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733)
자동차정비소, 자동차학과, 자동차정비기사 등 자동차정비사업 요점정리 4. 리프트 관리 2 4. 리프트 관리 2 다) 수동하강 리프트의 전원이 차단되었거나 유압회로가 손상된 경우 또는 전기적인 문제로 인 해 불가피하게 수동으로 리프트를 하강시키는 경우 수동으로 하강 시킨다. 수동으로 하강시키기 전 다음을 우선 확인한다. ① 리프트 아래의 장애물을 제거한다. ② 메인 전원 스위치와 판넬 전원 스위치를 OFF 시킨다. ③ 절대로 리프트 아래로 사람이 들어가서는 안 된다. ④ 좌우 2개소의 록크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에 있는지 확인한다. ⑤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 유압잭을 이용하여 해제한다. 수동으로 하강시키는 방법은 콘트롤 판넬 비상 하강 콕크(Emergency cock)를 반 시계 방향으로 서서히 돌리면 하강을 시작한다. 이 때 한꺼번에 많은 양을 돌리면 급하강 하므로 특히 주의한다. ..
자동차정비소, 자동차학과, 자동차정비기사 등 자동차정비사업 요점정리 3. 리프트 관리 1 3. 리프트 관리 1 리프트란 자동차를 들어 올려 차량의 아래 부분에서 엔진 또는 변속기의 탈부착 등 주 로 하체 작업 시 사용하는 시설장비로 형식에 따라 2주식, 4주식, X형, 시저스(scissors) 형 등이 있으나 정비사업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2주식, X형, 4주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 2주식 리프트 차량하부에서 정비작업을 할 수 있도록 양쪽에 기둥을 설치하고 4개의 암에 정비차량 을 지지하여 유압 실린더로 들어 올리는데 사용하는 리프트로서 주로 엔진/변속기 탈· 부착 등 하체정비 시 사용된다. (1) 주요작동부 ● 와이어 동조방식 : 리프트를 상승·하강시킬 때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2개 기둥 사이 의 캐리가 정확한 균형을 이루도록 조정하는 장치 ● 상승제한 스위치 : 리프트를 상승..
자동차정비소, 자동차학과, 자동차정비기사 등 자동차정비사업 요점정리 2. 중량물 운반기구 관리 2. 중량물 운반기구 관리 ` 하역운반기계는 물건을 이동시키는 방법에 따라 잭(jack), 체인 블록(chain block), 윈 치(winch) 등의 간단한 기계와 대형인 크레인, 운반 기계 등으로 분류된다. 가. 잭 잭(jack)은 중량물을 수직 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하역 기계로서 각종 공작물의 분해, 조립이나 구조물의 설치 등 이용 범위가 매우 다양하여 산업의 확대와 더불어 다방면으 로 이용되고 있으며 기계 공장의 정반(定盤)위에서 사용하는 센터 잭과 같은 작은 것에 서부터 교량(橋梁)의 밀어 올리기, 건물의 밀어 올리기 등에 사용하는 유압 잭 등 대형 의 것도 있다. 잭의 종류를 분류하면 인력(人力)으로 물건을 밀어 올리는 잭과 동력을 사용하는 대용 량의 잭이 있으며, 작용하는 힘을 큰 힘으로 바..
자동차정비소, 자동차학과, 자동차정비기사 등 자동차정비사업 요점정리 1. 시설·장비관리 시스템 1. 시설·장비관리 시스템 가. 관리의 목적 시설 및 장비관리의 목적은 기계뿐만이 아니라 각종 설비물에 이르기 까지 모든 설비 물에 대하여 항상 완전한 상태로 유지하고, 고장을 사전에 방지하며 고장의 범위를 가 능한 적게 하는 것이다. 과거와 같이 간단한 기계나 장치에 대해서는 관리의 중요성이 크게 요구되지 않았지 만 오늘날 산업이 자동화됨에 따라 각종 기계들은 복잡한 원리와 구조로 설계, 제작되 므로 기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은 물론 정비에 대한 중요성이 깊이 인 식되고 있다. 기계의 관리가 불완전하면 고장이 자주 발생하고 따라서 수리를 하게 된다. 수리 시 간이 길어지면 기계의 가동률이 떨어지고 작업에 지장을 주므로 현장 기술자는 작업의 공정만 우선적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관리의 목..
자동차학과, 자동차 정비 기능사 등 차의 모든것 자동차 셰시 핵심 요점 132장. TPMS 시스템 구성 132장. TPMS 시스템 구성 TPMS는 각각의 휠 안쪽에 장착되어 타이어 압력 센서와, 리시버(ECU), 계기판(타이 어 저압경고등, 고장경고등, 타이어위치 경고등)으로 구성된다. 본 장에서는 이니시에 이터가 적용되지 않는 하이라인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타이어 공기압 경보장치는 차량의 운행조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타이어 내부 압력변 화를 경고하기 위해 타이어 내부의 압력 센서가 압력 및 온도를 지속적으로 감시한다. TPMS 리시버는 각각의 휠 안쪽에 장착된 타이어 압력 센서로 부터의 정보를 분석하여 타이어 상태를 판단한 후 경고등 제어에 필요한 신호를 출력한다. 가. 타이어 압력 센서 타이어 압력 센서(pressure sensor)는 무게가 약 30~40g 정도로 각 휠의 림(rim)에 각각 장착..
