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인복지론

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복지직 등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12. 활동적 노화와 건강화 노화

반응형

12. 활동적 노화와 건강화 노화

1. 성공적 노화
1) 성공적 노화 모델
성공적 노화는 노년기의 신체적·정신적·사회적 안녕(well-being)을 의미함
성공적 노화는 노인의 기능이 높은 수준이며 사회에 기여한다는 것을 강조함으로써 과거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 즉 노인을 사회의 짐으로 간주해 낙인을 가했던 인식에 변화를 준 새로운 관점임
성공적 노화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접근은 1961년 노년학자 Robert J. Havighurst(1961)의 연구임
그는 노인이 인생을 향유하고 만족스런 삶을 유지하도록 돕는 것이 노년학의 실질적인 목표라 하면서
성공적인 노화에 관한 이론을 만드는 것이 핵심이라고 주장했음

 

(1) 생의학적 모델
성공적 노화에 관한 최초의 이론은 노화의 생의학적 모델(the biomedical model)임
1960년대 초에 나온 이 모델은 건강을 성공적 노화의 핵심으로 삼았음
생활양식이나 심리사회적 요인(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에도)은 이 모델에서 배제됨
하지만 사람을 정상적인 사람과 질병이 있는 사람으로 단순하게 분류하는 것은 인간의 다양성을 무시한
것임
질병이 있는 노화(diseased aging)와 정상적인 노화(normal aging)를 구분하는 것은 유용할 수도
있으나 노화를 설명하기에는 불충분했으며, 정상적인 노화가 가능한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었음(Baltes
and Baltes, 1990)

 

(2) 심리사회적 모델
1960년대 후반에는 심리사회적 모델(the psychosocial model)이 등장했음
생의학적 모델이 질병의 부재와 신체적·정신적 기능의 유지를 성공적 노화의 핵심으로 보았다면,
심리사회적 모델은 삶의 만족, 사회참여, 사회적 기능, 심리사회적 자원을 강조하였음
과거와 현재의 삶에 대한 만족은 성공적 노화의 중요한 요소임
삶의 만족은 행복, 자아개념, 흥미, 용기, 사기, 기분, 전반적 안녕을 포함함
사회적 기능의 유지도 성공적 노화의 주요 요소임
사회적 역할 기능의 수준, 긍정적 상호작용, 타인과의 관계, 사회통합, 사회에의 호혜적 참여 등이
여기에 포함됨

심리사회적 자원은 긍정적 외양, 자존감, 자기효능감, 삶에 대한 통제 센스, 자율성, 독립성, 효과적인
수습능력과 적응전략 등을 포함함(Havighurst et al., 1968)
1970년대 들어서는 생물학적·심리적·사회적 요인이 개인의 건강상태와 질병의 위험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밝혀짐에 따라 새로운 모델인 생물심리사회적 모델(the biopsychosocial model)이
나왔음(Engel, 977)

 

[참고자료]
w 생물심리사회적 모델은 노년기 개인의 건강과 기능적 상태를 단순히 건강과 질병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없다고 하면서 노인의 건강과 기능적 상태를 여러 차원을 가진 하나의 스펙트럼으로
보았음(Coyne and Downey, 1991)
w 이 모델 등장 이후 성공적 노화에 생물학적 개념과 심리사회적 개념이 통합되었음

 

