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장 조선 전기의 변화와 외세의 침략
7.1. 조선 전기의 변화와 사화
1. 조선 초기의 변화(교재 149~150쪽)
1) 훈구파
(1) 건국 초기부터 성종 초기까지 중앙 권력을 장악하던 세력으로 주로 공신으로 책봉된 자들이 주축
(2) 특히 세조의 계유정난에 참여한 정난공신은 훈구의 원조 격임
(3) 정치적으로 고위 관직을 차지하였고 경제적으로 방대한 토지와 노비를 소유함
2) 사림파
(1) 조선 건국 과정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지 않았던 재지사족들의 후예 혹은 문인들
(2) 성종 대부터 본격적으로 진출하여 비판을 하자 훈구가 정치적인 공격을 가해 선비들을 죽임(사화)
(3) 김숙자(길재의 제자)-김종직-김굉필-정여창-김일손 등이 차례로 정계에 진출함
2. 사화(교재 150~152쪽)
1) 무오사화 : 1498년 연산군
(1) 김종직의 ‘의제를 조문하는 글(조의제문)’을 김일손이 사초에 올리면서 시작됨
(2) 훈구파는 이를 두고 단종을 항우에게 죽임을 당한 의제에 비유했다고 해석하면서 사화를 일으킴
2) 갑자사화 : 1504년 연산군(연산군의 생모 윤씨의 사건을 연산군이 알게 되면서 일어남)
3) 기묘사화 : 1519년 중종
(1) 반정을 통해 왕위에 오른 중종이 조광조를 등용함
(2) 조광조는 도학정치(왕도정치)를 주장함 : 뒤에 이황의 성학십도와 이이의 성학집요로 계승됨
(3) 조광조는 현량과를 실시, 소격소 혁파, 훈구의 기반인 토지와 노비에 대한 제한(위훈삭제) 주장함
(4) 위기감을 느낀 중종반정의 공신들이 조광조를 비롯한 사림세력들을 제거함
(5) 소쇄원 : 조광조가 사약을 받고 죽은 것에 충격을 받은 양산보가 산림에 지은 집으로, 이는 개혁정치가 좌절된 현장을 상징함
4) 을사사화 : 1545년 명종
(1) 중종 말기 후사를 둘러싼 갈등에서 인종의 외척 윤임과 명종의 외척 윤원형의 싸움이 발단이 됨
(2) 소윤 윤원형이 대윤 윤임 세력을 제거하려고 을사사화를 일으키면서 그 과정에서 사림까지도 피해를 봄
7.2. 향촌사회의 변화
1. 도시와 농촌의 변화(교재 153~154쪽)
1) 한양을 제외한 도시의 성장은 미흡함
2) 생활 풍습의 변화
(1) 15세기까지 : 남귀여가혼(남자가 여자의 집으로 장가가서 생활하는 것), 남녀의 균분 상속
(2) 16세기 이후 : 남자 우대, 장자 우대, 부계 위주의 거주
3) 지배세력의 변화 : 15세기까지는 양인 위주, 16세기부터는 성리학에 입각한 새로운 지배질서 구현
2. 성리학 실천의 현장, 향회와 향약(교재 155~157쪽)
1) 향회 : 향안에 등록된 사족들의 정기적인 모임으로, 향회는 유향소의 임원을 선출하였음
2) 유향소
(1) 부·목·군·현에서 수령의 지방 통치를 보좌, 향리를 감독하거나 지방의 풍속을 바로잡는 일을 담당
(2) 수령의 관아가 공식적인 기구인데 비해 유향소는 비공식적인 성격을 띠고 있었지만, 관아 다음의 위상이 있었기에 이관(貳官)으로 불리기도 했음
3) 여씨향약 : 조광조를 비롯한 사림들의 보급운동. 주자가 만든 주자여씨향약이 표본이었음
4) 향약의 안정 : 이황의 「예안향악」, 이이의 「서원향약」 등이 만들어져 향촌 안정책으로 제시됨. 향약에서 직간접적으로 부세의 수취나 환곡의 분배, 균역의 차출 등에 관여하기도 함
5) 사창법 : 환난상휼의 항목이 추가되면서 향촌 내의 소농민을 구휼하는 방책이 됨
7.3. 동아시아 정세와 왜란과 호란
1. 16세기 동아시아 정세(교재 158~159쪽)
2. 임진왜란의 경과와 의의(교재 160~162쪽)
1) 조선 내부의 혼란 : 훈구와 사림의 갈등으로 내부가 취약해진 상태였음
2) 일본의 상황
(1) 1590년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100여 년에 걸친 전국시대의 혼란을 수습하고 전국을 통일함
