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발달

아동학과, 유아교육학, 보육교사 등 아동발달 정리 11. Erikson의 심리사회적이론

반응형

11. Erikson의 심리사회적이론

Freud가 성적 충동을 지나치게 강조한 것은 정신분석 학자들에서도 많은 논란을 불러옴
▶  비엔나에서 정신분석 훈련을 받고 미국을 건너감
▶  다양한 사회 집단에서 생성되는 유사점과 차이점을 관찰함
▶  개인의 생물학적 욕구보다 주변 사람들, 사회, 문화에 의해 성격이 형성된다고 봄
▶  성격발달은 사회적 관계에 달려 있음을 강조함
▶  정신분석적 관점의 대안적 견해를 제시


1) 심리사회적 이론
▶  Freud의 심리성적이론 체계에 기초함
▶  각 발달단계는 개인과 환경 사이의 갈등과 위기로 정의됨
▶  위기를 만족스럽게 해결할 때 건강한 발달이 이루어짐
▶  인간 발달을 전생애적으로 접근함
▶  신뢰감 대 불신감, 자율성 대 수치심, 주도성 대 죄책감, 근면성 대 열등감, 정체감 대 정체감
혼미, 친밀감 대 고립감, 생산성 대 침체성, 통합감 대 절망감의 8단계로 구분함


2)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  각 단계는 두 가지 기본 태도로 명명됨
▶  각 단계의 위기를 어떻게 극복하는지에 따라 한쪽의 결과가 나타남
▶  갈등의 성공적인 해결이 긍정적인 측면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
▶  갈등의 최상의 해결은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이 균형을 이루는 것임


(1) 신뢰감 대 불신감(생후 1년까지)
▶  영아가 세상을 신뢰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가 주된 발달위기임
▶  어머니의 관여가 신뢰의 초점이 됨
▶  주양육자의 일관되며 적절한 돌봄과 사랑은 신뢰감을 형성하게 됨
▶  거부적이며 부적절한 돌봄은 불신감을 갖게 됨
▶  신뢰와 불신 사이의 적당한 비율은 건강한 발달에 도움이 됨
▶  바람직한 결과: 신뢰, 희망

 

(2) 자율성 대 수치심(1-3세)
▶  자율적이며 창의적인 사람이 되는지에 대한 여부에 쟁점이 있음
▶  배변훈련과 관련된 배설기능의 자기통제가 중요함
▶  자기능력으로 기능을 발휘하고 격려할 때 자율성 발달
▶  과잉보호와 도움의 결핍은 수치심 형성
▶  바람직한 결과: 의지


(3) 주도성 대 죄책감(3-6세)
▶  세상을 향해 돌진하는 것과 주저하는 것 사이에 갈등이 발생함
▶  놀이활동을 통해 호기심을 표현함
▶  성적 탐색과 관련된 호기심도 포함됨
▶  탐색할 수 있는 자유를 허용하고 질문에 적절히 답해줄 때 주도성 발달
▶  활동을 제한하고 간섭, 처벌을 통해 수치심이 형성됨
▶  바람직한 결과: 목적, 의도


(4) 근면성 대 열등감(6-11세)
▶  Freud와는 다르게 역동적이고 활동적인 시기로 봄
▶  이 시기가 아동의 근면성에 결정적이라고 믿었음
▶  학교 교육의 시작 시기로 인지적, 사회적 기술습득의 시기로 봄
▶  성취 기회를 부여하고 성취의 인정과 격려를 통해 근면성 발달
▶  성취 기회가 없거나 결과에 비난을 받으면 열등감이 형성됨
▶  바람직한 결과: 기술, 유능감


(5) 정체감 대 정체감 혼미(12-18세)
▶  자아정체감의 확립을 가장 중요한 발달과업으로 봄
▶  나는 누구인가? 등의 자문이 자아정체감을 형성하기 위한 과정임
▶  정체감의 위기를 경험하게 된다고 여김
▶  자신의 존재, 가치에 대한 인식이 정체감을 발달시킴
▶  신체적 불안감, 직업선택의 불안은 정체감 혼미를 유발함
▶  정체감 혼미 상태가 영구적이 되면 비행, 병리적 성격장애를 가져올 수 있음
▶  바람직한 결과: 성실, 충성


(6) 친밀감 대 고립감(성인기)
▶  타인과의 관계에서 친밀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함
▶  친밀감은 자기 정체감과 타인의 정체감을 융합하는 능력임
▶  정체감을 확립한 후에야 진정한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다고 여김
▶  친밀한 관계는 ‘우리’라는 상호의존성을 발달시킴
▶  친밀한 관계 형성에 실패하면 고립감을 느낌
▶  바람직한 결과: 사랑


(7) 생산성 대 침체성(중년기)
▶  생산성은 다음 세대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는 것
▶  생물학적 생산성: 자녀를 낳고 기르는 것
▶  직업적 생산성: 기술을 전수하는 것

▶  문화적 생산성: 창조하고 혁신하며 보존하는 것
▶  타인과 사회를 위한 노력을 통해 생산성이 발달함
▶  인생을 지루하게 생각하거나 불평불만을 하는 사람이 침체성의 전형임
▶  다음 세대를 위해 한 일이 없다고 여기면 침체성에 빠짐
▶  바람직한 결과: 배려


(8) 통합감 대 절망감(노년기)
▶  자아통합과 절망감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함
▶  자신의 삶을 만족스럽게 인식하는 것이 중요
▶  죽음을 받아들이게 되면 통합감의 정점에 이르게 됨
▶  인생을 후회하며 죽음을 두려워할 때 절망감에 빠짐
▶  절망감보다 통합감이 바람직하지만, 절망감은 불가피한 것임
▶  바람직한 결과: 지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