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설화의 세계
【1】 설화란 무엇인가: 이야기는 재미와 아름다움을 추구하여 지어낸 언어라는 성격보유
-구비문학의 한 분야인 이야기(설화)는 구비성·서사성·산문성·허구성 등을 특성으로 보유
-산문은 노래로 불리는 시가문학과 달리 율격, 음악성과 관련 없는 말로 형성
-문학이란 예술적 가치가 있는 언어라는 의미와 허구로 지어진 언어구조물의 성격을 포함
【1-1】구비문학의 특성: 구비는 말로 이루어지고 말로 전승되지만 변하지 않는 틀을 지닌다.
1. 『삼국유사』, 『삼국사기』 등의 역사서+한문 문헌에 등재된 이야기들은
-한문으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이야기의 본래 모습 변형, 역기자의 개작 정도에 따라 판정
2. 말로 만들어지고 말로 전승되는 이야기의 특성은 유동성·단순성·보편성·대중성·민족성 등
①유동성: 기억한 자료를 말로 재생=>듣고 기억하는 과정에서 변이 발생(폭이 크다)
②단순성: 인간이 지닌 기억력의 한계로 형태나 내용이 단순하다.
③보편성: 여러 사람이 참여(더하기+빼기), 많은 사람들의 정서와 흥미가 담기게 된다.
-구비문학은 보편적이지 않으면 구연기회가 없고, 구연기회가 없어지면 전승 중단·인멸된다.
④공동체 문학 대중성: 많은 사람의 흥미필요, 전승집단의 가치관+문화와 상충되지 않아야 한다.
-상충되는 부분도 전승되면서 집단의 문화에 동화된다.
⑤민족성: 언어로 전승되므로 언어에 대한 이해 필수, 국경 넘어 전파, 문학적 배경에 따른 변모
-자국문화·문학의 특성을 발견하는 작업 수행(비교신화학·민담학), 타국문학과 비교
【1-2】서사문학적 특성: 이야기는 서사문학, 서사는 사건을 서술한다는 의미로 사용
1. 문학 장르론의 장르분류(서정·서사·극·교술)는 진술대상과 진술방식을 기준으로 나눈 것
①움직이지 않는 정적 대상: 기쁨·슬픔 등의 정서, 선·악의 관념, 지식·사실, 자연풍광 등
②움직이는 동적 대상: 살아있는 인물, 인물의 움직임에는 시간을 필요로 하는 대화가 동반된다.
2. 움직임(주체의 의도 내포), 인물의 행위·대화가 주된 동적 대상, 행위와 말이 사건을 만든다.
-동물이 주체가 되는 서사는 동물의 내면을 인간의 언어로 표현 =>이야기로서 의미 형성
3. 말하는 방식은 주관적 느낌을 표현하는 방식과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구분
①서정: 정적 대상을 주관적인 언어로 표현하는 장르
②교술: 정적 대상을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언어로 이루어진 장르
③극: 동덕 대상을 행위와 언어로 표현하는 장르
④서사: 동적 대상을 객관적·주관적 표현과 전달을 하는 장르
4. 서사는 이야기 문학인 설화, 서사시, 소설 등을 포함한다.
①서사는 인간의 삶을 가장 완벽하게 담아낼 수 있는 양식으로 이야기가 기본이 된다.
②이야기는 전지적 시점에서 설명과 묘사를 곁들여 주체의 움직임 진술, 설화라고도 표현
-설명을 곁들인 서사라는 의미로 삶에서 느끼는 희노애락의 정서가 용해
【1-3】산문적 특성: 산문이란 노래로 불리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율격의 제약이 없다)
-서사를 노래하면 서사시, 한국의 구비서사시는 서사민요와 서사무가=>암기가 필수
1. 음악성에 구속을 받지 않는 자료라는 의미로 이야기의 산문적 성격 강조
-산문언어는 화자가 즉석에서 어휘를 선별+조직+말을 만들어 의도한 바를 상대에게 전달
2. 구연자는 기억된 서사구조를 바탕으로 텍스트를 자신의 언어로 재조직하여 전달한다.
-산문의 특징(전달하려는 의미는 같지만 구체적 어휘·표현방법에서 차이 형성)
3. 인물과 사건이 얽혀 의미를 형성하는 서사구조를 이해+기억=>언어를 재조직하는 과정 필수
【1-4】문학이라는 특성: 예술적 가치가 있는 의미·허구로 지어진 언어구조물의 성격을 포함
1. 이야기는 전승 과정에서 다수의 사람들에 의해 다듬어지고 꾸며지면서 예술성을 획득한다.
