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강 성인기 발달이론 1 >
Ⅰ 인간발달에 관한 두 이론적 모형
1. 인간발달에 관한 두 이론적 모형
1) 개관
- 발달심리학 분야에서의 주요 발달이론은 크게 행동주의로 대표되는 ‘기계론적 모형’과 Piaget의 인지발달이론으로 대표되는 ‘유기체적 모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 물론 이외에도 정신분석학적 관점이나 인본주의적 관점 등의 발달이론도 있으나 여기에서는 가장 대비되는 이 두 모형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고자 함
➯ 이 두 모형은 발달의 의미와 과정, 그리고 인식론적 가정(假定)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어느 것이 전적으로 옳다거나 틀린 것이라고 볼 수는 없으며, 발달이라는 현상을 서로 다른 측면에서 이해하는 유용한 지침이 될 것이라 사료됨
2. 기계론적 모형
1) 인간관 및 인식론적 가정
- Locke의 경험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인간을 기계에 비유함
➯ 인간의 마음은 백지상태와 같으며 인간은 외부 환경이나 자극에 대해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존재
- 지식의 모사론(模寫論)
➯ 우리에게 이미 알려져 있는 사실이나 지식은 우리가 어찌할 수 없으며, 인간은 필연적으로 이미 결정되어 있는 지식체계에 근거해서 세계를 이해하게 되어 있음
2) 변화의 의미와 발달관
- 유기체 내에서 일어나는 변화는 유기체 자체의 질적, 구조적 변화가 아니라 환경에 대한 수동적 반응들이 계속해서 부가 되는 과정
➯ 성인과 아동의 차이는 내적인 인지구조의 차이가 아니라 정보를 다루는 효과적인 전략의 소유 유무의 차이일 뿐임
- 인간의 변화나 발달은 자극-반응의 연쇄적 고리이며, 변화의 양상은 단계적이지 않고 계속성을 띰
➯ 일생을 통하여 모든 인간에게 동일하게 작용하는 학습원리와 법칙에 근거하여 인간행동의 변화를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인간발달의 단계나 체계에 대해서는 거의 관심을 두지 않음
3. 유기체적 모형
1) 인간관 및 인식론적 가정
- 인간을 살아 있고 잘 조직된 체계를 가진 유기체에 비유함
➯ 인간은 환경과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자신의 삶의 방식과 사고과정의 변화를 경험하는 행동의 시발자 (始發者)이자 원천
- 구성주의(constructivism)
➯ 개인은 객관적인 실체, 절대적인 진리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위치한 맥락에서의 능동적인 경험을 통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지식을 구성함
2) 변화의 의미와 발달관
- 유기체 내에서 일어나는 변화는 외부환경의 영향에 대한 수동적인 반응들의 집적(集積)이 아니라 질적으로 다른 인지구조의 변화임
➯ 성인과 아동의 차이는 단순히 새로운 정보처리 전략의 소유 유무의 차이가 아니라 세상을 바라보고 이해하는 인지구조의 질적인 차이에 있음
- 인간의 발달은 인지구조의 질적 변화로 설명되며, 인지구조의 변화는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의 변화 뿐 아니라 조직된 전체로서의 유기체의 다른 부분들도 변화시킴
- 개인은 일생에 걸쳐 일정한 순서의 발달단계를 반드시 거치고, 이전 단계로의 퇴행이 일어나는 것은 불가능함
Ⅱ. 기존 발달이론의 특징과 한계
1. 기존 발달이론의 특징과 한계
1) 개관
