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활동적 노화와 건강화 노화
1. 성공적 노화
1) 성공적 노화 모델
∙ 성공적 노화는 노년기의 신체적·정신적·사회적 안녕(well-being)을 의미함
∙ 성공적 노화는 노인의 기능이 높은 수준이며 사회에 기여한다는 것을 강조함으로써 과거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 즉 노인을 사회의 짐으로 간주해 낙인을 가했던 인식에 변화를 준 새로운 관점임
∙ 성공적 노화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접근은 1961년 노년학자 Robert J. Havighurst(1961)의 연구임
∙ 그는 노인이 인생을 향유하고 만족스런 삶을 유지하도록 돕는 것이 노년학의 실질적인 목표라 하면서
성공적인 노화에 관한 이론을 만드는 것이 핵심이라고 주장했음
(1) 생의학적 모델
∙ 성공적 노화에 관한 최초의 이론은 노화의 생의학적 모델(the biomedical model)임
∙ 1960년대 초에 나온 이 모델은 건강을 성공적 노화의 핵심으로 삼았음
∙ 생활양식이나 심리사회적 요인(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에도)은 이 모델에서 배제됨
∙ 하지만 사람을 정상적인 사람과 질병이 있는 사람으로 단순하게 분류하는 것은 인간의 다양성을 무시한
것임
∙ 질병이 있는 노화(diseased aging)와 정상적인 노화(normal aging)를 구분하는 것은 유용할 수도
있으나 노화를 설명하기에는 불충분했으며, 정상적인 노화가 가능한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었음(Baltes
and Baltes, 1990)
(2) 심리사회적 모델
∙ 1960년대 후반에는 심리사회적 모델(the psychosocial model)이 등장했음
∙ 생의학적 모델이 질병의 부재와 신체적·정신적 기능의 유지를 성공적 노화의 핵심으로 보았다면,
심리사회적 모델은 삶의 만족, 사회참여, 사회적 기능, 심리사회적 자원을 강조하였음
∙ 과거와 현재의 삶에 대한 만족은 성공적 노화의 중요한 요소임
∙ 삶의 만족은 행복, 자아개념, 흥미, 용기, 사기, 기분, 전반적 안녕을 포함함
∙ 사회적 기능의 유지도 성공적 노화의 주요 요소임
∙ 사회적 역할 기능의 수준, 긍정적 상호작용, 타인과의 관계, 사회통합, 사회에의 호혜적 참여 등이
여기에 포함됨
∙ 심리사회적 자원은 긍정적 외양, 자존감, 자기효능감, 삶에 대한 통제 센스, 자율성, 독립성, 효과적인
수습능력과 적응전략 등을 포함함(Havighurst et al., 1968)
∙ 1970년대 들어서는 생물학적·심리적·사회적 요인이 개인의 건강상태와 질병의 위험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밝혀짐에 따라 새로운 모델인 생물심리사회적 모델(the biopsychosocial model)이
나왔음(Engel, 977)
[참고자료]
w 생물심리사회적 모델은 노년기 개인의 건강과 기능적 상태를 단순히 건강과 질병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없다고 하면서 노인의 건강과 기능적 상태를 여러 차원을 가진 하나의 스펙트럼으로
보았음(Coyne and Downey, 1991)
w 이 모델 등장 이후 성공적 노화에 생물학적 개념과 심리사회적 개념이 통합되었음
(3) 다차원 모델
∙ 성공적 노화를 다차원적으로 고찰한 대표적인 것이 Rowe와 Kahn(1987, 1997)의 다차원 모델(the
multiple model)임
∙ 이들은 성공적인 노화를 경험하는 사람의 공통적인 특성을 추출했는데, 장애나 질병이 없고,
인지적·신체적 능력이 높은 수준에 있으며, 타인과 유의미한 방식으로 상호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음
∙ 이로부터 이들은 성공적 노화의 특성을 질병과 장애로부터 자유롭고, 장애의 고통이 없으며, 지적으로
능력이 있고, 좋은 신체적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타인과의 상호작용이나 사회생활에서 이런 능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임
∙ 이들은 또 생의학적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정상적 노화를 일반적 노화(usual aging)와 성공적
노화(successful aging)로 구분하였음
∙ 일반적 노화는 신체적·사회적·인지적 기능이 노화와 함께 정상적으로 쇠퇴하는 것임