-능동적 운반자(이야기를 잘하는 사람)에 의하여 이야기가 지속적으로 전달(보존)
2. 이야기의 생명력은 흥미, 널리 퍼진 이야기들은 문학성을 확보한 유형의 이야기
3. 실제담도 전파+전승되고 있다면 허구성·문학성을 확보했다고 평가(구비자서전적 성격)
-개인의 전(열전)이란 문학양식 정립 =>기억을 이야기로 재조직 =>정감이 혼합되어 진술
【2-1】설화의 전통적 분류법: 3분법과 2분법 사용 ▶신화, 전설, 민담의 3분법: 이야기 분류의 일반적 방법은 그림의 설화 3분법 1 자의 태도·작중시간·공간 성격·증거물의 특징·주인공의 행위·미적 범주·전승범위로 구분 ①신화: 전승자가 신성한 이야기로 인식(태도), 작중시간이 역사적 시간과 다르다. -작중공간은 신성 공간, 증거물은 보편적 성격을 가지며 주인공은 제향을 받는 존재가 된다. -미적 범주는 숭고미를 전승범위는 국가나 민족 등으로 넓게 표현된다. ②전설: 내용을 믿는 전승자의 진지한 태도, 작중시간은 구체적·역사적 시간으로 한정 -작중공간도 실재하는 지리적 공간제시, 증거물은 현실에서 감지 가능한 구체적 사물이다. -주인공은 뜻을 이루지 못하고 실패하는 인물로 구성, 비장미 형성(미적 범주) -전승범위는 증거물이 인지되는 범위와 동일(이 범위를 벗어나면 민담으로 변질) ③민담: 전승자가 내용이 거짓말이라고 인식(태도), 작중시간은 시제상 과거를 나타낸다. -작중공간은 그냥 어느 한 곳, 증거물은 없고 주인공은 보통사람이다. -재미를 중시하여 골계미(미적 범주)를 드러내는 자료가 많고 전승범위는 세계적이다. 2. 신화, 전설, 민담 등 세 가지 이야기 종류의 특성 비교 ①신화는 신성성, 전설은 진실성, 민담은 흥미성이 전승의 원동력으로 작용 ②이야기의 특징은 산문성이지만 율격을 지닌 운문신화 존재(한국의 무속신화=서사무가) ③이야기의 세계 자체만을 본다면 신화와 전설 구별 모호 -전설·민담도 구별 모호, 증거물의 유무로 판별(보편적이지 못하거나 인지되지 못하는 경우) ④신화(신성성 퇴색=>전설·민담), 전설(증거물을 제시·사실성 입증을 못하면=>민담) -민담이 구체적 증거물과 결부되면 전설, 신성성 획득하면 신화가 된다. |
1. 이야기를 진실한 이야기와 진실하지 않은 이야기로 나누는 2분법 ①진실한 이야기: 신화와 전설 // ②진실하지 않은 이야기: 민담과 소담 2. 이야기의 종류에 대한 형식담과 비형식담의 2분법 -형식담은 사건 구성의 흥미보다는 말하는 형식 자체에 흥미가 있는 이야기들이다. ①어휘적 성격 <옛날 옛적> ②반복형식 <쥐의 도강>, <솔방울 여행> ③회귀적 형식 <두더지 혼인> ④모방형식 <도깨비 방망이> ⑤누적형식 <세끼 서발> ⑤형식담의 백미는 무한 반복으로 전개되는 <이야기 속의 이야기> 3. 이야기 구연상황에 따라 일반 이야기와 공연이야기로 구분 ①들어주는 상대가 있어야 구연 가능, 구연자에 따라 이야기의 종류가 달라진다. ②공연이야기(만담)는 직업적 전문 이야기꾼이 다수의 청중을 상대로 구연하는 이야기 *전문적 이야기꾼 등장으로 시작, 어떻게 전달하느냐에 따라 강담사·강창사·강독사로 구분 -강창사(서사시인), 강독사(소설을 읽어주는 사람, 조선말엽의 전기수), 이야기꾼의 시초 광대 *전문이야기꾼=만담가(극장 등의 공연장 설립 시기에 등장), 박춘재·신불출·장소팔·고춘자 등 *제작자·연출자·연기자 협동, 방송매체를 통하여 대중에게 전달, 구연자와 청중 분리 -상업적 목적으로 이익추구, 청중의 요구를 수용 -대중을 의식하여 흥미위주의 주제 사용(언어 유희담, 남녀 대결담, 정치적 풍자담) ③전통이야기는 좁은 이야기판에서 청중과 대화하며 진행 |
【2】 설화의 분류 –이야기 단위잠의 설정과 기능의 측면에서