- 앞서 살펴본 인간발달에 관한 기계론적 모형과 유기체적 모형은 몇몇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발달과정의 규칙성이나 예측가능성에 강조를 둔다는 면에서 유사점을 가지고 있음
- 이것은 기존의 발달이론들이 인간발달의 보편적인 법칙을 발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러한 인간발달에 관한 보편적 법칙의 발견은 발달심리학의 영원한 과제인지도 모름
➯ 그 동안 인지발달, 성격발달, 신체적 발달, 행동발달 등에 관한 다양한 발달이론들이 제안되었으나 기존의 발달이론들은 몇 가지 특징과 한계를 지니고 있음
2. 특징과 한계
1) 초기 발달에 대한 관심
- 태어나서 약 20세까지의 비교적 급격한 변화가 나타나는 시기의 발달 양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 발달 초기에 관심을 집중시킬 수밖에 없었던 것은 이 시기에 나타나는 변화의 양이 커서 그 발달의 양태를 분석하고 기술하는 것이 용이했기 때문
◈ 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론
◈ Freud의 성격발달단계이론
- 결과적으로 성인기의 발달이나 변화는 소홀히 취급되었으며, 성인기 이후의 변화를 바라보는 관점도 정체(停滯) 또는 퇴보로 규정함으로써 성인의 발달을 제대로 이해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 사실임
➯ 인간이 성인에 도달하면 더 이상의 신체적 변화나 심리사회적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잘못된 신념도 한 몫을 했을 것임
◈ 성인기 발달에 관한 전통적 모형 : 안정성 모형, 감소모형
2) 발달변인으로서의 생활연령
- 태어나서 물리적인 시간이 경과한 정도를 가리키는 생활연령(chronological age)을 독립변인으로 한 인간의 변화와 발달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연령을 발달의 중요한 변인으로 삼고 있음
➯ 그 결과 연령에 따른 변화가 급격히 나타나고 연령이라는 변인 이외에 별다른 설명이 필요치 않은 유아기와 아동기에 이론가와 연구자의 관심이 집중되어 왔음
- 하지만 생활연령은 발달을 설명하는 충분한 지표가 되지 못함
➯ 시간이 경과한 기간의 의미는 발달단계에 따라 다르기 때문인데, 발달 초기의 1년과 후기의 1년은 그 내용과 질에 있어서 다를 수밖에 없음
➯ 서로 다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개인들간의 차이를 설명하기 쉽지 않음
➯ 한 개인이 지니고 있는 여러 특성들도 그 변화 속도에 차이가 있음
- 연령에 따른 발달의 보편적 법칙을 발견하려는 노력은 개인 특유의 발달 현상을 간과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됨
◈ 성인기 발달의 이해
➀ 연령이 이전 시기보다 큰 영향력을 갖지 못함
➁ 성인 후기부터 나타나는 노쇠를 어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문제는 성인기 발달을 설명하는새로운 관점이 필요함을 보여줌
3) 단일 학문적 접근
- 기존의 발달이론은 발달의 양상과 법칙을 밝히는 접근방식에서 심리학, 사회학, 문화인류학 등 단일 학문 각각의 방법론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음
◈ Freud의 심리성적 발달이론
◈ 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론
◈ Boas와 Mead의 문화적 상대론
➯ 그러나 인간의 발달은 단일 학문적 관점으로 온전히 설명하기 어려운 사회.역사적, 생물.
