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4 장 청소년활동의 이론적 토대
<학습목표>
1. 청소년활동의 과정적 측면과 관련된 이론들을 이해한다.
2. 교육참여 의사결정 모델에 기초하여 청소년활동 참여현상을 이해한다.
3. 경험학습이론과 청소년활동의 관계를 이해한다.
4. 몰입경험이론과 청소년활동의 관계를 이해한다.
<강의요약>
4.1 청소년활동의 이론적 토대
4.1.1 교수-학습 과정
● 교수-학습과정이란 교수자와 학습자가 교육내용을 두고 상호주관적인 만남과 의사소통의 과정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과정을 말함
- 전통적 교수이론 : 교수자의 일방적 지식전수 과정을 강조
- 교수-학습이론 : 학습자의 주도적인 학습과정을 전제
⇒ 교수-학습과정에는 교수자의 교수활동(teaching)과 학습자의 학습활동(learning)이 통합되어 있음
● 청소년활동은 교수자로서의 청소년지도자와 학습자로서의 청소년이 교육내용(=활동내용)을 매개로 상호주관적인 의사소통적 만남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교수-학습과정으로서의 특성을 지님
● 최근 교수-학습과정에서는 ‘교수자중심’ 보다는 ‘학습자 중심’의 방법이 강조되고 있음.
4.1.2 협동학습 과정
● 협동학습(cooperative learning)이란 학습자들이 공동의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함께 활동하는 학습방법을 말함.
- 둘 이상의 소집단 구성원들이 공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협력하여 행하는 공동학습
- 상대방과 생각을 공유하며 함께 활동을 전개해가는 과정
● 청소년활동에서는 청소년들이 다른 사람과 더불어 함께 주어진 목표를 달성해 나가는 방법을 강조
4.1.3 커뮤니케이션 과정
● 청소년활동의 실천과정은 청소년지도자와 청소년, 청소년과 청소년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적 상호작용에 의해 전개됨.
- 청소년활동의 전개과정: 청소년지도자와 청소년 상호간의 의사소통과정(communication process)으로 파악 가능
● 청소년활동은 활동에 참여하는 구성원간의 커뮤니케이션의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통해 청소년들이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고, 구성원들 상호간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음.
- 교육적 상호작용으로서의 청소년활동이 효과적으로 진행되려면 청소년활동에 참여하는 구성원들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함.
4.1.4 집단역동의 과정
● 청소년활동이 집단활동을 통해 이루어질 경우 청소년활동의 과정은 집단역동의 과정(group dynamics process)으로 이해되기도 함.
- 집단의 구조와 기능, 집단 내ㆍ외부에서 발생되는 힘, 집단구성원간의 상호작용, 집단의 발전법칙, 집단의 변화과정 등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집단역동성에 관한 연구 → 집단중심 청소년활동의 이론적 토대가 됨.
- 특히 집단중심 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지도자들이 집단역동을 적절히 활용할 경우 → 전체 집단과 구성원인 청소년에게 긍정적 결과 산출 가능
4.1.5 참여과정
● 청소년활동은 청소년들의 참여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청소년활동은 청소년들의 참여과정으로 이해됨.
- 청소년활동이 체계적으로 구조화되어 있다 할지라도 청소년들의 참여가 없다면 청소년활동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음.
- 참여에 관한 논의: 청소년활동의 과정에 대한 이론적 토대가 됨.
