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 안전관리 12
4. 예방 및 보수
가. 예방 보수의 필요성
전기기기는 설치 순간부터 열화현상이 서서히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나 주위 환경이나
운전조건에 따라 열화되는 속도가 달라지므로 적절한 예방 보수 및 대책으로 열화로 인
한 재해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명 연장도 가능하다.
전기기기의 예방 보수는 인명과 재산의 손실 예방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의 장점
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① 사고를 감소시키고 중대한 재해사고로 발전하기 전에 대책을 마련할 수 있다.
② 생산성 향상, 재해 감소를 위한 경영상의 노력으로 가동정지 시간이 단축된다.
③ 재해 감소에 따른 보험상의 혜택 또는 기타 재해로 인한 직·간접비용이 감소된다.
나. 예방 보수의 주요 항목
(1) 변전실 또는 전기실
가) 보호 접지의 단선 또는 미비 여부
나) 통로 열쇠, 위험 경고 표지 등의 유지 상태
(2) 배선
가) 배선 기기류의 보호 접지 상태
나) 경고 표지·기계적 손상방지 커버 등의 유지 상태
(3) 제어기기
가) 보호 접지 상태
나) 안전 관련 작업 지침서 인터로크(interlock) 등의 유지 상태
다) 외함의 손상 여부
(4) 회전기기
가) 보호 접지 상태
나) 외함, 단자대 등의 접촉방지장치의 파손 또는 적정 여부
다) 접속부의 인장력이 직접 전달되지 않는 구조일 것
(5) 퓨즈, 배선용 차단기(MCCB)
가) 외함, 애자 등의 손상 여부
나) 규격 및 용량적부 여부
(6) 이동용 기기
가) 이동용 배선의 손상 여부
나) 접속부에 인장력이 직접 전달되지 않는 구조의 유지 여부
다) 플러그, 소켓의 손상 여부, 날의 파손 여부
라) 이동용 손전등의 방호망, 절연 상태 적정 여부
마) 습기 있는 장소에 사용하는 전동 공구의 외부 손상, 절연 상태 유지 여부
(7) 보호용 기구
가) 보호구, 검전기 등의 정상 작동 여부
나) 절연 상태 적합 여부
다. 점검 주기
기기의 점검 주기는 일률적으로 결정하기가 어렵다. 기기의 열화현상은 주로 주위 환
경과 운전조건에 달려 있으므로 같은 기기의 점검 주기를 모두 일률적으로 정할 수 없
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가이드라인(guideline)을 제시하면 표와 같고 이 점검 주
기는 설치장소의 온도, 습도, 분진, 가스, 공기 오염도 및 운전 조건을 고려하여 신축적
으로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 전기 안전 점검 수칙
(1) 점검계획 수립·준비
가) 점검자는 반드시 작업 관계책임자의 협조 하에 점검을 실시한다.
나) 작업 관계책임자는 점검 시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감독하고 적절한 지시를 내
릴 수 있는 체제를 갖춘다.
다) 점검에 착수할 때는 전원차단, 보호구 착용 및 점검구역과 출입구역을 로프, 표
시 깃발, 표시 막대 등으로 구획하고 점검범위를 정한다.
(2) 복장 및 안전 용구
가) 복장은 가볍고 단정한 복장을 하고 단추가 떨어진 작업복, 헐렁한 복장, 징이 박
혀 있는 구두, 슬리퍼 등은 피하며, 마른 목장갑과 절연모를 착용하고 특히 고
무장화를 착용한다.
나) 점검에 필요한 플라이어, 나이프, 드라이버, 스패너 등의 공구는 벨트, 공구함에 수납하여 휴대한다.
다) 반지, 손목시계, 특히 금속 밴드가 달린 손목시계 등은 반드시 벗고 작업한다.
라) 작업에 필요한 보호구(고압용 고무장갑, 전기용 고무장화, 절연모), 방호기구
(고무관, 고무판), 공구·재료(훅 막대, 표지, 로프, 단락접지 용구, 고압 검전
기, 저압 검전기 등)를 항상 준비하여 손상이나 열화의 유무를 사전에 점검한
후 사용한다.
마) 위험 또는 유해한 업무에 임할 때는 보호구를 착용한다.