문화적 맥락과 서로 연결되어 있는 현상임
➯ 성인기 이후의 시기는 시간적으로도 그 이전 시기의 두 배 이상일 뿐만 아니라, 인간발달 현상의 절반 이상이 이 시기에 나타나는데, 이 시기의 발달은 연령과 같은 생물학적 투입요인 이상의 심리적, 사회적, 역사적 투입요인이나 과정들이 관련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 적절할 것임
➯ 개인내의 변화와 그에 따른 개인간의 차이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서는 개인뿐 아니라 집단도 연구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특정 학문적 관점으로는 불가능하고 여러 학문의 아이디어를 접맥시켜 인간발달 현상을 기술하고 설명하는 작업이 요청됨
❒ 맥락주의적 관점
- Riegel에 의해 체계화됨
- 발달에 관한 기계론적 관점과 유기체적 관점을 통합하려는 시도에서 출발
-한발 더 나아가 능동적 유기체와 능동적 환경 사이의 계속적이고 교호적인 상호작용에
관심을 갖게 되고, 인간발달에 대한 변증법적, 통합적, 관계적 모형을 발전시키기에 이름
Riegel의 변증법적 맥락주의 |
- 개인과 전체 환경을 분리시키지 않고 연속선상에 놓고 봄 - 개인이 지닌 기질적 특성이 그가 몸담고 있는 환경적 맥락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개인의 경험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반복함 |
- 발달에 대해 시간만이 유일한 독립변인이 아니라 ‘개체- 맥락 연결 변인’이 보다 중요함을 주장하고 있는데 즉, 연령보다는 개인의 역사를 발달적 변화를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여기고 있음
- 인간발달을 제대로 설명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횡단적, 종단적, 유사종단적 연구방법을 동시에 고려하여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사회학, 역사학, 심리학, 생물학 등 多 학문적 접근이 필요
Ⅲ. 인간발달에 관한 전 생애적 접근
1. 인간발달에 관한 전 생애적 접근
1) 개관
- 전 생애적 접근은 1950년대 서구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성인 인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중요한 연구분야로 대두됨
- Erikson, Havighurst, Levinson 등 대표적 학자들의 이론은 유아.아동.청소년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기존의 발달이론들과 마찬가지로 연령에 따라 성인기의 변화를 기술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연령보다는 발달의 구체적인 맥락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인기의 발달과 변화에 대해서 설명하는 데에는 여전히 한계를 가지고 있음
2.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1) 개관
- Erikson(1950), “아동기와 사회” (Childhood and Society)
- 인간의 전 생애에 걸친 발달을 8단계로 구분
- Erikson은 인간발달의 전 생애적 접근을 시도한 최초의 학자
➯ 그러나 출생에서부터 자아정체감이 확립된다는 20세 전후까지의 발달에 이론의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성인기 이후의 발달현상에 대해서는 상당히 소홀하게 취급하고 있어 그 내용이 추론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기도 함
- 인간발달의 심리역사적 환경을 강조
- 인간의 전 생애에 관심을 가지고 생활상의 심리사회적 위기를 이겨낼 수 있는 자아자질(ego quality) 또는 덕성(virtue)에 관심을 가짐
- 점성원리: 8단계의 심리사회적 자아발달단계는 유전된 성격의 기초 기반이 점차적으로 전개되어 나타난 결과
➯ 인생주기의 각 단계는 이 단계가 우세하게 출현되는 최적의 시간(critical period)이 있고, 모든 단계가 계획적으로 전개될 때 완전히 기능하는 성격이 형성됨
- 각 단계는 공통적인 모형으로 설명되어 있는데 즉, 각 단계에서 성취해야 할 긍정적인 과업과 부정적인 과업이 ‘A 대 B’의 형태로 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위기를 잘 극복하였을 때 발달하게 되는 자아자질 또는 덕성이 함께 제시되어 있음
