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조선 건국과 국가 운영
6.1. 조선의 건국과 지향
1. 역성혁명으로 등장한 새 왕조(교재 129~130쪽)
1) 이성계의 역성혁명 : 1392년 7월, 이성계가 개경 수창궁에서 왕위에 오름
2) 토지제도 개혁, 과전법을 시행하는 등 사전 개혁을 하여 새 왕조의 경제적 기반 마련함
2. 조선의 지향(교재 130~131쪽)
(1) 국호를 조선이라 하였고, 수도를 한양으로 정함
(2) 성리학을 기본으로 하여 민본(民本)이념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함
(3) 조선 개국 이후 백성은 고을의 백성에서 벗어나 왕의 백성이 되었으며, 나라 전체의 민을 백성으로 부르는 것이 일반화됨
(4) 조선시대에 들어오면 모든 백성들이 성씨를 가지게 됨
3. 국가 운영을 위한 통치체제의 정비(교재 131~133쪽)
1) 유교 정치에 바탕을 둔 민본 정치
(1) 세종 때의 집현전 : 옛 제도의 연구와 편찬사업 등 수행, 사대 외교에 필요한 외교문서 작성, 국왕의 경연과 세자의 서연도 담당함
(2) 세종실록의 부록인 「오례」, 「악보」, 「지리지」, 「칠정산」 등과 세조~성종 사이에 완성된 경국대전, 국조오례의 등이 발간됨
(3) 훈민정음(1446)은 유교의 민본 의식에서 나온 것임
2) 중앙 행정기구의 기본체계 : 국왕-의정부-육조-육조 속아문
(1) 국왕 : 최고 권력자로 정치와 행정에 관여하여 각 관서의 의사를 모으고 조정하는 존재
(2) 의정부 : 국가의 정책을 의논·합의하는 최고 기구
정승들은 예문관, 홍문관, 승문원 등 중요 관청의 최고 책임자까지 겸함
(3) 육조 :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기구. 국가의 행정사무를 분담
중요 정책회의에 정승과 함께 참여
(4) 삼사 :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을 일컬음. 권력을 견제, 언론을 담당
청요직으로 불림. 왕명을 출납하는 왕의 직속기구
(5) 기타 : 승정원(왕의 비서기관), 의금부(반역죄 등 큰 죄인을 다스림), 춘추관(실록 등 역사를 편찬),
성균관(오늘날의 국립대학에 해당하는 최고 학부) 등이 있었음
3) 지방 행정 : 일원적인 통치체제로 개편
(1) 전국을 8도로 나누고, 그 밑에 부, 목, 군, 현을 두어 모든 군현에 지방관을 파견함
① 수령 : 행정, 사법, 군사 등 지방에 관련된 전반적인 업무(실제 행정업무 장악)
② 면리 제도 : 각 읍은 4방의 면으로 구획되어 전세(田稅)의 수납, 군역과 요역의 배정, 공물의 수잡, 제언(堤堰)·제방의 수축, 구휼 등의 업무 수행에 조력을 구함
③ 향리에 머물던 유향품관들은 임의적으로 유향소를 조직하여 수령권을 견제하거나 협조함
④ 향리 : 지방 행정의 실무를 맡아 처리, 중앙의 6부에 대응하여 6방으로 업무를 나눔
6.2. 조선 초기의 사회 경제구조
1. 토지제도와 부세제도(교재 134~135쪽)
1) 과전법
(1) 조선 건국세력이 고려 말 사전개혁을 단행하면서 시행한 토지 분급제도
(2) 세조 12년(1466)에 직전법, 성종 원년(1470)의 관수관급제로 변화했음
(3) 고려 말 조선 초에는 원의 농서인 농상집요를 활용했으나 세종 때에 농사직설을 편찬함
2) 전세제도 : 토지 수확량의 10분의 1을 기준으로 함. 세종대에 공법을 시행함
3) 공법 시행
(1) 전분 6등법 : 논밭의 비옥도에 따라 1결씩 면적의 차이를 두고 1결당 20말 거둠
(2) 연분 9등법 : 농사의 풍흉에 따라 9등급으로 나누어 세율을 조정하여 부과
2. 역역과 공납제도(교재 135~136쪽)
1) 역역 : 양인 장정들이 국가에 무상으로 노동력을 제공해야 하는 의무
(1) 신역 : 사회적 신분에 따라 지는 특수한 역. 16~60세의 양인 남자의 군역이 대부분임
보법(1464, 군역을 부과함), 방군수포제(군역 대신 베를 거두는 방법) 등이 해당함
(2) 요역 : 대다수 농민들이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노동력을 제공하는 것
2) 공납제도
(1) 공물(정기적으로 토산물을 바치는 것), 진상(국왕에게 특별하게 올리는 것), 별공(특수하게 매겨지는 것) 등이 있었음
(2) 공납에 대한 부담으로 대납 방식(방납)이 등장
① 방납의 폐단 : 토지세보다 과중하였고 중간 이익을 취하는 상인 또는 하급관리 출현
② 공물을 현물 대신 쌀로 거두고, 이것으로 필요한 현물을 구매하는 수미법 제시
③ 광해군대에 경기도에서 처음 선혜법이 시행된 이후 점차 확대되어 대동법으로 정리됨
3. 신분제도(교재 137쪽) : 양천제(양인과 천인) - 16세기 이후(양반, 중인, 상민, 노비로 구분됨)
6.3.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1. 명과의 사대외교(교재 138~139쪽) : 조선과 명은 천자-제후 관계를 맺음
2. 여진과 일본과의 관계(교재 139~140쪽) : 조선은 일본, 여진과는 교린관계(회유와 응징)를 맺음
6.4. 조선 전기의 문화와 예술
1. 조선 전기 문화의 성격(교재 141~142쪽)
세종 즉위 후 안정적인 통치 : 한글 창제, 천문관측기구의 제작, 역법,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등
2. 민본과 한글(교재 142쪽) : 한글(언어학+성리학의 민본 의식), 용비어천가나 월인천강지곡 등 각종 불경의 번역에 사용되었으며 여성층에서도 활발하게 사용됨. 음운서인 동국정운(1448) 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