을 주어서 소위 심실 세동 현상을 일으켜 이것이 전격에 의한 사망의 주된 원
인이 된다.
④ 전원의 종류(직류보다 상용 주파수의 교류 전원이 더 위험하다)
그리고 인체에 대한 전격의 영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전격이 신
경과 근육을 자극해서 정상적인 기능을 저해하는 것으로서 신경과 근육에 전기신호가
가해져 근육의 수축 또는 심실 세동을 일으키는 현상이고, 둘째는 전기 에너지가 생체
조직의 파괴, 소손 등의 구조적 손상을 일으키는 것이다.


2. 감전 재해 방지 대책


가. 전기 기계·기구에 대한 감전 재해 방지 대책


전기 기계기구(전기기기)의 감전 사고는 전기기기의 노출된 충전부에 직접 접촉하여
발생하거나 전기기기의 금속제 외함 등의 비충전 부분이 절연 열화 등의 원인으로 누전
되었을 경우 접촉될 때 발생하는 것이다.


(1) 직접 접촉에 의한 감전 방지
작업 도중의 부주의나 기타 사고에 의하여 충전부에 작업자가 직접 접촉하여 발생하는 감전 사고의 방지 대책은 다음과 같다.
가)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형 외함 구조 제작
나) 충전부에 방호망 또는 절연덮개 설치
다) 발전소·변전소 및 개폐소 등 구획되어 있는 장소로서 관계 근로자 외의 사람
은 출입이 금지되는 장소에 설치
라) 전주 및 철탑 위 등 격리되어 있는 장소로서 관계 근로자 외의 자가 접근할 우
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


(2) 간접 접촉에 의한 감전 방지
절연 손상으로 인한 위험 전압의 발생으로 야기되는 간접 접촉은 주로 신뢰성 있는 기
기의 사용과 유자격자가 신중하게 기기를 설치함으로써 방지 할 수 있다.
가) 작업 장소를 절연하고자 할 때는 작업자가 접촉될 수 있는 모든 도전성 금속(작
동 시 충전되는 부분 제외)을 절연 처리해야 하며 작업장 바닥도 절연물로 마
감해야 한다.
나) 누전이 발생하더라도 안전 전압 이하로 하여 감전 사고를 유발시키지 않는다.
다) 발생되는 위험한 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평상시 충전되지 않는 도전
성 부분(금속은 제외함)을 접지극에 연결하는 것으로 이때의 접지 저항은 가능
한 작은 것이 좋고 접지 저항과 해당 기기의 과전류 차단 값의 곱이 안전 전압
이내이면 안전하다고 판정할 수 있다.


(3) 설치상의 안전 대책
가) 전기 기계류의 구조는 그 사용 장소의 환경에 적합한 형식을 설치해야 한다.
(예 : 방수형, 옥내형, 옥외형, 방폭형 등)
나) 운전, 보수 등을 위한 충분한 작업 공간 및 냉각이 잘 이루어질 수 있는 장소
에 설치한다.
다) 리드선의 접속은 기계의 진동 등에 의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한다.
라) 전동 기류의 가동부에 의한 재해의 우려가 있는 기계의 조작부는 작업자의 위
치에서 쉽게 조작 가능한 위치에 있어야 한다.

나. 접지
접지는 크게 계통 접지와 기기 접지로 구분한다. 계통 접지란 발전기 또는 변압기의
중심점 등을 접지시키는 것으로 직접접지, 비접지, 저항접지 등으로 구분되어 각각 서
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고, 기기 접지란 이와는 별도로 인명의 보호를 주목적으로 하
여 실시하는 것으로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1) 접지의 목적
접지는 누전 시에 인체에 가해지는 전압을 감소시킴으로써 감전을 방지하고 지락 전
류를 원활히 흐르게 함으로써 차단기를 확실히 동작시켜 화재·폭발의 위험을 방지하
기 위해서이다.
(2) 접지 공사의 종류 및 접지 저항
전기기계·기구의 철대 및 외함에는 <표 3-23>에 준하는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며 이
외에도 아래의 경우에는 접지해야 한다.
가) 폭발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의 전기기계·기구
나) 접지된 전기기계·기구 또는 금속체 등으로부터 수직 2.4m, 수평 1.5m 이내
의 고정식 금속체
다) 크레인 등 이와 유사한 장비의 고정식 궤도 및 프레임

라) 고압의 전기를 취급하는 변전소·개폐소 등 기타 이와 유사한 장소를 구획하
기 위한 방호망 등


(3) 접지계통의 분류

 

표 3-23. 접지 공사의 종류 및 접지 저항

접지 사고 및 피뢰기 동작 시에는 대지전압의 상승, 기타에 의해 다른 전기기기에 역
섬락을 일으키고 또 평상시 운전 중에도 유도장해를 일으키므로 설비기기의 종류에 따
라 그 사고 발생 빈도를 고려하여 접지계통을 분리할 필요가 있다.
가) 일반 기기 및 제어반 : 변압기, 차단기, 발전기, 전동기 등의 접지 개소는 모두
연접선과 연결한다.

나) 피뢰기 및 피뢰침 : 피뢰기 및 피뢰침은 동작 시 동작전류에 의해 악영향을 미
치므로 별도 계통한다.
다) 옥외 철구 : 변전소에 시설되어 있는 기계·기구 등의 접지와 연접 접지를 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 케이블 : 구내의 동력 케이블은 금속어스의 일단(부하측)을 연접선에 연결하고
양자를 접지하지 않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