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복지직 등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요점 정리 5. 잔여적 사회복지 실천기술의 이론적 기반

반응형

5. 잔여적 사회복지 실천기술의 이론적 기반

5.1 개인과 인접환경

 

잔여적 사회복지는 문제의 원인을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는 개인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인접환경(가족, 학교)의 변화가 중요하다.

잔여적 사회복지 실천은 구조에 대한 문제보다는 개인에 주목하고, 개인과 연관된 인접한 환경에 주목한다.

희생자비난이라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다.

 

5.2 잔여적 사회복지 실천 이론의 역사

 

한국의 사회복지 실천은 광복 이후 미군정의 3년간 구호사업, 정부수립과 한국 전쟁 당시의 임시적· 응급구호적인 방향으로 실천이 이어졌다.

미국 사회복지의 흐름

· 19세기 말: 근대적 전문사회복지의 시작으로 종교적인 자선운동에서 출발

· 20세기 초: 정신과학이 아닌 사회과학, 그 중 사회학과 경제학에 관심

· 1920년대: 직접실천의 지식기반을 얻기 위해 심리학적 이론, 정신분석으로 관심전환, 이후 1950년대까지 30여년 동안 준거 틀로 기능. 사회복지대학원에 정신의학전공이 개설

· 정신보건사회복지는 제 2차 세계대전 후 사용

· 1940~1950년대: 정신건강과 심리 분석적 접근이 강조

· 1990~2000년대: 권한부여와 역량강화에 대한 모델이 등장

· 개인의 변화에 초점을 둔 정신과학의 영역이 주류

· 최근의 흐름은 개인에 대한 역량강화와 강점관점을 강조

한계: 인지행동모델은 실업, 학교폭력 등의 넓은 구조적 문화적 맥락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함

 

5.3 사회복지 실천의 주요 모델과 기술

 

1) 정신역동 모델

(1)개요

무의식이 행동의 주요 결정요인이라는 인식 하에 정신내적 갈등을 밝혀내는 데 초점을 두었으며, 현재보다는 과거, 초기 아동기와 정신적 외상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2) 주요 개념

구조적 관점: 이드(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

지정학적 관점: 의식, 전의식, 무의식

유전학적 관점: 모든 인간은 자신의 과거를 현재 안에 요약하고 있다고 간주한다.

정신역동 관점: 클라이언트의 성적· 공격적 본능의 추구에 관심을 기울인다.

(3) 개입기법과 개입목표 (의료적 모델에 가까움)

정신분석적 심리치료의 기본기술: 자유연상, 경청, 해석, 직면, 명료화, 훈습

 

2) 심리사회모델

(1) 개요와 주요 개념: 모든 개인이 연령에 상관없이 성장하고 학습하며 적응해 나가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인간과 환경 가운데 인간을 강조. 환경에 대한 이해를 강조하고 있으나 인접환경에 머뭄

모든 인간의 근본은 선하다.

인간의 행동은 단순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예측 가능한 방법으로 영향을 받고 변 화할 수 있다.

인간의 현재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거를 중요시한다.

인간의 무의식은 인간의 경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만 행동을 결정짓는 요인은 아니다.

(2) 주요 기술: 발달력과 생활사건의 탐색과 상황 속의 인간의 사정이다.

 

3) 인지행동모델

(1) 개요와 주요 개념: 환경이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주고 개인의 조건들이 환경을 조성한다는 상호결정론적인 입장을 취한다. 인간의 역기능적 사고와 행동을 수정함

(2) 주요 기술: 클라이언트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역기능적 사고와 행동을 수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 한계점: 일정한 교육수준 혹은 지적 능력을 가진 클라이언트에게만 적용이 가능함

 

4) 해결중심(단기개입)모델

클라이언트의 잠재력과 문제해결능력, 그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사회복지사는 자문가 역할을 하는 것이다.

낙관적인 태도를 취하라. 장점에 주목하라. 클라이언트와 협력하라. 클라이언트와 장기적 역량강화를 지향하라

 

(2) 주요 기술

치료기술 설명
경청과 인정 클라이언트의 강점과 능력에 대해 경청하고 강점을 인정해 클라이언트가 사회복지사로부터 존중받는다는 느낌을 가지도록 함
호기심 갖기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것, 성취하기 위해 해야 하는 가를 질문하고 그에 대한 반응에 호기심을 갖는 것
초대하기 클라이언트가 상담으로부터 기대하는 바가 무엇인지, 클라이언트의 목적이 성취되고 문제가 해결되는 것 또는 발전을 나타내는 징조가 무엇인지에 대해 대화하도록 초대함
기적질문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문제가 해결된 미래에 대해 상상하도록 함으로써 변화의 목표를 찾아냄
예외질문 사회복지사가 의식적이고 의도적으로 성공하였던 클라이언트의 행동을 강화시키는 기술
척도질문 문제의 심각한 정도를 사정하고, 치료목표 성취 정도를 측정하고, 결과를 구체적으로 평가하는 데 있어 구체적인 수치를 사용하여 그 정도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질문
대처질문 대처해 온 방법을 파악하고, 인식, 강화, 확대하기 위해 활용하는 기술

<5-4> 해결중심 모델의 주요 기술

 

(3) 한계점: 문제의 원인을 해결하기 위한 기법보다는 임시대응적인 응급기법으로 여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