자동차학과, 자동차 정비 기능사 등 차의 모든것 자동차 셰시 핵심 요점 131장. TPMS의 종류 131장. TPMS의 종류 가. 공기압 검출 방식에 따른 종류 (1) 간접 검출 방식 간접 방식은 휠 스피드 센서의 신호를 받아 그 변화를 논리적으로 계산하여 타이어 의 압력상태를 간접적으로 유추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오프로드나 비포장도로 주행 시에는 ‘직접 방식’ 에 비해 신뢰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현재는 거의 사용하 지 않고 있다. (2) 직접 검출 방식 직접 방식은 타이어에 장착된 압력센서로 부터 타이어 압력을 직접 계측하고 이를 바 탕으로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방식이다. 비록 ‘간접 방식’에 비하여 고가이나 계측 값 이 정확하고 시스템이 안정적이어서 현재 대부분의 차량에는 이 방식이 적용된다. 나. 공기압 경보 방식에 따른 종류 (1) 로우 라인(Low Line) 방식 로우 라인은 타이어..
자동차학과, 자동차 정비 기능사 등 차의 모든것 자동차 셰시 핵심 요점 130장. 휠의 평형 130장. 휠의 평형 휠은 브레이크 디스크나 드럼, 타이어가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 시 불평형(unbalance)이 있으면 승용차의 경우 대개 60~90km/h, 트럭, 버스는 110~130km/h에서 스프링 아래 부분의 고유 진동수와 공진하여 조향 휠이 떨리고 바퀴에 시미현상이 발생 된다. 따라서 타이어와 조향장치, 현가장치 등의 마모가 촉진되고 안전 운전이 어렵게 된다. 즉 휠의 평형을 유지하는 목적은 안전하고 쾌적한 운행과 타이어의 수명 연장에 있으며 휠의 평형은 정적, 동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가. 바퀴 평형의 필요성 ① 안전하고 쾌적한 운전을 위해 필요하다. 바퀴 평형이 잡혀 있지 않으면 바퀴가 회전할 때 원심력 때문에 진동을 일으켜 조 향 핸들의 시미가 일어나 앞바퀴 현가 부품의 마멸이 촉..
자동차학과, 자동차 정비 기능사 등 차의 모든것 자동차 셰시 핵심 요점 129장. 하이드로 플래닝 및 타이어공기압 129장. 하이드로 플래닝 및 타이어 공기압 1. 하이드로 플래닝 하이드로 플래닝(hydro planing)은 차량이 고속으로 도로면 위에 얇은 수막으로 덮 힌 지면을 주행할 때 타이어는 수상스키와 같이 물 위를 활주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 현 상이 발생하면 차량은 조종성, 제동성, 구동성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견인력이 저하되어 조향장치의 조종이 거의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 하이드로 플래닝 방지 방법 ① 규정 이상 마모된 타이어는 고속 주행 시 교환할 것. ② 공기압을 규정보다 높거나 규정값으로 하고 주행속도를 감소시킬 것. ③ 타이어는 가능한 한 리브 패턴을 사용할 것. 2. 타이어 공기압 공기압이 적정하지 못할 경우 트레드와 노면의 밀착도가 떨어져 마찰력, 제동력, 핸 들링은 악화될 수 밖에 없다...
자동차학과, 자동차 정비 기능사 등 차의 모든것 자동차 셰시 핵심 요점 128장. 스탠딩 웨이브 현상 128장. 스탠딩 웨이브 현상 자동차가 도로 위를 주행할 때에 노면과 맞닿는 부분은 곡선이 아니라 직선인 상태로 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타이어는 탄성이 강하기 때문에 접지면에서 떨어지는 순간 복원 력이 작용해 곧 회복된다. 타이어가 고속으로 회전하면 노면과의 접지부에서 일어나는 변형이 미처 회복되기 전에 다음 변형을 맞게 되어 타이어가 물결 모양으로 되는 현상 이 발생한다. 이러한 진동이 타이어의 회전속도와 같은 주기로 되면 마치 물결치는 모 양이 멈춘 것처럼 보이게 되는데 이것을 스탠딩 웨이브(standing wave) 현상이라 한다. 스탠딩 웨이브는 타이어를 구성하는 타이어 코드나 코드를 접착시켜 주는 접착제의 강도까지 저하시켜서 타이어가 갈기갈기 찢어지는 분열을 일으키게 되어 결국에는 대 형 교통사..
자동차학과, 자동차 정비 기능사 등 차의 모든것 자동차 셰시 핵심 요점 127장. 타이어의 마모 1. 타이어의 마모 타이어의 마모는 내부적인 요인과 외부적인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내부적 요인으로 는 공기압, 고무성질 등을 들 수 있고, 외부적으로는 노면의 상태, 사용조건 등을 들 수 있다. 타이어 옆면에는 “△” 또는 “∧” 표시된 분분이 있으며 ”△” 또는 “∧” 모양의 위치에서 트레드 부분 쪽으로 이동하면 홈속에 마모한도 표시인 돌기 부분(마모한계 1.6mm)이 있다. 트레드가 마모되면 홈의 깊이가 낮아져서 배수 효과가 나쁘며 습한 도로에서는 마찰 계수가 매우 저하되고, 마찰계수의 저하로 인해제동 거리가 길어지게 된다. 트레드가 마모되면 홈의 깊이가 낮아져서 배수 효과가 나쁘며 습한 도로에서는 마찰 계수가 매우 저하되고, 마찰계수의 저하로 인해제동 거리가 길어지게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