● Hart의 청소년 참여수준 8단계
① 조작(manipulation)단계: 청소년들이 활동내용에 대해 전혀 이해하지 못한 채 일방적으로 청소년지도자의 지시를 따르는 상태
② 장식(decoration)단계: 청소년들의 참여가 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청소년들이 장식품이나 악세사리처럼 동원되는 상태
③ 명목주의(tokenism)단계: 청소년들의 의견이나 생각을 표현하게 하지만, 청소년활동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상태
④ 제한적 위임과 정보제공(assigned but informed)단계: 제한적으로 청소년들에게 역할이 부여되며, 그 과정을 통해 청소년활동의 궁극적인 목적이나 필요성을 이해하게 하는 상태
⑤ 상의와 정보제공(consulted and informed)단계: 청소년활동이 청소년지도자에 의해 설계되고 운영되지만, 청소년들의 생각이나 의견이 심각하게 고려되는 상태
⑥ 성인주도(adult initiated)단계: 청소년활동이 청소년지도자에 의해 주도되지만 모든 의사결정이 청소년과 동등하게 공유되는 상태
⑦ 청소년주도(young person initiated)단계: 청소년활동이 청소년들 스스로에 의해 주도되며, 청소년활동과 관련된 주된 아이디어들이 청소년으로부터 나오는 상태
⑧ 동등한 파트너십(equal partnership)단계: 청소년활동에 대한 아이디어들이 청소년에 의해 시작되며, 청소년활동의 실행과정에 청소년지도자를 파트너로 참여시키는 상태
⇒ ①, ②, ③단계 : 청소년들이 성인에게 이용당하는 비참여수준
④, ⑤단계: 실직적 의사결정권은 성인이 가지는 형식적 참여수준
⑥, ⑦, ⑧단계: 청소년이 실질적 의사결정권을 가지는 실질적 참여수준
4.2 청소년활동 참여의 이론적 기초
4.2.1 밀러의 힘-장모델(force-field model)
● Maslow의 욕구위계론(motivational needs hierarchy)과 Lewin의 힘-장이론(force-field theory)을 연계하여 비제도권 교육에 대한 참여현상을 설명
- Maslow의 이론: 활동참여 동기는 사회경제적 계층에 따라 상이
- Lewin의 이론: 부정적인 힘과 부정적인 힘의 강도와 이들 두요인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활동참여가 결정됨
● 청소년들의 활동참여에 대한 결정요인을 사회경제적 요인과 참여촉진/장애요인이 갖는 힘의 강도라는 두가지 요인으로 단순화시켜서 설명할 수 있게 해준다는 장점이 있음.
- 그러나 참여결정요인으로서 사회경제적 요인을 너무 강조한 나머지 개인의 내적 성향변인이나 심리적 특성변인을 간과함으로써 지나치게 단순하고 이론적이라는 비판을 받음.
4.2.2 보시어의 일치모델(congruency model)
● Boshier의 일치모델은 개인적인 요인(personal factor)과 사회적 요인(social factor)의 상호작용을 통해 교육참여를 설명
- 학습자가 자기 자신을 어떠한 존재로 파악하고 있는가와 교육환경(자아와 동료 학습자, 자아와 교사, 자아와 제도적 환경 등)과의 일치성(congruency) 여부에 따라 참여와 중도탈락이 결정된다고 설명
● Boshier의 일치모델은 개인과 환경간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일치도와 불일치도를 통해 청소년활동의 참여와 비참여, 중도탈락 등을 설명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
- 그러나 사회구조적 요인이나 거시적인 환경적 요인을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음.
4.2.3 루벤슨의 기대-유의가 모델
● Rubenson의 기대-유의가 모델(expectancy-valence model)에서는 교육참여가 기본적으로 기대(expectancy)와 유의가(valence)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
- 기대: 교육참여가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기대,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중도 탈락하지 않고 성공적으로 끝마칠 것이라는 기대
- 유의가: 교육의 결과에 대한 개인의 가치
● 이 모델에서는 청소년활동에 대한 참여가 개인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의 총체적 영향력에 의해 결정되며, 이 두 요인에 대한 주관적인 기대와 가치에 의해 참여가 결정된다고 봄.
- 청소년활동에 대한 참여결정력 향상은 외적인 보상이나 환경요인의 촉진만으로는 이루어질 수 없으며, 개인적 차원에서의 청소년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과 가치부여의 과정이 수반되어만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
4.2.4 하워드의 역동적 과정으로서의 기대동기 모델
● Rubenson의 기대-유의가 모델에 기초하여 학습활동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기대동기가 변화하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개발됨
● 학습자의 기대동기는 학습상황에서의 경험에 의해 역동적으로 변화함
● 기대동기는 크게 ‘노력→수행기대(E-P)’, ‘수행→보상기대(P-R)’, ‘보상→욕구충족기대(R-N)’로 구분됨.
- 기대동기와 학습노력에 의해 산출되는 결과들(수행, 보상, 욕구충족)은 학습자의 기대동기수준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게 됨.