바) 빗줄기 속에서 사용한 훅 막대는 반드시 닦아서 정해진 장소에 보관한다.
사) 훅 막대, 전기용 고무장갑 그리고 절연대 등은 정기적으로 시험하여 양호한 절
연 상태로 해 둔다.
아) 부주의 또는 실수로 활선 부분에 닿지 않도록 방호 고무관, 고무판 등을 사용
한다.
(3) 점검 시의 안전
가) 점검은 2명 이상이 하고, 1명은 안전성 확보를 위한 감시에 역점을 둔다.
나) 순회 점검 시에는 내장 기기, 부품에는 손을 대지 말고 육안 점검으로 할 것(접
촉 위험을 방지한다), 또 모선으로부터 떨어져서 육안 관찰하고 통전 중일 때는
필요한 절연거리 범위 내에 접근하지 않는다.
다) 순회 점검할 때에는 운전 중에 문을 개폐하지 말고 외관 점검, 계기 지시 점검
으로 한다.
라) 전동기 등을 정지하고 큐비클(Cubicle) 내부를 점검할 때는 ①‘투입금지’라는
표지판 부착, ② 차단기를 개방, ③ 단로기를 개방, ④ 잠금장치 설치, ⑤ 점검
실시 등의 순서로 한다.
마) 정기 점검, 수리 등에서 큐비클(Cubicle) 이면판 등을 분리할 때는 주머니 안에
있는 것을 꺼내고 완장, 시계 등을 벗어 이물질이 내부로 들어가는 일이 없도
록 한다.
바) 정기 점검, 수리 등에서 큐비클(Cubicle) 이면판 등을 분리할 때는 떨어져서 부
상을 입는 일이 없도록 주의한다.
사) 부하측 기기를 점검할 경우에는 단로기를 열고 큐비클(Cubicle)에는‘조작금지’
라는 표지판을 걸고 작업을 시작한다.
아) 중량물을 들어 올린 그 밑에서는 절대로 작업하지 않는다.
자) 세척하기 위해 휘발성 오일을 사용할 때에는 주위 5m 이내를「화기엄금」으로
한다.
차) 시너, 도료 등을 다량 사용할 경우에는 환기를 충분히 하고 기름에 의한 오염은
신속히 청소한다.
카) 높이 2m 이상에서 작업할 때에는 반드시 작업대를 설치하되 절연모를 착용하고
공구나 물건을 던져 올리거나 던져 내리거나 하지 않는다.
타) 사다리는 오르내리는 용도로만 사용하여야 하고 반드시 상부와 하부를 고정하고
미끄럼 방지를 하며 가능한 한 작업 보조원을 두고 하부를 확보한다.
파) 이동식 사다리에 올라서서 작업을 하지 말고 기기의 돌기 부분을 발판으로 삼
지 않는다.
(4) 전기 취급상의 안전
가) 전기설비에 접근하기 전에는 검전봉을 사용하여 통전상태(사활)를 확인한다.
나) 정전시키고 작업 중일 때는, 다른 사람이 모르고 스위치를 넣는 일이 없도록‘작
업 중’,‘ 투입 금지’라는 주의 표시판을 달고 잠금장치(Lock-out)를 설치한다.
다) 통전 중에 기기에 접근할 때는 막대 등과 같은 물건을 들거나 안전모를 쓰지 않
고 가는 일이 없도록 한다.
라) 훅 막대를 조작하는 단로기, 전력 퓨즈, 교류 부하 개폐기 등을 개폐할 때는 반
드시 규정된 훅 막대를 사용한다.
마) 계기용 변성기나 차단기 등과 같은 고압 회로에 접촉할 경우에는 해당 단로기
를 안전하게 개방하고 잠금장치를 채운다. 또한‘투입 금지’라는 표시판을 내
건 다음 완전하게 회로를 접지한 후 작업을 한다.(정전유도나 잔류전하에 의해
감전될 우려)
바) 콘덴서는 차단기를 개방하더라도 잔류 전하에 의해 충전되어 있으므로 점검 등
을 할 경우에는 반드시 각 상의 단자를 접촉하고 잔류전하를 방전하고 나서 작
업에 착수한다.
사) 절연저항을 측정한 다음에는 반드시 방전시킨다.
