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733)
자동차학과, 자동차 정비 기능사 등 차의 모든것 자동차 셰시 핵심 요점 106장. 휠 식 주차브레이크 106장. 휠 식 주차브레이크 휠 식은 일반적으로 뒤 바퀴 브레이크 장치에 사용되며, 드럼식과 디스크식이 있다. 가. 드럼식 드럼식은 내부 확장형이 사용되며, 그림과 같이 풋 브레이크와 겸용으로 된 형식과 주차브레이크 전용으로 된 형식이 있다. 이 형식에서는 작동시 양쪽 바퀴에 같은 조작력이 전달되도록 조작 기구에 이퀄라이 저(equalizer)를 두고 있다. 나. 디스크식 디스크식은 [그림 16-52]의 (a)와 같이 파킹 브레이크가 디스크 브레이크의 캘리퍼 와 일체의 구조로 되어있으며, 브레이크 레버를 당기면, 케이블에 의해 레버가 움직임 과 동시에 그림(b)와 같이 레버 샤프트가 회전하고, 이것에 연결된 링크에 의해 스핀들 을 통해서 화살표 방향으로 피스톤이 이동하고, 패드를 디스크에 압착시켜 제동..
자동차학과, 자동차 정비 기능사 등 차의 모든것 자동차 셰시 핵심 요점 105장. 센터식 주차브레이크 105장. 센터식 주차브레이크 주차브레이크는 자동차의 정지 상태를 유지시키기는 기능을 하며, 주행 중 풋 브레 이크가 고장일 경우 비상 제동용으로도 사용된다. 보통 손으로 작동시키기 때문에 핸드 브레이크라고도 하며 조작기구로는 레버식과 페달식이 있으며, 작동 방식에 따라 센터 브레이크식과 휠 브레이크식이 있다. 최근에는 특별한 전기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전자 식(EPB : Electronic Parking Brake)이 고급차량을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다. 센터식 주차브레이크(center brake)는 트럭이나 버스등 대형차에서 브레이크 드럼 을 변속기 출력축이나 추진축에 설치하여 사용되며 외부 수축식과 내부 확장식이 사용 되고 있다. 가. 외부 수축식 이 형식은 강판제 브레이크 밴드 안쪽에 라이닝을 리벳으..
자동차학과, 자동차 정비 기능사 등 차의 모든것 자동차 셰시 핵심 요점 104장. 압축공기식 배력장치 104장. 압축공기식 배력장치 가. 개요 압축공기식(compressed air type) 배력장치는 압축 공기와 대기압의 압력차를 이용 하여 제동력을 증대시키는 장치로서 대형 버스 및 트럭에 사용되고 있으며, 공기 압축 기, 공기 탱크, 압력 제어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 작동 (1)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마스터실린더의 브레이크 오일이 하이드롤릭 실린더와 릴레 이 밸브 피스톤에 작용하여 대기 밸브를 닫고 공기 밸브를 열어 동력 피스톤 뒤쪽에 공 기가 유입됨과 동시에 반대쪽에 있는 공기는 대기 구멍으로 배출되고 동력 피스톤이 이 동하여 하이드롤릭 피스톤을 밀어 배력 작용이 일어난다. (2) 브레이크 페달을 놓을 때 브레이크 페달을 놓으면 마스터실린더의 유압이 낮아지기 때문..
자동차학과, 자동차 정비 기능사 등 차의 모든것 자동차 셰시 핵심 요점 103장. 진공식 배력장치 103장. 진공식 배력장치 가. 개요 진공(vacuum)이란 공기나 가스를 부분적으로 배출시켜, 물질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을 말하며 대기압보다 낮기 때문에 부압이라 한다. 진공은 가솔린이나 LPG 차량의 경우 흡기매니폴드에서 발생하는 부압을 이용하지만 디젤차량은 흡기 부압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진공펌프를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림 16-37]과 같이 직경 240mm의 실린더에 진공부압을 작용시키면 피스톤 아래 쪽에는 대기압이 작용하기 때문에 피스톤은 부압과 대기압의 차이에 의해 스프링의 힘 을 이기고 약 300kg 정도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는 힘이 발생한다. 하지만 이 상태에 서 그림의 점선과 같이 파이프를 연결하면 피스톤의 양쪽은 같은 진공 상태로 되어 피 스톤은 스프링의 힘에 ..
자동차학과, 자동차 정비 기능사 등 차의 모든것 자동차 셰시 핵심 요점 102장. 제동 배력장치 102장. 제동 배력장치 1. 개요 최근의 자동차는 전기전자 기술의 가속화와 함께 엔진을 포함한 파워트레인 계통도 점점 고성능화 되고 있다. 하지만 자동차는 잘 달리는 것만큼, 잘 멈추는 것도 매우 중 요하기 때문에, 제동 성능은 엔진의 성능을 능가하도록 설계되고 있다. 수퍼카나 레이 싱카가 상상을 초월하는 속도로 달릴 수 있는 것도, 엔진 성능에 걸 맞는 탁월한 제동장 치가 있기 때문이다. 제동 배력장치(servo system)는 제동력을 증가시켜 주는 보조 장 치로 운전자의 피로 경감과 적은 힘으로도 큰 제동력을 얻기 위해 설치된다. 그림은 브레이크를 밟는 힘이 어떤 과정을 통해 바퀴로 전달되는지를 나타낸 것으로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는 힘은 1차적으로 브레이크 페달의 지렛대 원리에 의해 증가된 다...