● 학습자의 기대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 자신이 학습한 것을 실생활에서 그대로 활용할 수 있고(E-P)
- 성공적인 수행에 따른 보상이 주어질 것이라고 지각해야 함(P-R)
- 그리고 보상이 자신의 욕구를 만족시켜 줄 것이라고 지각해야만 함(R-N).
4.2.5 크로스의 연쇄반응 모델(COR:chain of response model)
● Cross는 기존 연구자들의 참여현상에 관한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비형식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교육참여 현상을 일련의 연쇄반응의 과정으로 설명
● 청소년의 교육활동에 대한 참여: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과 같은 영향요인들에 대한 연쇄적인 반응(chain of response:COR)의 결과
- 자기평가, 교육에 대한 태도, 목표의 중요성과 기대, 생애주기 변화, 교육기회와 장애물, 정보, 참여의 단계로 교육참여가 결정된다고 설명
- 여기에서 각 요인들의 연속체는 교육활동에 참여하게 하는 힘이 개인에게서 시작되어 점차 외부조건들에게로 옮겨가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다면, 청소년들은 청소년활동에 참여하게 되며, 청소년활동에 대한 참여경험들은 청소년에게 자기평가(A)와 교육활동에 대한 태도(B)에 다시 영향을 미치게 됨.
● Cross의 모델은 학습자의 사회심리적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교육참여와 관련된 기존의 이론들을 종합적으로 조직화했다는 점에서 유용
- 그러나 자기평가적 측면, 교육에 대한 태도, 결과에 대한 기대 등 개인적 차원에서의 심리적 분석에 초점을 둠으로써, 거시적 환경요인들에 대한 상황분석 등을 간과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음.
4.3 청소년활동 관련 핵심이론
4.3.1 경험학습이론
● 경험학습(experiential learning)은 학습자의 경험을 학습과정에 통합하는 교육이며, 학습자가 자신의 생각, 느낌, 신체적ㆍ정신적ㆍ감성적ㆍ사회적인 존재로서 표출할 수 있는 감각을 총체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말함.
- 경험: 대상과의 직접적이고 전체적인 접촉을 말하는 것으로, 인간의 감각기관인 오감을 통해 외부의 자극을 정보로 받아들이는 과정을 의미
- 경험은 인간의 기억과정에 강렬한 영향을 미치고, 인간의 기존의 기억구조에 부단히 새로운 것을 통합해 가며, 경험을 재구성하고 학습하게 되는데, 이러한 학습과정이 바로 경험학습(또는 체험학습)임.
● 경험은 능동적인 요소와 수동적 요소의 특수한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음
- 능동적 측면: 해보는 것(trying)
- 수동적 측면: 당하는 것(undergoing)
- “경험으로부터 배운다”는 것은 우리가 사물에 대해서 하는 일과 그 결과로 사물에서 받는 것을 연결하는 것을 의미함.
● 경험학습 특히, 청소년활동과 같은 유목적적인 경험학습에서 흥미와 도야는 매우 중요한 요인임
- 흥미: 활동의 핵심이 되는 대상, 그리고 그 활동을 실현하는 데에 수단과 장애를 제공하는 대상에 마음이 사로잡혀 있다는 것을 의미
☞ 따라서 흥미는 청소년들의 활동을 불러일으키고, 그것을 일관성있게 그리고 지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함
- 도야: 새로운 자아를 형성하기 위한 의식적인 노력의 산물
☞ 유목적적인 활동의 과정에는 이러한 신중한 관찰과 지적판단, 주의집중, 인내의 훈련이 요구되기 때문에, 도야는 청소년활동을 통해 발생되는 긍정적인 산물임
● 경험학습의 진행과정은 크게 구체적 경험(concrete experience), 반성적 관찰(reflective observation), 추상적 개념화(abstract conceptualization), 적극적 실험(active experience)의 4단계로 구분됨
- 구체적 경험: 감각기관을 통한 대상과의 직접적 접촉을 의미
- 반성적 관찰: 구체적 경험에 대한 회상적 관찰과 의미찾기의 과정을 의미
- 추상적 개념화: 논리적 분석과 이해를 통해 추상화된 명제(혹은 가설적 지식)를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
- 적극적 실험: 추상적 개념화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일반원리들을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여 검증하는 것을 의미
⇒ 이상의 4가지 단계는 연속적인 순환과정으로 진행됨.
