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통일신라와 발해
3.1. 신라의 삼국통일
1. 나당 동맹의 체결(교재 61쪽)
1) 고구려와 백제의 연합 : 고구려와 백제가 연합하여 신라를 협공함, 백제 의자왕이 신라의 대야성(경남 합천)을 함락시키고 백제의 영토로 편입함(642)
2) 신라와 당의 연합 : 연개소문이 김춘추의 도움을 거절하여 신라는 당과 동맹을 맺음(648), 신라는 당에게 평양 이북의 땅을 당에 양보하고, 중국의 문물과 제도를 수용하기로 함, 또 신라는 독자 연호를 포기하고 당의 연호를 사용하면서 중국의 제후국을 자처함
2.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교재 61~62쪽)
1) 백제 멸망 : 의자왕, 나당연합군의 백제 공격(기벌포, 황산벌 전투 등), 백제의 항복(660)
2) 백제 유민의 항전 : 백제 땅에 웅진도독부를 설치, 부흥 운동은 663년 끝나게 됨
3) 고구려의 멸망 : 내부 갈등을 겪던 고구려는 평양성이 함락되어 멸망함(668)
4) 고구려 유민의 항전 : 평양에 안동도호부를 설치하려 하였으나 유민의 반발로 실패, 고구려 부흥군 역시 한때 위세를 떨쳤으나 내분으로 인해 결국 실패하게 됨
3. 나당 전쟁과 삼국통일(교재 62~63쪽)
1) 나당전쟁 : 신라가 모두 이김 - 672년 매소성(경기 양주) 전투, 673년 기벌포(금강 하구) 전투
2) 신라 삼국통일의 한계 : 외세를 이용하여 통일을 이룸, 대동강 이남의 영토만을 차지하는 데 그침
3.2. 통일신라와 발해의 발전
1. 강력한 왕권의 확립(교재 64~65쪽)
(1) 문무왕 : 무열왕과 문무왕 때 왕권이 강화됨. 백제를 멸망시킴(660), 당과 일본과의 외교 강화
(2) 신문왕 : 장인인 김흠돌의 반란 진압, 중앙과 지방 통치조직 정비, 귀족들의 녹읍 폐지, 수도 금성(경주)을 도시계획에 의거하여 새롭게 정비함
2. 통치조직의 재편(교재 65~66쪽) : 행정제도는 중앙(집사부 중심-책임자 시중), 지방(9주 5소경), 군사제도는 중앙군(9서당), 지방군(10정)
3. 발해의 건국과 발전(교재 66~67쪽)
1) 발해의 건국 :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의 합세, 대조영이 지린성의 동모산 근처에 도읍을 정하고 나라를 세움(698). 국호를 처음에는 진국(搢國)이라고 했다가 나중에 발해(渤海)로 고침
2) 발해의 발전 : 고구려 계승 의식, 무왕은 영토 확장으로 옛 고구려 땅을 대부분 회복함
4. 해동의 융성한 나라(교재 68쪽)
1) 9세기 전반 선왕의 국가 중흥 : 강력한 왕권, 대외정복, 이 시기 당에서는 발해를 해동성국이라고 함
2) 발해의 멸망 : 9세기 말부터 내분으로 국력이 약해지다가 거란의 침략으로 멸망함(926)
5. 발해의 통치체제와 대외관계(교재 70~71쪽)
1) 중앙 행정기구 : 3성6부, 당의 제도 모방-명칭과 운영에서 발해의 독자성 유지
2) 지방 행정 : 5경 15부 62주 : 5경(동·서·남·중·상경), 15부에 도독, 62주에 자사 등 파견함
3) 대외관계 : 당(무왕 사망 이후 친선관계), 일본(당과 신라 견제 위해 교류 시작), 신라(서로 대립 관계였으나 때때로 사신을 파견하여 우의를 다짐) - 일본과는 일본도, 신라와는 신라도를 통하여 왕래함
3.3. 통일신라·발해의 사회와 경제
1. 귀족의 경제생활(교재 71~73쪽)
1) 토지지급제도
(1) 통일 이전 신라 : 진골 관리에게 녹읍을, 하급 관리에게는 곡물을 녹봉으로 지급함
(2) 관리에게 녹봉 외에 관료전이라는 이름으로 토지를 별도로 지급하기도 함(687, 신문왕 7)
(3) 통일 이후 신라 : 녹읍을 혁파하고 진골 관리에게도 곡물을 녹봉으로 지급함(689)
(4) 8세기 중반 이후 곡물 녹봉을 폐지하고 다시 녹읍을 지급함(757)
2) 통일신라 귀족의 삶 : 풍족한 생활(녹읍이나 녹봉), 금입택에 거주, 사절유택 소유함
3) 통일신라 이후 경제생활 : 당의 장안성 모방 - 금성의 시가지를 바둑판처럼 반듯하게 구획함
2. 촌락문서와 농민생활(교재 73~74쪽)
1) 촌락문서
(1) 통일신라시대 서원경(충북 청주) 근처 4개 촌락의 여러 가지 경제상황을 기록한 문서