(2)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세력간 갈등과 교역문제를 군사적인 침략으로 해결하려 함
(3) 일본은 사전에 조선 정세에 대한 정보 수집과 서양 총포술을 도입하여 무장한 상태
3) 임진왜란 발발
(1) 명을 치겠으니 길을 비켜달라는 요구를 조선이 거부하자 이를 빌미로 침략함
(2) 1592년 4월, 세 갈래의 길로 서울을 공략 : 순변사 이일(상주)과 도순변사 신립(탄금대) 파견하였으나 패배 → 선조와 대신들은 북쪽으로 피신함
(3) 육지의 패배와는 달리 이순신이 바다에서 왜군을 격파하여 왜군의 작전과 보급로를 무너뜨림
(4) 의병활동 : 김천일·우성전·홍계남(경기도), 곽재우·정인홍·김면(경상도), 정문수(함경도), 조헌(충청도), 고경명·최경회(전라도) 등의 의병이 대표적임
(5) 명의 참전(1593) : 동아시아의 국제전쟁으로 확대됨
3) 정유재란
(1) 1593년 휴전 제의가 3년 만에 결렬되자 일본은 1597년 1월 다시 침략함
(2) 충청도 직산에서 패한 일본은 남해안 일대에 왜성을 쌓고 버팀
(3) 이순신이 삼도수군통제사에서 해임된 뒤 그를 대신한 원균이 칠천량 해전에서 패배함
(4) 이순신이 명량해전에서 승리하면서 전세가 역전되었고, 이듬해 도요토미가 죽자 왜군이 철수하면서 7년의 전쟁의 막이 내림
2. 병자호란의 경과와 의의(교재 163~165쪽)
1) 동아시아의 변화
(1) 중국은 왕조 교체가 일어남 : 누루하치가 여러 부족을 정복·통합하여 후금을 세움(1616년)
(2) 조선의 광해군 : 양립외교(강홍립 장군 파병) - 광해군의 양립외교는 인조반정(1623)으로 상황이 바뀜. 인조는 친명배금정책
2) 정묘호란(1627) : 이괄의 난 이후 잔당들이 후금으로 도망친 것을 기회로 후금이 조선을 침략함
3) 병자호란(1636년)과 삼전도 굴욕
(1) 후금은 국호를 청으로 고치고 수도를 심양에 정함, 조선에 군신관계를 요구했으나 조선이 거절함
(2) 주화론(이귀, 최명길 등)과 주전론(김상헌, 조경, 정온 등)의 의견 중 주전론이 힘을 얻음
(3) 청 태종은 1636년(인조 14) 10만 대군을 이끌고 침략함
(3) 인조는 남한산성에서 45일간 분전을 하다 1637년 1월 삼전도에서 굴욕적인 항복을 함 : 삼배구고두(세 번 절하고 아홉 번 머리를 조아리는 예식)
(4) 청은 소현세자와 봉림대군, 김상헌 등 척화론자들과 수많은 백성들을 인질로 데려감 : 삼학사(홍익한, 윤집, 오달제)는 끝내 항복을 거부하다 죽음
7.4. 조선의 중심사상, 성리학
1. 체제 이데올로기로 기능한 성리학(교재 165~166쪽)
(1) 원나라에서 국가 차원으로 발전시킨 성리학이 충선왕 때 고려에 전파됨 : 유학자 이제현
(2) 이제현의 제자였던 이색이나 정도전 등에 의해 성리학이 널리 전파되었고, 혁명의 이데올로기로 기능하게 됨
(3) 조선 건국 이후 정도전이 제거된 후 성리학은 권근에 의해 원의 성리학과 비슷하게 체제 유지 성격이 강한 체제 교학적 성리학이 지배하게 됨
2. 16세기에 새로 이해하고 적용한 성리학(교재 167~168쪽)
1) 조선의 성리학은 16세기 이후에 많은 부분이 바뀌게 됨
2) 조선 학계의 논쟁
(1) 무극·태극 논쟁, 사단칠정 논쟁, 인심·도심 논쟁 등을 벌임
(2) 사화나 정치에 대한 논쟁도 치열하게 전개됨 : 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의 편지 논쟁 등
3) 16세기 이후의 성리학
(1) 조선 전기의 성리학으로는 더 이상 현실의 조건을 끌고 갈 수 없다는 통렬한 반성 위에서 새로운 사상적 모색의 결과로 나타나게 됨
(2) 부계 남성 위주의 가족질서, 붕당 중심의 사림정치, 서원과 향약을 기반으로 한 향촌질서 등 사회 전반을 가로지르는 질서의 원형을 제공하게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