4.3.2. 몰입경험이론
● 몰입경험(flow experience): 자신의 행위에 완전히 사로잡혀 시간의 흐름이나 공간, 더 나아가서는 자신에 대한 생각까지도 잊어버리게 될 때를 일컫는 심리적 상태
- 몰입경험은 자신이 수행중인 활동에 최대한으로 참여하여 즐거움과 창조성을 경험하는 순간에 관찰됨.
- 따라서, 몰입의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자율의지에 따라 활동에 심도있게 참여하고, 활동 그 자체에서 의미를 찾아야만 가능
● 청소년활동에서의 몰입경험(activity flow)이란?
- 청소년활동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청소년이 자신이 수행중인 활동에 완전히 몰두하여 시간의 흐름이나 공간, 더 나아가서 자기 자신에 대한 생각까지도 잊어버리게 될 때 느끼는 최적의 심리적 상태
● 몰입경험의 특징
- 도전과 능력의 균형감(challenges-skills balance)
- 분명한 목적(clear goals)
- 명확한 피드백(unambiguous feedback)
- 수행중인 과제에 대한 집중(concentration on task at hand)
- 통제감(sense of control)
- 행위와 인식의 일체감(action-awareness merging)
- 자의식의 상실(loss of self-consciousness)
- 양적 시간개념의 상실(transformation of time)
- 자기목적성(autotelic experience)
● 몰입경험의 진행원리
- 몰입경험은 일상생활에서 우발적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몰입이 발생되도록 구조화된 활동(structured activity)이나 몰입을 경험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에 따라 더 자주 일어나기도 함
- 이는 몰입의 발생이 활동의 구조와 개인적 능력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
- 따라서 청소년지도자의 전략적 노력에 따라 청소년활동프로그램 참여자의 몰입경험은 변화될 수 있음(활동내용에 대한 전문성, 학습자와의 감정이입, 교육내용에 대한 열정, 내용전달의 명확성, 문화적 수용성 등).
- Csikszentmihalyi(1990)는 몰입이 일어나는 과정을 ‘활동의 대상을 의미하는 도전(challenges)’과 ‘개인이 지각하는 자신의 능력(skills)’의 함수관계로 설명
<연습문제>
1. 하트(Hart)의 청소년참여와 관련된 수준별 유형 중, 청소년활동이 청소년들 스스로에 의해 주도되며, 청소년지도자는 관찰자로 존재하면서 청소년의 활동의 인식하지만 통제하지는 않는 단계에 해당하는 것은?
① 조작(manipulation) 단계
② 제한적 위임과 정보제공(assigned but informed) 단계
③ 성인주도(adult initiated) 단계
④ 청소년주도(young person initiated) 단계
2. 경험학습의 진행순서를 순서대로 나열하시오.
3. 몰입경험의 특징 중 몰입상태에 있는 청소년은 미래의 보상이나 혜택보다는 활동 그 자체에서 보상을 받으며 활동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은?
① 행위와 인식의 일체감 ② 자의식의 상실
③ 자기목적성 ④ 양적 시간개념의 상실
<정답> 1. ④ 2. 구체적 경험 → 반성적 고찰 → 추상적 개념화 → 적극적 실험 3. ③
'청소년활동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학과, 상담, 공무원, 방통대 등 청소년활동론 핵심 요점 요약 6. 청소년활동의 발전과정 (1) | 2023.01.22 |
---|---|
사회복지학과, 상담, 공무원, 방통대 등 청소년활동론 핵심 요점 요약 5. 청소년활동의 가치 (0) | 2023.01.21 |
사회복지학과, 상담, 공무원, 방통대 등 청소년활동론 핵심 요점 요약 3. 청소년활동의 영역 및 유형 (1) | 2023.01.20 |
사회복지학과, 상담, 공무원, 방통대 등 청소년활동론 핵심 요점 요약 2. 청소년개발 실천전략으로서의 청소년활동 (0) | 2023.01.19 |
사회복지학과, 상담, 공무원, 방통대 등 청소년활동론 핵심 요점 요약 1. 청소년활동의 개념적 이해 (0) | 2023.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