(2) 3년에 한 번씩 조사한 촌락의 인구 수, 소와 말, 뽕나무와 잣나무, 호두나무의 수, 논과 밭의 면적 등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음
(3) 농민들을 철저하게 파악하고 관리하여 세금을 잘 거두려는 목적에서 작성함
2) 농민들의 생활
(1) 경제 형편을 고려하여 농민 가호를 9등급으로 나눔
(2) 조용조 부과 : 조(租-벼나 콩 득의 곡물을 징수하는 세금)·용(庸-16세에서 60세까지의 남자를 대상으로 부과하는 역역과 3년을 기한으로 하는 군역)·조(調-비단이나 삼베 등을 징수하는 것)
(3) 수취 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농민에게 정전(丁田)을 지급하였고(722), 흉년이 드는 해에는 가난한 농민에게 곡물을 나누어 주기도 함
3.4. 통일신라와 발해의 문화
1. 불교사상의 발달과 대중화(교재 75~76쪽)
(1) 원효(一心사상, 정토신앙), 의상(화엄사상), 원측(서명학파), 혜초(왕오천축국전)
(2) 원효의 정토신앙(극락정토)으로 피지배층 등이 널리 불교를 받아들임
(3) 그밖에 관음신앙(현세에서 고난을 구원받고자 하는 신앙), 미륵신앙(사후에 도솔천에 다시 태어나 구원을 받고자 하는 신앙) 등도 널리 전파됨
2. 불교예술의 융성(교재 76~78쪽) : 불국사(다보탑과 석가탑), 석굴암(석굴 사원) - 김대성이 건립
3. 유학의 보급과 군자국 인식(교재 78~79쪽)
1) 유학의 발달 : 신문왕(682, 국학 설치), 원성왕(788, 독서삼품과 실시)
2) 유학자의 배출 : 강수(외교문서), 설총(이두 정리), 김대문(화랑세기), 최치원(당나라 빈공과에 합격, 계원필경과 비문 일부가 전함)
4. 융합적인 발해문화(교재 79~81쪽)
1) 발해의 복합적인 문화 : 고구려 문화 + 당의 문화
2) 발해의 유물 : 고분 - 문왕의 둘째 딸 정혜공주의 무덤(고구려의 전통), 문왕의 넷째 딸 정효공주의 무덤(당의 영향을 받은 무덤)
3.5. 신라의 동요와 멸망
1. 왕위 다툼 격화와 농민항쟁(교재 81~82쪽)
전국적인 반란 : 지도층 – 웅천주(충남 공주) 도독 김헌창의 반란(822), 장보고의 반란(841), 농민층 – 진성여왕 때 원종과 애노의 반란 등
2. 지방 호족의 등장(교재 82쪽)
(1) 호족 : 지방에서 군사력을 모아 자위력을 갖추고 스스로 성주 또는 장군이라고 부르는 사람들
(2) 호족은 독자적인 통치 기구를 두어 관리를 임명하고, 자체의 영역을 직접 통치함
3. 선종의 수용과 사상계의 변화(교재 82~83쪽)
1) 불교의 종파 : 교종(경전과 교리의 이해 중심), 선종(정신수양-참선 중심)
2) 선종의 유행 : 지방 곳곳에 선종 사찰이 세워지고 선종 승려들이 풍수지리설을 널리 보급함
4. 후삼국의 분열(교재 83~84쪽)
1) 견훤 : 상주 출신, 완산(전북 전주)에 도읍을 정하고 후백제 세움(900)
2) 궁예 : 신라 왕족 출신, 양길의 부하였다가 자립하여 송악에 도읍을 정하고 후고구려를 세움(901), 나라 이름을 마진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태봉으로 고침. 스스로 미륵불이라 자처하다가 왕건을 비롯한 신하들에 의해 왕위에서 쫓겨나 살해됨(918)
'한국사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능력검정, 9급 공무원, 각종 한국사 시험 대비 한국사의 이해 핵심요점 요약 정리 5. 고려 후기의 사회 변화 (0) | 2022.03.02 |
---|---|
한국사능력검정, 9급 공무원, 각종 한국사 시험 대비 한국사의 이해 핵심요점 요약 정리 4. 고려의 성립과 발전 (0) | 2022.02.28 |
한국사능력검정, 9급 공무원, 각종 한국사 시험 대비 한국사의 이해 핵심요약 정리 2. 삼국의 성립과 발전 (0) | 2022.02.24 |
한국사능력검정, 9급 공무원, 각종 한국사 시험 대비 한국사의 이해 핵심요약정리 1. 선사시대의 전개와 고조선의 성립 (0) | 2022.02.23 |
한능검, 9급 공무원 한국사 시험 대비 쉽게 암기되는 암기법 요약 정리를 소개드립니다.~ (0) | 2022.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