【2-2】단위담의 분류법 1.단위담 분류의 의의: 실용적 측면으로 활용하기 위해 문화콘텐츠와 접목시키는 작업 필요 ①이야기를 작은 단위로 분류, 단위의 조합으로 서사구조 파악(설화·서사시·소설) -새로운 단위조합을 합성, 새로운 서사문학 창조(드라마·영화 등의 서사 영상문학) ②실용성 있는 분류 시도를 위해 설화를 단위담으로 분절, 단위담 결합 원리 파악 필요 -이야기 주체의 성격과 움직임의 성격 기준으로 한 분류 필요 -설화의 의미(주제)를 드러내는 방식, 주제에 의한 분류와 연결 2.단위담의 설정: 조희중·최인학의 분류(논리적 체계성이 문제), 조동일의 분류(중복성이 문제) ①이야기는 유형·삽화·화소로 분절된다. -설화는 유형으로 처리되지만 여러 유형이 복합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기준으로 분류 불가 ==>이야기를 나누어 단일한 사건과 주제로 이루어진 작은 이야기 단위 설정이 필요 ②단위담은 주체가 성공 또는 실패한 이야기, 완결된 의미를 담아내는 서사의 기본단위 예)<우렁각시>는 3개의 단위담(결연담+분리담+재결합담)으로 구성된 설화 유형에 해당 예)<선녀와 나무꾼>의 단위담은 <우렁각시>와 같은 3개의 단위담으로 구성 -남녀결연담의 공통구조로 애정소설의 기본 구조를 형성 ③지략담의 경우 문제가 제기되고 그 문제가 해결되는 과정이 한 단위담으로 설정 -인물담 중 삽화 하나를 하나의 독립된 단위담으로 설정 가능 =><아지담>류의 설화 ④독립된 삽화, 완결된 이야기를 단위담으로 설정하여 분류의 기본단위로 삼는 분류안 수립 *단위담을 기본단위로 설정하여 이야기 연구 =>이야기 구조분석+종합 작업 체계적으로 진행 -다양한 단위담의 조합을 통해 새로운 서사문학 창작 가능 3.이야기의 요소와 분류항: 서사는 주체의 움직임을 통하여 의미를 드러내는 언어구조물 -이야기의 기본요소는 주체(등장인물=캐릭터론)·움직임·의미 등 1)주체의 행위: 주체의 성격을 기준으로 설화 분류가 가능 한가 검토 ①등장인물의 자질과 급수를 이야기 기준 분류로 설정(주체론), 주인공=동물=동물담, -정신적·육체적으로 탁월한 능력자, 훌륭한 인물이면 신화·신이담·영웅담으로 분류 -보통 인물일 경우 일반담, 수준이하+도덕적으로 부정적인 경우 풍자담·소담 ②이야기 등장인물이 한 부류에만 한정되지 않는 것이 문제점 -한 인물 기준의 유형분류는 이야기의 특성을 드러내기 어렵다고 평가 예)연명담 <단명소년과 북두칠성> 부모는 보통사람, 단명소년은 범인담으로 분류 가능 -연명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인물들 기준으로 분류하면 신이담으로 분류가 변경된다. ==>등장인물의 자질이나 급수를 기준으로 이야기 분류의 문제제기 가능 ③이야기의 의미를 생성하는 서사의 기본 유형을 인물 간 관계를 중심으로 변주화 가능 -교류는 갈등이나 협력을 모두 포함하는 인물관계 전반을 의미 ㉠우월한 존재+우월존재의 교류: 우월한 존재들만 등장, 신화·영웅서사시·전쟁이야기 등 ㉡우월한 존재+보통 인물의 교류: 우월한 존재가 보통 인물을 도와주는 이야기 -난관극복 이야기로 연명설화를 비롯하여 명복담, 명의담, 명풍담 등 ㉢우월한 존재+열등한 존재의 교류: 열등한 존재가 우월한 존재의 도움을 받는 이야기 -도움을 받고도 실패, 성공하는 유형은 ㉡의 경우와 구별되지 않는다. ㉣보통 인물+보통 인물의 교류: 일상적 이야기로 허구적 환상성이 결여된 현실적 이야기 -남녀의 사랑+경쟁 이야기와 보은담, 결연담 등이 해당된다. ㉤보통 인물+열등한 존재의 교류: 바보들의 어리석음을 드러내는 이야기(소담 유형) -열등한 존재 부각, 열등한 존재를 속이는 이야기로 <우형>, <바보신랑> 등 ㉥열등한 존재+열등한 존재의 교류: 소화 유형으로 지적수준이 낮은 인물들의 경쟁담 -신체적 결함이 있는 사람들의 비정상적 행위에 대한 이야기 ④보통 인간의 행위(인간의 능력으로 해결가능한 일=평범한 삶의 목표, 범인담=일반담) -우월한 인물의 행적(초인적 구국활동+이인들의 예지능력+구원하는 행위, 신이담=영웅담) -열등한 인물의 행위(바보·도덕적 결함을 가진 