아) 통전 중인 계기용 변성기의 2차, 3차회로는 절대로 개로하지 않는다.
자) 저압이라고 가볍게 생각하여 노출 충전부에 접촉하지 않는다.
차) 습한 곳, 철판 위 등에 서서 젖은 손으로 전기 회로에 접촉하지 않는다.
카) 공동 작업자와의 신호, 연락 방법 또는 감시·감독을 확실하게 한다.
타) 자가용 수전실 및 배전 선로에서 작업을 할 때에는 다른 선으로부터 유도되거나
교차 또는 근접선의 접촉 등으로 인해 뜻하지 않은 사고발생으로 충전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간단한 작업이더라도 반드시 작업 개소에서는 단락접지 용구를 사
용하여 접지를 설치하고 작업의 안전을 도모한다.
파) 단락접지 용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한다.
- 접지 도선은 22㎟의 가용성을 충분히 지닌 연동 절연선으로 하고 단락용 케
이블은 가능한 한 짧게 해서 전체 길이를 1.5m이하로 한다.
- 접지측 철물은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하고 쉽게 탈착할 수 있는 나비나사
로 고정한다.
- 전선측 철물은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하고 쉽게 탈착할 수 있는 구조로
한다.
하) 단락접지 용구는 미리 정해진 접지극 전선에 접속한다.
거) 단락 접지는 다음과 같이 할 것-개폐기의 개로를 확인한 다음에 훅 막대, 검전
기 등으로 충전되어 있지 않음을 재확인할 것-단락접지 용구 용구를 부착하려
면 우선 접지측 철물을 접지선에 접속하고 그 다음 전선 측 철물을 기기 또는 전
선에 확실하게 접속시킨다.
너) 단락 접지를 제거하려면 우선 전선측 철물을 떼고 그 다음에 접지 철물과 접지
선과의 접속을 차단한다.
더) 단락접지 용구의 각 부는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그 기능 유지에 힘쓰며 또한 사
용하기 전에도 반드시 점검한다.
러) 단락접지 작업책임자는 해당 시설의 전기담당 책임자로 한다.
(5) 작업·뒤처리
가) 고전압으로 충전 중인 도체에 머리 위 30㎝, 기타 부분이 60㎝인 거리 이내에서
접근할 경우에는 반드시 절연모 등 안전한 복장 및 용구를 착용하고 충전부를 방
호하거나 또는 고압 고무장갑을 착용하는 등 감전 방지조치를 취한다.
나) 고압 전로를 개로하고자 할 경우에는 우선 검전기를 충전부에 가까이 해서 통전
여부를 확인한 후 전로를 개로하고 정지 후 반드시 검전기로 재검전 한다. 충전
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고 작업하기 전에 반드시 단락 접지를 실시한다.
다) 개로한 전로에 잔류 부하가 남아 있을 우려가 있을 때는 접지 용구가 분리되었
음을 확인한다.
라) 점검 작업을 종료하고 통전할 경우에는 감전될 위험이 없고 단락접지 용구가 분
리되었음을 확인한다.
마) 감전 사고는 모든 작업을 막 종료하려는 찰나에 일어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작업
이 끝나더라도 그 자리에서 떠날 때까지는 방심하지 않는다.
바) 점검 작업을 종료할 때는 공구, 재료, 기타 물건, 부주의가 없도록 뒤처리를 완
전하게 한다.
사) 점검 작업을 종료하였을 때 보호구, 공구 등의 수량 및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자동차 정비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정비소, 자동차학과, 자동차정비기사 등 자동차정비사업 요점정리 40. 안전관리 14 (2) | 2023.11.22 |
---|---|
자동차정비소, 자동차학과, 자동차정비기사 등 자동차정비사업 요점정리 39. 안전관리 13 (3) | 2023.11.21 |
자동차정비소, 자동차학과, 자동차정비기사 등 자동차정비사업 요점정리 37. 안전관리 11 (3) | 2023.11.18 |
자동차정비소, 자동차학과, 자동차정비기사 등 자동차정비사업 요점정리 36. 안전관리 10 (4) | 2023.11.17 |
자동차정비소, 자동차학과, 자동차정비기사 등 자동차정비사업 요점정리 35. 안전관리 9 (5) | 2023.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