2)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➀ 유아기 : 기본적 신뢰감 대 불신감(0~1세) --- 희망
▶ Freud의 성격발달단계 구강기에 해당
* 기본적 신뢰감 형성 ☜ 부모의 양육의 질
* 불신감 형성 ☜ 일관성 없는 양육
부모역할에 대한 자신감 부족
◈ 희망(Hope) : 일상의 사회적, 문화적 외계(外界)가 우리에게 주는 의미와 그것이 믿을 만한 것임을 확신하는 데 필요한 것
➁ 초기아동기 : 자율성 대 수치 및 의심(2~3세 ) --- 의지력
▶ Freud의 성격발달단계 항문기에 해당
* 자율성 형성 ☜ 아동을 한 인간으로 존중하며 독립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허용
* 수치 및 의심 형성 ☜ 과잉보호
무관심
◈ 의지력(Will) : 수치심과 의혹에 사로잡히게 하는 어떤 불가피한 경험에도 불구하고 자기통제와 자유로운 선택을 가능케 하는 힘
➂ 후기아동기 : 주도성 대 죄책감(4~5세) --- 목적의식
▶ Freud의 성격발달단계 남근기에 해당
* 주도성 형성 ☜ 아동의 호기심 수용
자율적 행동 허용
* 죄책감 형성 ☜ 스스로 일을 완수할 기회 박탈
이성 부모에 대한 애정욕구에 대해 과도한 벌을 줌
◈ 목적의식(Purpose) : 달성 가능한 목표를 수립하고 추구하려는 의식과 용기
➃ 학동기 : 근면성 대 열등감(6~11세) --- 유능감
▶ Freud의 성격발달단계 잠재기에 해당
* 근면성 형성 ☜ 아동이 열심히 하고자 하는 일을 격려하고 칭찬함
* 열등감 형성 ☜ 비교
◈ 유능감(Ability) : 자기가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사회환경에 적극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신감을 의미
⑤ 청소년기 : 자아정체감 대 역할혼미(12~20세) --- 충성심
▶ Freud의 성격발달단계 생식기에 해당
* 자아정체감 형성 ☜ 적절한 성적 정체감의 발달
직업에 대한 탐색과 선택
* 역할혼미 형성 ☜ 자아정체감 형성 실패
◈ 충성심(Loyalty) : 가치체계의 불가피한 모순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어떤 것을 지켜 내는 능력
⑥ 성인 초기 : 친밀감 대 고립감(21~40세) --- 사랑
▶ Freud의 성격발달단계 생식기에 해당
* 친밀감 형성 ☜ 확고한 자아정체감의 발달
* 고립감 형성 ☜ 친밀한 관계 형성 실패
◈ 사랑(Love) : 낭만적인 애정뿐 아니라 자신을 타인에게 관여시키고, 이 관여를 지키는 능력
⑦ 성인 장년기 : 생산성 대 침체감(25~65세) --- 배려
▶ Freud의 성격발달단계 생식기에 해당
* 생산성 형성 ☜ 자신의 안위를 넘어 서서 타인과 인류의 복지를 위한 관심과 배려에서 비롯
* 침체감 형성 ☜ 개인적 이득이나 만족만을 추구하는 자기도취
◈ 배려(Regard) : 다른 사람들과 함께, 그리고 그들을 위하여 협력하고 봉사하는 ‘사회적 관심’에서 비롯
⑧ 노년기 : 자아통합 대 절망감(65세 이후) --- 지혜
▶ Freud의 성격발달단계 생식기에 해당
* 자아통합형성 ☜ 자신이 지금까지 살아온 자기 인생에 대한 긍정적 확신
* 절망감 형성 ☜ 자신의 인생에 대한 긍정적 확신의 결여
◈ 지혜(Wisdom) : 지혜로운 사람은 죽음에 직면하여 초연하며, 자신의 존재가 죽음으로 인해 소멸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성취해온 업적이나 자손들을 통해 계속 유지된다는 것을 앎
❒ Erikson이론의 시사점
- 학령 전 단계 : 신뢰감, 자율성, 주도성의 육성
- 학동기 : 비교의 문제
- 청소년기 : 자아정체감의 형성
- 성인기 : 자아정체감의 표현
- 노년기 : 자아의 완성
'성인학습 및 상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직 및 교육학과 필수 과목 성인 학습 및 상담론 요약 정리 8. 성인기 발달이론 3 (0) | 2022.04.14 |
---|---|
교육직 및 교육학과 필수 과목 성인 학습 및 상담론 요약 정리 7. 성인기 발달 이론 2 (0) | 2022.04.13 |
교육직 및 교육학과 필수 과목 성인 학습 및 상담론 요약 정리 5. 주요 학습이론 3 (0) | 2022.04.11 |
교육직 및 교육학과 필수 과목 성인 학습 및 상담론 요약 정리 4. 주요 학습이론 2 (0) | 2022.04.10 |
교육직 및 교육학과 필수 과목 성인 학습 및 상담론 요약 정리 3.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기초 (0) | 2022.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