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한국의 국악 음악교수법
1 국악의 음악교육철학
우리의 음악 문화유산인 국악을 자라나는 우리 어린이들에게 교육해야 되는 것은 매우 당연
한 일이다. 하지만 그동안 우리 유아음악교육이 우리의 것이 아닌 서양음악과 그 음악교수
법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것도 사실이다. 아동의 감추어진 재능에 싹이 나게 하려면 싹이
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하듯 아동이 우리의 음악인 국악을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음악적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 하겠다.
2 국악의 기본장단
1) 국악의 기본장단 1
국악장단은 주로 점4분음표를 기본박으로 하여 1박 3분법으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에는 국
악장단에 서양음악의 기본박 개념을 적용시켜서 도드리장단을 2/점4분음표, 세마치장단을
3/점4분음표, 타령장단, 굿거리장단, 중모리장단, 자진모리장단은 4/점4분음표의 박자로 표
기한다. 국악장단에서 단모리장단은 4분음표를 기본박으로 하여 이루어진 4/4박자이다. 장
단을 칠 때는 제시되어 있는 장단의 빠르기를 원칙으로 하면서, 유아들의 노래 속도를 고려
해야 한다.
2) 국악의 기본장단 2
각각의 장단은 기본형을 중심으로 연주하되 곡의 흐름에 따라 장단의 변화를 주면 좋다. 대
부분의 전래동요 장단은 아이들의 움직임이나 호흡을 반영한 노래이니만큼 대체로 빠른 자
진모리장단과 단모리장단이 많다.
� 단모리장단 정간보(교재 138쪽), 자진모리장단 정간보(교재 140쪽) 참조
3 국악교육의 실제
1) 전래동요, 민요, 국악동요 부르기
(1) 민요:민요는 우리 민족의 노래다. 민족의 정서를 담고 있는 노래인 것이다. 헝가리의
코다이가 음악적 모국어의 개념을 갖고 헝가리 민속음악을 자기 나라 음악교육의 모태로 삼
았다는 사실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의미가 크다. 민요는 닫힌 형식이 아니라 열린
형식의 노래이다. 한 번 부르고 끝나는 노래가 아니라 돌아가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정해진
가사뿐 아니라 즉흥적인 가사 붙이기를 즐긴다.
(2) 국악동요:유아들의 생활감정, 심리 등을 문학용어로 표현한 정형적인 시요에 곡을 붙
인 것을 동요라고 한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동요는 노랫말의 묘미에 특징을 보이면서 노
랫말 전달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음악적인 면에서는 민족적인 고유성을 가지고 있지 않았
다. 국악동요라고 하면 낯설게 느껴지지만 음악적인 면에서는 민족적인 선율과 전통리듬이
담긴 전래동요와 민요를 토대로 하고, 노랫말은 현 세대 유아의 심리에 맞게 새롭게 창작된
음악이다. 즉 우리의 언어리듬에서 시작해서 우리 음악을 리듬화·장단화한 것이다.
(3) 전래동요:전래동요의 음악적 특징은 ① 노래의 길이가 짧고 반복이 많으며, 단순한 리
듬과 단순한 선율로 되어 있다. ② 음역이 좁아서 어린이들이 부르기 편하다.
<전래동요의 교육적 가치>
강약과 리듬, 억양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노래이므로 우리말과 우리 노래, 우리 음악의 관
계를 자연스럽게 이해하게 해 준다.
노랫말이 현대적 정서와 다소 거리가 있다고 해도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어릴 때 불렀던
노래들을 다시 불러 봄으로써, 세대와 세대간의 격차를 줄여 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쪾전래동요의 리듬은 우리 음악 장단의 기초가 되고 그 가락은 우리 음악 선율의 기초가 되
기 때문에 우리 음악을 가르치기 위한 초기 단계에서 활용하기 적합하며, 이를 통하여 고급
음악을 이해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바탕을 마련하게 한다.
2) 국악기 연주하기
유아는 주위의 모든 물건으로 소리를 내고자 하는 본능이 있고, 유아에게 있어서 악기는 매
력적이기 때문에 가장 초보적인 방식이라도 소리를 냄으로써 유아는 성취감을 갖는다. 특히
국악기에 대한 호기심은 무척 강하기 때문에 국악기로 유아들에게 국악을 이해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유아들에게는 비교적 다루기 쉬운 간단한 타악기나 리듬악기가 적당한데, 우리
의 타악기로는 장구, 꽹과리 그리고 징, 북, 소고 등이 있다.
3) 국악장단과 춤동작
유아의 생활은 움직임-뒤집고, 기고, 서고, 걷고, 뛰고, 끌고, 앉고, 눕고, 뒹굴고, 흔드는
활동-의 과정 속에서 성장한다. 유아는 노래와 움직임을 통해 자기 자신을 자연스럽게 표
현하는 것을 좋아한다. 어린이의 춤은 자연스러운 행동이며 성장의 표현으로서 자신의 욕구
와 생각을 나타낸다. 율동은 어린이가 자신의 몸을 스스로 움직여 음악적 리듬을 구체적으
로 경험하는 것으로, 율동놀이는 어린이의 언어활동임과 동시에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수
단이 된다. 국악에서 어린이의 춤동작은 흥겨운 신체의 리듬을 느낄 수 있는 보법(발동작)
과 동작(팔동작), 그 외에 어깨와 엉덩이를 이용한 여러 신체동작이 있다. 이러한 춤동작은
장단의 다양한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 유아국악교육은 국악장단의 동요를 자주 들려주어 장
단의 변화를 느낄 수 있게 하고, 장단에 맞는 춤동작을 표현할 수 있게 하는 생동감 있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4 국악교육의 유아음악교육에의 적용
유아교육현장에서의 국악교육의 적용은 국악동요, 국악기, 국악장단에 맞춘 춤동작 등을 함
께 통합하여 전통음악듣기, 노래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창작하기 등 5가지 영
역의 다양한 국악활동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유아국악교육을 한국 전
래동요에 너무 제한하여 적용할 것이 아니라 새로 발굴된 향토민요나 전래동화를 유아의 발
달에 적합하게 새롭게 재창작하여 노래극·음악극·동극으로 극화하는 통합적 국악활동도 이
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한국의 유아음악교육은 새로운 세계적인 음악교수법과 한국
전통 고유의 음악교수법이 조화를 이루면서도 독자적인 각국의 음악성과 음악문화를 잘 살
려 나가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음악교육이론의 교수-학습방법이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 균형과 조화를 이루는 교육과정으로 체계화되어 유아음악교육-초등
음악교육-중등음악교육-전문음악교육으로 연계되도록 해서 전체적인 음악교육의 본질적인
목표를 달성하여야 할 것이다.
'유아음악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학과, 유아교육학, 보육교사 등 필수 유아음악교육 정리 15. 노래를 통한 음악교육활동 (1) | 2024.05.04 |
---|---|
아동학과, 유아교육학, 보육교사 등 필수 유아음악교육 정리 14. 듣기를 통한 음악교육활동 (1) | 2024.05.03 |
아동학과, 유아교육학, 보육교사 등 필수 유아음악교육 정리 12. 미국의 고든 음악교수법 (3) | 2024.05.01 |
아동학과, 유아교육학, 보육교사 등 필수 유아음악교육 정리 11. 일본의 스즈키 음악교수법 (2) | 2024.04.30 |
아동학과, 유아교육학, 보육교사 등 필수 유아음악교육 정리 10. 스위스의 달크로즈 음악교수법 (1) | 2024.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