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733)
자동차학과, 자동차 정비 기능사 등 차의 모든것 자동차 셰시 핵심 요점 96장. 공기 현가장치와 승차감 96장. 공기 현가장치와 승차감 자동차는 동력을 발생하고 이를 바퀴에 까지 전달하는 과정에서 지면에서 바퀴를 통 하여 차체에 전달되는 진동, 발진시나 제동시에 발생되는 진동, 횡풍에 의한 저항 등 수 많은 진동원이 존재한다. 이러한 진동원을 제거하는 것은 무척 어렵고 복잡한 문제 이다. 자동차의 승차감은 보디의 상하 진동수에 좌우되며, 인간의 생체 리듬에 의하면 진동은 사람이 걷는 사이클인 분당 60회 일 때가 가장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고 한다. 진동이 이 많으면(120회 이상) 딱딱한 느낌을 받아 불쾌감을 느끼고, 이보다 작으 면(45회 pm 이하) 현기증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승차감은 차체의 상하 진 동수에 의해 크게 좌우되며 이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스프링 상수와 차체의 무..
자동차학과, 자동차 정비 기능사 등 차의 모든것 자동차 셰시 핵심 요점 95장. 능동형 전자제어 구성 및 기능 95장. 능동형 전자제어 구성 및 기능 공기식 현가장치는 공기스프링, 서지 탱크, 레벨링 밸브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 중 따라 스프링 상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공기식 현가장치는 하중이 감소하여 차고가 높아지면 레벨링 밸브가 작용하여 공기 스프링내의 공기를 방출한다. 또 하중이 증가하여 차고가 낮아지면 공기탱크로부터 공 기스프링에 공기를 압송하여 차고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하중이 증가하 면 스프링은 딱딱해지고, 감소하면 부드러워진다. 이와 같이 스프링 상수가 하중에 따 라 변화하므로 하중이 변동하여도 스프링의 고유진동수는 그다지 변화하지 않기 때문 에 승차감이 좋아진다. 가. 공기 압축기 공기압축기는 왕복식으로 엔진에 의해 구동되며, 실린더 헤드에는 플레이트 형의 흡 입 밸브와 토출 밸브..
자동차학과, 자동차 정비 기능사 등 차의 모든것 자동차 셰시 핵심 요점 94장. 능동형 전자제어 구성 및 제어 94장. 능동형 전자제어 구성 및 제어 전자제어 시스템은 4개의 차고 센서와 3개의 G센서, 압력센서, 모드 선택 스위치와 CAN 통신 데이터가 있으며, 이는 ECU로 입력된다. 입력 신호를 통해, ECU는 출력요 소를 제어하게 되며, 출력요소는 밸브블럭 내부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배기 밸브, 컴프 레서에 장착된 2개의 리버싱 밸브, 컴프레서 릴레이, 4개의 가변 댐퍼 밸브 등으로 구 성되어 있다. 이렇게 능동형 전자제어 현가장치는 다양한 센서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높이를 제어함으로서 기계식에 비해 광범위하고 높은 수준의 제어를 할 수 있다. 가. 주요 구성 (1) 차고센서 차고센서는 앞 차고센서 2개와 뒤 차고센서 2개로 구성되며, 차체와 로워암 사이이 장착되어 차체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레버가 회전하..
자동차학과, 자동차 정비 기능사 등 차의 모든것 자동차 셰시 핵심 요점 93장. 능동형 전자제어 현가장치 주요 구성 부품 93장. 능동형 전자제어 현가장치 주요 구성 부품 능동형 전자제어 현가장치는 기존 코일스프링(coil spring)대신 에어 스프링(airspring)을 장착한 것으로 에어압력을 형성하는 컴프레서와 에어를 공급하는 밸브블록 과 에어 튜브, 에어를 저장할 수 있는 리저버 탱크 그리고 각 센서와 그 정보를 입력 받 아 제어하는 ECS ECU로 구성되어있다. [그림 14-11]은 공기스프링을 이용한 능동형 차고조정식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예를 볼 수 있다. 가. 컴프레서 컴프레서(compressor)는 리저버 탱크의 에어를 각 에어스프링에 보내주거나 반대로 에어스프링의 에어를 리저버 탱크로 보내는 기능을 하며 시스템내의 에어가 부족할 경 우에 작동한다. (1) 구성 몸체는 컴프레서 모터, 2개의 리버싱 밸브(2..
자동차학과, 자동차 정비 기능사 등 차의 모든것 자동차 셰시 핵심 요점 92장. 능동형 전자제어 현가장치 개요 92장. 능동형 전자제어 현가장치 개요 능동형 전자제어 현가장치는 반 능동형 전자제어 장치가 가지고 있는 감쇠력 제어는 물론 차고제어 기능을 추가하여 보다 향상된 차량의 승차감과 주행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이다. 차고제어란 승차인원이나 적재하중의 변화에 따른 차체의 자세 변화를 억제하고, 고속 주행시에는 차량의 높이를 낮춰 주행안정성을 높이며, 험로나 악로 주 행시에는 차고를 높여 노면과의 접촉을 방지하는 등의 차체 높이를 조정하는 등의 차 체의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하는 제어를 말한다. 능동형 전자제어 현가장치에는 차고제 어를 위해 강체 스프링에 비해 유연한 공기 스프링의 특성을 이용한 에어 서스펜션(air suspension)을 사용하고 있다. 초기의 에어 서스펜션은 쾌적한 승차감 확보를 위해 주 ..