∙ 성공적 노화는 이런 기능의 쇠퇴나 상실을 최소화하는 것임
∙ 말하자면 일반적 노화는 연령에 맞게 큰 병리적 문제없이 노화하는 것이고, 성공적 노화는 청장년층과
비교해서 기능면에서 별 차이 없이 노화하는 것임
∙ 성공적 노화의 요인은 음식, 교육, 운동, 영양, 사회적지지 등 노화과정을 완화시키는 것들임
[표1] 성공적 노화 모델
모델 | 내용 |
생의학적 모델 | - 성공적 노화는 좋은 건강상태, 독립적인 삶, 높은 수준의 인지기능과 신체기능 - 생활양식이나 심리사회적 요인(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에도)은 배제 - 노화를 질병이 있는 노화와 정상적인 노화로 구분 |
심리사회적 모델 | - 노년기 개인의 건강과 기능적 상태를 단순히 건강과 질병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없다고 비판 - 노인의 건강과 기능적 상태를 여러 차원을 가진 하나의 스펙트럼으로 간주 - 이 모델 등장 이후 성공적 노화에 생물학적·심리사회적 개념이 통합 |
다차원 모델 |
- 성공적 노화는 질병과 장애로부터의 자유, 인지적·신체적 기능, 사회적·생산적 간여 등 세 가지 차원을 가짐 - 성공적 노화는 질병으로부터 자유롭고, 장애의 고통이 없으며, 지적으로 능력이 있고, 좋은 신체적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타인과의 상호작용이나 사회생활에서 이런 능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 - 정상적 노화를 일반적 노화와 성공적 노화로 구분. 일반적 노화는 연령에 맞게 큰 병리적 문제없이 노화하는 것, 성공적 노화는 청장년층과 비교해서 기능면에서 별 차이 없이 노화하는 것 - 성공적 노화의 요인은 음식, 교육, 운동, 영양, 사회적지지 등 노화과정을 완화시키는 것 |
2) 성공적 노화에 대한 비판
∙ Rowe와 Kahn의 성공적 노화 모델은 노인에게 비현실적인 노화관념을 주입함
∙ 질병에서 자유롭고 건강하며 활동적인 노인 모델을 제시하기 때문임
∙ 그러나 현실에서 이런 노인은 많지 않음
∙ 성공적(successful)이라는 용어 자체가 승자와 패자를 내포함
∙ 건강하고 활동적이지 못한 노인은 성공하지 못한 사람으로 낙인찍히고 이는 노인차별일 수 있음
∙ 성공적 노화는 사회구조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개인주의적 개념임
∙ 실제로 노화는 개인과 역동적인 사회구조가 상호작용하는 사회적 과정임
∙ 노인의 삶은 평생교육, 차별반대정책, 여가, 자원봉사활동 기회 등 다양한 사회적 개입과 조치의 영향을
받음
∙ 따라서 성공적 노화도 사회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음(Foster and Walker, 2014)
∙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이념적 비판도 있음
∙ 노년학자, 케어전문직, WHO 등 국제조직이 사용하는 성공적 노화가 개인주의 원칙을 선호하는
자유주의 관념에 기초해 있다는 것임
∙ 말하자면 보건과 은퇴 영역의 신자유주의자들이 적극적이고 성공적인 생활방식에 관한 노년학적 관념에
영감을 받아 만든 용어라는 것임
∙ 사실 성공적 노화 개념이 노화에 대한 개인의 책임(흡연, 음주, 운동부족 등)을 강화함으로써 정부
책임을 개인에게 전가한 면이 없지 않음
∙ 성공적 노화에 대한 보편적인 정의가 없다는 것도 한계임
∙ 성공적 노화를 측정할 수 있는 조작적 정의와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성공적 노화에 대한
합의된 정의가 있어야 하는데, 그것이 없어 연구의 진전에 제한을 받고 있는 것임
∙ 나아가 성공적 노화의 세 차원(요소)에 대한 비판도 강함
[표2] 성공적 노화의 세 가지 차원에 대한 비판
구분 | 비판 |
장애와 질병이 없는 상태 |
- 질병이 없는 노인은 비현실적 - 자신의 만성질환이나 장애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줄 아는 것이 성공적 노화의 핵심(성공적 적응이 곧 성공적 노화) |
인지기능 | - 노인의 속도감, 주의력, 집중력, 기억력을 잃더라도 응축된 지능이 있으면 생애에 걸친 삶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 |
사회적 상호작용 | - 노인이 단순히 사회적 상호작용을 한다고 해서 성공적 노화가 달성되는 것은 아님 - 노인이 가진 사회적 네트워크의 질적 측면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고독의 극복이 전제되어야 함 |