자동차학과, 자동차 정비 기능사 등 차의 모든것 자동차 셰시 핵심 요점 101장. 브레이크 액 101장. 브레이크 액 브레이크는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한 유압 장치로 유압회로에는 비 압축성 액체인 브 레이크 액이 가득 채워져 있다. 브레이크액은 피마자 기름에 알코올 등의 용제를 혼합 한 식물성 오일이며, 윤활과 부식을 방지하는 기능도 갖고 있지만, 힘을 전달하는 수단 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오일(oil)이 아니라 액(fluid)이라고 한다. 브레이크 액에는 유압회로 발생한 수분을 흡수하여 부 식이나 씰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분 흡수력이 강한 에틸렌 글리콜이라는 성분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브레 이크 액에 약 3 % 정도의 수분이 흡수되면, 끓는점이 약 25% 정도 떨어지게 되는데, 보통 1년에 약 1~2 % 정도의 수분 을 흡수하기 때문에, 2년 정도면 수분이 약 3 % 를 넘게 되고, ..
자동차학과, 자동차 정비 기능사 등 차의 모든것 자동차 셰시 핵심 요점 100장. 드럼 브레이크 방식 100장. 드럼 브레이크 방식 가. 개요 드럼 브레이크 방식은 드럼이 휠과 함께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있으며 브레이크 슈와 확장력을 발생시키는 부품들은 백 플레이트에 설치된다.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브레 이크 슈는 확장 기구에 의해 드럼 내측에 압착되고 슈에 장착된 라이닝(lining)을 통해 제동에 필요한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주 제동시에는 휠 실린더에 의해 작동하지만 보 조 제동장치는 케이블이나 레버에 의해 슈가 팽창되어 라이닝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나. 작동 방식에 따른 형식 (1) 내부 확장식 내부 확장식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마스터실린더의 유압이 휠 실린더에 전달되면 브레이크 슈가 드럼을 향하여 밖으로 벌어지면서 제동 작용을 한다. (2) 외부 수축식 외부 수축식 브레이크는 레버를 ..
자동차학과, 자동차 정비 기능사 등 차의 모든것 자동차 셰시 핵심 요점 99장. 디스크 브레이크 방식 99장. 디스크 브레이크 방식 가. 개요 디스크 브레이크(disc brake)는 바퀴와 함께 회전하는 원판형 디스크의 양쪽에 패드 를 장착하고 유압에 의해 강력하게 접촉시켜 제동력을 발생하는 형식이다. 이 방식은 디 스크가 대기 중에 노출되어 회전하기 때문에 방열이 양호하여 고속으로 주행 시 반복적 으로 사용하더라도 제동력의 변화가 적어 안정된 제동 성능을 얻을 수 있다. (1) 디스크 브레이크의 장점 ① 디스크가 대기중에 노출되어 있어 방열성이 양호하다. ② 페이드 현상이 방지되어 제동 성능이 안정 된다. ③ 자기 배력이 없어 좌우 제동력이 안정돼 한쪽만 브레이크 되는 경우가 적다. ④ 반복 사용하여도 제동력의 변화가 적어 제동 성능이 안정 된다. ⑤ 물이나 진흙 등이 묻어도 디스크로부터 이탈이 용이하..
자동차학과, 자동차 정비 기능사 등 차의 모든것 자동차 셰시 핵심 요점 98장. 브레이크 조작 및 유압기구 98장. 브레이크 조작 및 유압기구 가. 브레이크 페달 브레이크 페달(brake pedal)은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답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펜턴트식과 플로워식이 있다. 초기 자동차에는 대부분 플로워식이 많이 사 용되었지만, 페달장치의 일부가 자동차의 아래로 노출되어 있어 습기나 이물질 등으로 인한 부식이나,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커저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펜턴트식은 힌지를 실내의 페달 브라켓에 연결시켜, 페달을 밟으면 페달 푸시로드를 통해 마스터실 린더로 힘이 전달되는 방식으로 승용차는 거의 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나. 마스터실린더 (1) 구성 마스터실린더(master cylinder)는 마치 주사기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브레이크 부스터에서 가해진 압력에 의해 유압..
자동차학과, 자동차 정비 기능사 등 차의 모든것 자동차 셰시 핵심 요점 97장. 제동장치 개요 97장. 제동장치 개요 [목차여기] 제동장치는 주행하는 자동차를 감속 또는 정지시킴과 동시에 주차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중요한 장치이며 일반적으로 마찰력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어, 그것을 대기속으로 방출시켜 제동 작용을 하는 마찰식 브레이크를 사용하고 있다. 제동장치에는 여러 가지 형식이 쓰이고 있지만, 기본적인 구조는 운전자의 조작력을 링크나 유압을 이용해서 증대시켜 전달하는 조작기구와 그 힘을 받아 제동력을 발생하 는 본체로 구성 되어 있다. 가. 제동장치의 구비조건 제동장치는 자동차의 안전 운행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① 브레이크를 미 작동 시에는 각 바퀴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을 것. ② 자동차의 최고속도와 차량의 중량에 대하여 충분한 제동 작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