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정리

한국사능력검정, 9급 공무원, 각종 한국사 시험 대비 한국사의 이해 핵심요점 요약 정리 6. 조선 건국과 국가 운영

반응형

 

6. 조선 건국과 국가 운영

6.1. 조선의 건국과 지향

1. 역성혁명으로 등장한 새 왕조(교재 129~130)

1) 이성계의 역성혁명 : 13927, 이성계가 개경 수창궁에서 왕위에 오름

2) 토지제도 개혁, 과전법을 시행하는 등 사전 개혁을 하여 새 왕조의 경제적 기반 마련함

 

2. 조선의 지향(교재 130~131)

(1) 국호를 조선이라 하였고, 수도를 한양으로 정함

(2) 성리학을 기본으로 하여 민본(民本)이념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함

(3) 조선 개국 이후 백성은 고을의 백성에서 벗어나 왕의 백성이 되었으며, 나라 전체의 민을 백성으로 부르는 것이 일반화됨

(4) 조선시대에 들어오면 모든 백성들이 성씨를 가지게 됨

 

3. 국가 운영을 위한 통치체제의 정비(교재 131~133)

1) 유교 정치에 바탕을 둔 민본 정치

(1) 세종 때의 집현전 : 옛 제도의 연구와 편찬사업 등 수행, 사대 외교에 필요한 외교문서 작성, 국왕의 경연과 세자의 서연도 담당함

(2) 󰡔세종실록󰡕의 부록인 오례, 악보, 지리지, 칠정산등과 세조~성종 사이에 완성된 󰡔경국대전󰡕, 󰡔국조오례의󰡕 등이 발간됨

(3) 󰡔훈민정음󰡕(1446)은 유교의 민본 의식에서 나온 것임

2) 중앙 행정기구의 기본체계 : 국왕-의정부-육조-육조 속아문

(1) 국왕 : 최고 권력자로 정치와 행정에 관여하여 각 관서의 의사를 모으고 조정하는 존재

(2) 의정부 : 국가의 정책을 의논·합의하는 최고 기구

정승들은 예문관, 홍문관, 승문원 등 중요 관청의 최고 책임자까지 겸함

(3) 육조 :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기구. 국가의 행정사무를 분담

중요 정책회의에 정승과 함께 참여

(4) 삼사 :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을 일컬음. 권력을 견제, 언론을 담당

청요직으로 불림. 왕명을 출납하는 왕의 직속기구

(5) 기타 : 승정원(왕의 비서기관), 의금부(반역죄 등 큰 죄인을 다스림), 춘추관(실록 등 역사를 편찬),

성균관(오늘날의 국립대학에 해당하는 최고 학부) 등이 있었음

3) 지방 행정 : 일원적인 통치체제로 개편

(1) 전국을 8도로 나누고, 그 밑에 부, , , 현을 두어 모든 군현에 지방관을 파견함

수령 : 행정, 사법, 군사 등 지방에 관련된 전반적인 업무(실제 행정업무 장악)

면리 제도 : 각 읍은 4방의 면으로 구획되어 전세(田稅)의 수납, 군역과 요역의 배정, 공물의 수잡, 제언(堤堰제방의 수축, 구휼 등의 업무 수행에 조력을 구함

향리에 머물던 유향품관들은 임의적으로 유향소를 조직하여 수령권을 견제하거나 협조함

향리 : 지방 행정의 실무를 맡아 처리, 중앙의 6부에 대응하여 6방으로 업무를 나눔

 

6.2. 조선 초기의 사회 경제구조

1. 토지제도와 부세제도(교재 134~135)

1) 과전법

(1) 조선 건국세력이 고려 말 사전개혁을 단행하면서 시행한 토지 분급제도

(2) 세조 12(1466)에 직전법, 성종 원년(1470)의 관수관급제로 변화했음

(3) 고려 말 조선 초에는 원의 농서인 󰡔농상집요󰡕를 활용했으나 세종 때에 󰡔농사직설󰡕을 편찬함

2) 전세제도 : 토지 수확량의 10분의 1을 기준으로 함. 세종대에 공법을 시행함

3) 공법 시행

(1) 전분 6등법 : 논밭의 비옥도에 따라 1결씩 면적의 차이를 두고 1결당 20말 거둠

(2) 연분 9등법 : 농사의 풍흉에 따라 9등급으로 나누어 세율을 조정하여 부과

 

2. 역역과 공납제도(교재 135~136)

1) 역역 : 양인 장정들이 국가에 무상으로 노동력을 제공해야 하는 의무

(1) 신역 : 사회적 신분에 따라 지는 특수한 역. 16~60세의 양인 남자의 군역이 대부분임

보법(1464, 군역을 부과함), 방군수포제(군역 대신 베를 거두는 방법) 등이 해당함

(2) 요역 : 대다수 농민들이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노동력을 제공하는 것

2) 공납제도

(1) 공물(정기적으로 토산물을 바치는 것), 진상(국왕에게 특별하게 올리는 것), 별공(특수하게 매겨지는 것) 등이 있었음

(2) 공납에 대한 부담으로 대납 방식(방납)이 등장

방납의 폐단 : 토지세보다 과중하였고 중간 이익을 취하는 상인 또는 하급관리 출현

공물을 현물 대신 쌀로 거두고, 이것으로 필요한 현물을 구매하는 수미법 제시

광해군대에 경기도에서 처음 선혜법이 시행된 이후 점차 확대되어 대동법으로 정리됨

 

3. 신분제도(교재 137) : 양천제(양인과 천인) - 16세기 이후(양반, 중인, 상민, 노비로 구분됨)

 

6.3.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1. 명과의 사대외교(교재 138~139) : 조선과 명은 천자-제후 관계를 맺음

2. 여진과 일본과의 관계(교재 139~140) : 조선은 일본, 여진과는 교린관계(회유와 응징)를 맺음

 

6.4. 조선 전기의 문화와 예술

1. 조선 전기 문화의 성격(교재 141~142)

세종 즉위 후 안정적인 통치 : 한글 창제, 천문관측기구의 제작, 역법,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2. 민본과 한글(교재 142) : 한글(언어학+성리학의 민본 의식), 󰡔용비어천가󰡕󰡔월인천강지곡󰡕 등 각종 불경의 번역에 사용되었으며 여성층에서도 활발하게 사용됨. 음운서인 󰡔동국정운󰡕(1448) 발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