2. 적극적 노화
1) WHO의 정의
∙ 적극적 노화에 가장 많은 관심을 표명한 국제기구가 WHO임
∙ WHO(1999)는 일찍이 노화를 이해하는 데는 노화하는 과정(the aging precess)과 노화의 과정(the
process of aging)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음
∙ 노화하는 과정은 노년기에 발생하는 보편적인 생물학적 변화로써 질병과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음
∙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늙어가는 것을 정상적 노화(normal aging)라 함
∙ 이에 비해 노화의 과정은 환경, 생활양식, 질병의 영향을 강하게 받음
∙ 노화로 인한 생물학적 변화와는 무관함
∙ 적극적 노화는 이 노화의 과정에 변화를 주자는 것임
∙ WHO는 생애에 걸친 신체적·사회적·영적 활동의 유지를 통해 노화 없는 노화의 과정(process of
growing older without growing old)을 만드는 것이 적극적 노화라고 했음
∙ 2002년 WHO는 적극적 노화에 관한 정책적 틀을 담은 보고서를 발표했음
∙ 이 보고서에서 WHO(2002)는 적극적 노화를 “노년기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건강, 참여, 안전의
기회를 최적화하는 과정”으로 정의했음
∙ 이 정의는 비록 짧지만 함축적이어서 적극적 노화에 관한 정의 중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고 있음
∙ WHO의 정의에서 중요한 것은 건강의 기회와 삶의 질의 관계임
∙ 건강한 삶의 질을 개선해야 향상된다는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보건의료 인프라의 확충을 통해
접근성을 개선하고 보건의료비용의 부담을 줄여야함
∙ 그리고 이 정의는 건강 이상의 것, 즉 참여와 안전의 기회를 강조하고 있음
2) UN 유럽경제위원회와 적극적 노화
∙ UN 유럽경제위원회(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도 WHO와 유사하게 삶의 모든 영역을
고려하고 여러 관점에서 노화과정을 살펴야 할 것을 강조하였음
∙ 예컨대 마드리드 국제노화활동계획 지역전략 회의(Regional Implementation Strategy for the
International Plan of Action on Ageing)에서 UN 유럽경제위원회 회원국들은 노인의
사회적·경제적·정치적·문화적 참여를 확대하고, 노인의 지역사회에의 적극적 간여를 격려하고 세대 간
관계를 촉진시킴으로써 노인을 사회에 통합시켜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했음
∙ 적극적 노화에 대한 이 입장은 몇 가지 측면에서 의미가 있음
∙ 첫째, 적극적 노화는 개인뿐만 아니라 집단과 사회에도 초점을 둠
∙ 둘째, 적극적 노화는 노인의 삶의 질에 목표를 둔 하나의 과정임
∙ 셋째, 조장 요인과 사회구조를 강조함
∙ 넷째, 적극적 노화는 삶의 여러 영영을 포괄함
[표3] 적극적 노화의 정의
구분 | 정의 |
WHO | - 생애에 걸쳐 신체적·사회적·영적 활동을 유지시킴으로써 노화 없는 노화의 과정을 만드는 것 - 노년기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건강, 참여, 안전의 기회를 최적화하는 과정 |
UN 유럽경제위원회 |
- 적극적 노화는 노인의 삶의 질에 목표를 둔 하나의 과정 - 조장 요인(개인적·사회적·행동적·환경적·제도적 요인)과 사회구조 강조 - 삶의 여러 영역(건강, 사회통합, 사회적 참여) 포괄 |
* 출처 : 노인복지론, 원석조, p.113
3) 적극적 노화와 활동이론
∙ 적극적 노화는 노인이 삶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해 적극적인 태도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함
∙ 적극적으로 살면 노화가 지연되고 삶의 질이 향상됨
∙ 활동성은 노인이 퇴직 이후의 삶에 적응하는 데도 도움을 줌
∙ 적극적 노화의 활동성은 활동이론의 영향을 받은 것임
∙ 활동이론은 노화에 관한 초기 이론으로 Havighurst(1961)가 제시한 이론임
∙ 활동이론은 적극적 노화가 노인이 활동적이고 상호작용을 유지하면 얻어지고, 노인의 활동성과 삶의
만족도는 정의 관계에 있다고 가정함
∙ 다시 말해 노년기의 안녕은 사회적 참여 및 여가활동에의 참여에 의해 촉진된다는 것임
