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비문학의 세계

방통대, 문화 교양 등 구비문학의 세계 요점 요약 정리 1. 구비문학의 세계

반응형

1장 구비문학의 세계

1구비문학이라는 용어: 말로 된 문학을 의미, 기록문학과 구별

-변화 누적+ 개별적 작품 존재(유동문학·적층문학), 민속문학이란 용어도 사용

 

2구비문학의 특징: 말로 구연되는 공동의 작품이며 단순·보편적·민중적·민족적 문학이다.

2-1말로 된 문학: 문학은 언어예술, 언어예술은 시간적인 의미예술이라고 규정

1. 구비문학이 구비전승과 구별될 수 있는 유일한 기준은 예술이라는 점

-구비문학은 기록문학보다 원초적·기본적인 문학, 구비문학을 바탕으로 기록문화 시작

-순수한 의미의 시간예술인 구비문학, 말을 글로 고정=>말이 지닌 시간성 고정을 의미

2)말로 된 문학(구비문학)의 세 가지 뜻은 말로 존재 말로 전달 말로 전승된다는 것

-시간적·일회적·반복+다른 작품으로 전환, 보존 불가능+전승만 가능(변화를 내포한 보존)

2-2구연되는 문학: 구비문학을 말로 나타내려면 일정한 격식 필요(음성적·구체적 상황)

1)구비문학의 종류·장르에 따라, 구연자·구연의 기회에 따라 다르게 표현(노래, 표정, 몸짓 등)

2)구비문학 작품이 문자로 정착되면 구연은 사라지고, 사설()만 정착되어 구비문학이 아니다.

2-3공동작의 문학: 구비문학은 공동작으로 창작된다.

1)있는 것만의 전달이 아닌 창작이기도 한 구연은 기억하고 있는 것을 말로 나타내는 행위

-들은 대로 말하려고 해도 달라지게 마련(구연자의 개성·의식에 따라 결정=창작으로서의 성격)

-각편(구연된 하나하나의 작품)이 서로 다른 이유는 구연자의 개성적 차이가 가장 크다.

2)구연은 공동적인 창작에 참여하는 행위, 들은 것에 더 보태서 재현, 새로운 구연자에게 전달

-같은 행위를 되풀이, 공동적인 창작으로 누적(공동적 의식으로 창작되어 공동작으로 통용)

-각편은 서로 다르지만 공통점 존재(공동작으로 굳어진 부분) =>구비 서사문학의 현상

3)위의 현상들을 통하여 구비문학의 창작과정을 명확하게 구분(공동작 비중이 더 큰 것이 특징)

2-4단순하며 보편적인 문학: 문체·구성·인물의 성격·주제 등에서 기록문학에 비해 단순하다.

말로 된 문학+단순=>기억+창작+듣고+이해 가능, 공동작의 비중이 높은 것

내포가 간단할수록 외연이 커지고, 외연이 커질수록 내포가 줄어드는 것(논리학)

-문학은 현실의 반영, 보편적이라고 인정하는 형식을 공동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구비문학

단순성은 공동작에서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것, 복잡성은 개인작의 측면에서 가능한 현상

-판소리의 경우 모든 각편이 복잡하고 구체적으로 현실의 세부까지 반영

단순성은 소박 이상의 것이며 현실의 보편적 추상화라는 의의 형성

2-5민중적·민족적 문학: 작자나 향유자가 될 수 있는 기회가 개방되어 있는 공동작의 문학

1)소수의 독자만 향유하는 문학이 아니라 자격과 기회가 개방된 공동작의 문학

민중문학+농민 중심+생활을 통해서 창조 -노동요, 세시풍속=가면극 공연, 민요, 설화 등

양반 지식층의 기록문학은 생활과 구별되는 지식+교양, 의식에 의해 창조

민중의 구비문학은 생활과 구별되지 않으며 의식 없이 생활 속에서 창조

-민중의 생활 경험·의식·가치관 등을 반영, 지배층에 대한 비판과 항거를 표현

민중이 자기의 주장을 표현하는 공동의 문학적 광장, 민중의 각성+구비문학의 주장 각인

2)구비문학의 종류·장르에 따라 민중문학으로서의 구체적인 성격도 다르게 표현

-근본적인 성격은 같지만 민중의 범위가 축소되기도 하고 확대되기도 하는 것

민속극(민중만의 것, 지배층에 대한 비판으로 일관) 민요(민중만의 노래로 민중의 의식반영)설화·속담은 지배층·지식층도 작자 및 향유자로 참여, 민중들만의 주장으로 제한되지 않음)

판소리(하층민 광대가 노래, 다양한 청중구성, 여러 계층의 생각을 복합적으로 반영)

무가(무당, 민중적이지 않음), 종류+장르에 따라 차이 형성, 민중 문학이라는 근본적 성격 유지

3)민족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민족문학, 민족의 생활과 더불어 발전

민족의 문학적 창조력의 바탕, 여러 형태의 기록문학을 산출하는 바탕으로 작용

-타국문학 추종으로 타국문학에 예속되더라도 추종(예속)을 극복할 수 있는 힘으로 작용

무가(외래문화 영향+세계관적 영향), 민담(유형+화소 차용용이), 민요(민족적 특징 분명)

4)구비문학의 일반적 특징을 확장시켜 정리

말로 구연되는 문학, 현장의 문학 공동작의 문학 전승과 변이의 문학

단순+보편적인 문학 민중적·민족적인 문학 하층민중의 문학+상층 식자층을 포괄하는 문학

화자·청자가 소통을 통해 형성해 나가는 쌍방향의 문학

열려있는 문학 문학의 원천+현대문학 현지조사를 전제로 하는 문학

 

3구비문학의 범위: 문학이 아닌 말은 제외, 말로 되지 않은 문학도 제외

1. 구비전승물인 설화·민요·무가·판소리·민속극·속담·수수께끼는 문학에 속한다.

-무가는 인간적인 감정의 표현, 주술성+문학성을 지닌다.

-속담(지혜+ 교훈의 비유적 압축, 문학적 형상화), 수수께끼(문학적 표현에 의한 말놀이 성립)

2. 실제 구연이 채록된 자료는 글로 쓰여 진 것이지만 구비문학에 포함된다.(채록본 연구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