인물의 행위, 소담=우인담) ⑤주체의 급수와 주체의 관계는 움직임의 목표와 연결 -주체에 따른 서사의 기본 유형 분류 =>흥미의 핵심에 따른 범주화 *우월한 인물의 이야기(초인) / *보통 인물들의 이야기(범인) / * 바보들의 이야기(우인) 2)움직임의 의도: 주체가 목적수행을 위해 어떻게 움직이느냐에 따라 성격을 다르게 평가 ①움직임의 목적은 생존 =>동물의 경우는 먹이 /짝짓기 /안전 /유희+연습(사냥·숨기) 등 ②움직임의 성격은 두 가지 이상이 결합, 이를 분절하여 정리하는 것은 쉽지 않다. ③이야기의 기본적인 움직임을 생계, 이성, 안전, 놀이 등 네 가지 기본 유형으로 분류 3)수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단+방법에 대한 분류항 -정신적 요소와 육체적 요소로 구분 => *정신적 힘(정신) *육체적 힘(육체) 4)결말: 이야기의 결말이 어떻게 되는가를 기준으로 분류, 움직임의 결과는 성공+실패 ①상승변화, 하강변화, 변화가 없는 경우 등으로 주체의 변화 분류 ②조동일의 분류 <이기고 지기>은 이기도 지는 결말만 있고 비기는 결말이 고려되지 않음 ③기본적인 결말의 분류는 행복한 결말(성공), 불행한 결말(실패) 두 가지로 범주화 4. 단위담의 유형: 주체의 성격, 움직임, 목표수행의 수단, 결말의 성격으로 단위담 구성 -완벽하게 단위담이 설정, 서사문학이 단위담으로 해체+정리 =>서사문학사전으로 발전 |
【3】 설화의 전승과 변이
【3-1】이야기의 생리와 전승: 이야기가 형성 과정 ->언어사회 형성 ->언어 발달 필요
1. 옛 문헌 『삼국사기』·『삼국유사』는 국가적 차원에서 관심을 가졌던 내용들 위주로 수록
-일반적 삶을 다룬 이야기는 문헌에서 누락되어 구전으로 전승되면서 변모(흥미=전승 원동력)
2. 이야기는 하나의 예술, 예술의 특징은 비실용적, 일상과 다른 특이한 내용으로 흥미유발
①이야기는 화리가 필요, 화리란 내용이 이치에 맞게 전개되는 것을 의미
-화리는 사리와 도리, 정리까지 두루 포괄 =>공감대 =흥미유발 =감동으로 마무리
②진기하고 드문 강렬한 체험, 기이한 내용, 보편적 정서에 합치 =>흥미유발 =>널리 전승
3. 저장된 기억들이 구연 시 종합, 이야기의 유형 인출, 유형별 차이를 인식
-주제+인물기억, 사건전개에 대한 기억을 재생, 이야기 유형 판별, 이를 근거로 구연본을 조직
【3-2】변이의 동인: 구연과 기억의 재생과정에서 세부적인 면에 변이 동인을 내포
1. 화자의 개성이나 취향에 따라서 이야기의 특정부분 강조, 가볍게 처리되기 때문
2. 청중의 성격에 따라서 변이 발생(성별+연령+청중의 수 등 청중의 관심과 반응 고려)
3. 이야기를 이해하는 과정에는 청자의 지식·문화체험 등에 의해 익숙한 내용으로 전환
-<호랑이 꼬리로 낚시하기> 추운지역에서 전파된 이야기로 곰에서 호랑이로 변경
4. 사회의 윤리+관습을 반영, 전승집단의 문화·정서에 맞는 내용으로 변모되어 전승
'구비문학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6. 무가의 세계 (0) | 2022.09.06 |
---|---|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5. 민담의 세계 (0) | 2022.09.06 |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4. 전설의 세계 (1) | 2022.09.05 |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3. 신화의 세계 (0) | 2022.09.05 |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1. 구비문학의 세계 (0) | 2022.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