∙ 하지만 이 이론은 노인의 건강상태와 경제적 상태의 불평등을 간과하고 있음
∙ 건강과 경제는 노인이 적극적인 활동에 참여하는 능력과 새로운 도전에 나서게 만드는 열망에 제한을
가하는 요인임
∙ 활동이론은 일종의 기능주의이론임
∙ 퇴직자가 퇴직으로 잃은 역할을 새로운 역할을 찾아 이를 대체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음
∙ 노화의 활동이론은 오늘날 성공적 노화 패러다임에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음
4) 적극적 노화에 대한 비판
∙ 노인의 적극적인 모습에 초점을 두고 노인차별을 제거하려는 노력이 자칫하면 노인의 신체 상태를
무시하고 비현실적이고 억압적인 기준을 부과하는 위험이 있고, 이것은 노인의 정체성과 자존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줌
∙ 적극적 노화는 시민으로 하여금 적극적인 삶을 살도록 유도하고, 노화에 대한 개인의 책임과 자기
케어를 조장하는 측면이 있음
5) 적극적 노화와 성공적 노화
∙ 성공적 노화와 적극적 노화 개념은 1960년대 초 미국 노년학계에서 처음 나왔음
∙ 이 두 개념은 노인과 사회가 서로 멀리하게 된다는 유리이론(the disengagement theory)에 대한
반정립으로 출발했음
∙ 유리이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노인과 사회 간의 유리를 보편적이고 필연적이라고 주장했음(Cumming
and Henry, 1961)
∙ 노년학 초기 노화이론인 유리이론은 노인과 사회 간의 유리에 대한 노인이 인식을 무시했다는 비판을
받았음(노인은 사회로부터 유리되었다고 생각하지 않음)
∙ 성공적 노화와 적극적 노화 개념은 노인의 사회참여 역량을 인정하고 중시함으로써 유리이론을 전면
부정했음
∙ 적극적 노화와 성공적 노화 개념은 상당히 유사함
∙ 무엇보다 건강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그러함
∙ 적극적 노화와 성공적 노화 모델 모두 적극적 관점에서 출발하였음
∙ 바람직하게 잘 늙는다는 것은 장애와 질병을 피하고, 정신적·신체적 능력을 유지하는 것임
∙ 그렇게 함으로써 생산적인 삶을 유지하고 사회에 참여할 수 있음
∙ 성공적 노화의 핵심은 노년기에도 활동을 지속하고 중년기에 형성된 가치관을 견지하는 데 있음
∙ 성공적 노화와 적극적 노화는 결함모델(the deficit-model)에 도전한 것도 같음
∙ 결함모델은 나이가 들면 여러 가지 결함이 생겨 일자리와 연금을 맞바꾸게 되고, 일자리에서 퇴출되어
더 이상 생산적인 일을 하지 못하게 되면 노인의 사회적 가치가 줄어든다는 이론임
∙ 적극적 노화와 성공적 노화 개념은 이런 관행과 생각에 도전해 노인도 사회에 참여해 활동할 수 있다고
주장함
∙ 노화와 질병은 별개의 과정이고, 노화가 질병과 장애를 필수적으로 동반하는 것은 아니며, 노후에도
긍정적인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임
∙ 무력한 존재인 노인을 무엇인가 할 수 있는 적극적인 존재로 바꾸는 것임
'노인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복지직 등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14. 노인복지의 개념과 기능 (0) | 2022.08.18 |
---|---|
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복지직 등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13. 연령통합사회 (0) | 2022.08.18 |
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복지직 등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11. 사회적 노화 이론 (0) | 2022.08.17 |
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복지직 등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10. 은퇴와 노년생활 (0) | 2022.08.16 |
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복지직 등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9. 치매의 이해 및 특성 (0) | 2022.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