자동차학과, 자동차 정비 기능사 등 차의 모든것 자동차 셰시 핵심 요점 91장. 반 능동형 전자제어 주요 제어 기능 91장. 반 능동형 전자제어 주요 제어 기능 감쇠력 가변식 현가장치는 각종 센서의 정보로 차량의 운동 상태를 판단하여 차량 상태가 최적이 되도록 감쇠력을 조절함으로서 승차감과 주행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차 량의 운동 상태는 자동차의 주행 환경이나 운전자의 조작 등에 의해서 유발된다. 이러 한 운동은 크게 수직, 횡, 종 방향의 3방향 운동과 차속의 변화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일 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제어한다. (1) 수직 방향 운동(피칭·바운싱) 감지 및 제어 차체나 차축에 장착되는 G-센서(수직 가속도센서) 또는 차체와 차축 사이에 연결된 차고센서를 이용한다. 수직 방향의 승차감 제어는 일반적으로 G-센서를 이용하여 수행 한다. 만약 G-센서가 전후로 각각 하나 이상씩 장착되어 있다면 바운스 뿐만 아니라 ..
자동차학과, 자동차 정비 기능사 등 차의 모든것 자동차 셰시 핵심 요점 90장. 반 능동형 전자제어 현가장치 구성 90장. 반 능동형 전자제어 현가장치 구성 반 능동형 전자제어 현가장치는 쇽업소버의 감쇠력만을 제어하는 장치로 다단 가변 식이나 연속 가변식 모두 유사한 부품으로 구성된다. 주요 구성품으로는 가속도센서, 차고센서, 조향각센서, 차속센서 등이 사용되며, 이 센서들은 노면 상태등을 포함한 자 동차의 주행 상태와 가속, 제동, 조향 등 운전자의 의지를 전자제어 유니트에 전달한다. 또한 ECS 스위치는 운전자가 자동차의 운동 특성을 승차감 위주 또는 주행안정성 위주 로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전자제어 유니트는 각종 센서들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여 승 차감과 주행 안정성이 가장 적절하게 조화되도록 쇽업소버에 장착된 액추에이터를 구 동한다. 인디게이터(지시계)는 운전자에게 제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주거나 각종 오동 ..
자동차학과, 자동차 정비 기능사 등 차의 모든것 자동차 셰시 핵심 요점 89장. 반 능동형 전자제어 현가장치 종류 89장. 반 능동형 전자제어 현가장치 종류 반 능동형 전자제어 현가장치는 다단 가변식과 연속(무단) 가변식으로 분류된다. (1) 다단 가변식 다단 가변식은 쇽업소버의 감쇠력을 다단계로 변화시키는 장치로 이 형식은 감쇠력 특성 곡선이 가장 낮은 쪽에서부터 가장 큰 쪽까지 다수의 단계로 절환되는데, 일반적 으로 단수는 2~4단 정도이며 사용되는 액츄에이터로는 On/Off 솔레노이드를 사용하 거나 스텝모터를 사용한다. On/Off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감쇠력 가변 방식은 쇽업소버 외부에 장착된 밸브로 유 로를 형성한 뒤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스텝 모터를 이용하는 방식은 쇽업소버 상단에 위치한 스텝 모터가 중공으로 된 쇽업소버 로드 내 부에 위치한 컨트롤 로드를 회전시켜서 그 하..
자동차학과, 자동차 정비 기능사 등 차의 모든것 자동차 셰시 핵심 요점 88장. 반 능동형 전자제어 현가장치 개요 88장. 반 능동형 전자제어 현가장치 개요 반 능동형 전자제어 현가장치는 감쇠력 특성 곡선을 둘 이상 가진다는 의미로지 감 쇠력 가변식이라고도 한다. 감쇠란 힘이 줄어서 약해지는 것으로 진동계의 일부 운동에 대한 저항력에 의해 상실되는 에너지의 소비를 말하며, 현가장치에서 감쇠력이란 스프 링의 움직임(운동)을 멈추려고 하는 쇽업소버의 저항하는 힘을 말한다. 감쇠력이 너무 크면 스프링 작용에 저항하는 힘이 크기 때문에 딱딱한 느낌이 들며, 너무 작으면 스프 링의 힘을 억제하지 못하므로 진동량이 많아 자동차가 작은 변화에도 출렁거리게 된다. 그러나 현가장치에서 요구되는 감쇠력은 주행조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감쇠력을 변 환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쇽업소버의 감쇠력은 쇽업소버의 신장 또는 신축..
자동차학과, 자동차 정비 기능사 등 차의 모든것 자동차 셰시 핵심 요점 87장. 전자제어 현가장치 종류 87장. 전자제어 현가장치 종류 전자제어식 현가장치는 1990년 초에는 대형 고급차에만 장착되던 것이 1990년대 중 반으로 오면서 중형 차량에까지도 보급되기 시작하였으며, 크게 반 능동형과 능동형으로 구분된다. 가. 반 능동형 현가장치 반 능동형 현가장치(semi-active suspension system)는 차량에 장착된 쇽업소버의 운동특성을 가변시킴으로써 주행 안정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킨 장치이다. 반 능동형 현 가장치는 감쇠력 가변식이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4륜의 감쇠력을 독립적으로 제어함 으로써 독립 현가장치의 장점을 최대한 보완한 것으로 각 차륜에 장착된 상하 가속도 센서에 의해 차륜의 거동을 측정하여 독립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차속센서와 조향각센서의 신호를 기준으로 운전자의 급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