(3) 다차원 모델
성공적 노화를 다차원적으로 고찰한 대표적인 것이 Rowe와 Kahn(1987, 1997)의 다차원 모델(the
multiple model)임
이들은 성공적인 노화를 경험하는 사람의 공통적인 특성을 추출했는데, 장애나 질병이 없고,
인지적·신체적 능력이 높은 수준에 있으며, 타인과 유의미한 방식으로 상호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음
이로부터 이들은 성공적 노화의 특성을 질병과 장애로부터 자유롭고, 장애의 고통이 없으며, 지적으로
능력이 있고, 좋은 신체적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타인과의 상호작용이나 사회생활에서 이런 능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임
이들은 또 생의학적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정상적 노화를 일반적 노화(usual aging)와 성공적
노화(successful aging)로 구분하였음
일반적 노화는 신체적·사회적·인지적 기능이 노화와 함께 정상적으로 쇠퇴하는 것임
성공적 노화는 이런 기능의 쇠퇴나 상실을 최소화하는 것임
말하자면 일반적 노화는 연령에 맞게 큰 병리적 문제없이 노화하는 것이고, 성공적 노화는 청장년층과
비교해서 기능면에서 별 차이 없이 노화하는 것임
성공적 노화의 요인은 음식, 교육, 운동, 영양, 사회적지지 등 노화과정을 완화시키는 것들임

 

 [표1] 성공적 노화 모델

모델 내용
생의학적 모델 - 성공적 노화는 좋은 건강상태, 독립적인 삶, 높은 수준의 인지기능과
신체기능
- 생활양식이나 심리사회적 요인(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에도)은 배제
- 노화를 질병이 있는 노화와 정상적인 노화로 구분
심리사회적 모델 - 노년기 개인의 건강과 기능적 상태를 단순히 건강과 질병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없다고 비판
- 노인의 건강과 기능적 상태를 여러 차원을 가진 하나의 스펙트럼으로 간주
- 이 모델 등장 이후 성공적 노화에 생물학적·심리사회적 개념이 통합
다차원 모델
- 성공적 노화는 질병과 장애로부터의 자유, 인지적·신체적 기능,
사회적·생산적 간여 등 세 가지 차원을 가짐
- 성공적 노화는 질병으로부터 자유롭고, 장애의 고통이 없으며, 지적으로
능력이 있고, 좋은 신체적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타인과의 상호작용이나
사회생활에서 이런 능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
- 정상적 노화를 일반적 노화와 성공적 노화로 구분. 일반적 노화는 연령에
맞게 큰 병리적 문제없이 노화하는 것, 성공적 노화는 청장년층과 비교해서
기능면에서 별 차이 없이 노화하는 것
- 성공적 노화의 요인은 음식, 교육, 운동, 영양, 사회적지지 등 노화과정을
완화시키는 것

 

2) 성공적 노화에 대한 비판
Rowe와 Kahn의 성공적 노화 모델은 노인에게 비현실적인 노화관념을 주입함
질병에서 자유롭고 건강하며 활동적인 노인 모델을 제시하기 때문임
그러나 현실에서 이런 노인은 많지 않음
성공적(successful)이라는 용어 자체가 승자와 패자를 내포함
건강하고 활동적이지 못한 노인은 성공하지 못한 사람으로 낙인찍히고 이는 노인차별일 수 있음
성공적 노화는 사회구조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개인주의적 개념임
실제로 노화는 개인과 역동적인 사회구조가 상호작용하는 사회적 과정임
노인의 삶은 평생교육, 차별반대정책, 여가, 자원봉사활동 기회 등 다양한 사회적 개입과 조치의 영향을
받음
따라서 성공적 노화도 사회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음(Foster and Walker, 2014)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이념적 비판도 있음
노년학자, 케어전문직, WHO 등 국제조직이 사용하는 성공적 노화가 개인주의 원칙을 선호하는
자유주의 관념에 기초해 있다는 것임
말하자면 보건과 은퇴 영역의 신자유주의자들이 적극적이고 성공적인 생활방식에 관한 노년학적 관념에
영감을 받아 만든 용어라는 것임
사실 성공적 노화 개념이 노화에 대한 개인의 책임(흡연, 음주, 운동부족 등)을 강화함으로써 정부
책임을 개인에게 전가한 면이 없지 않음
성공적 노화에 대한 보편적인 정의가 없다는 것도 한계임
성공적 노화를 측정할 수 있는 조작적 정의와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성공적 노화에 대한
합의된 정의가 있어야 하는데, 그것이 없어 연구의 진전에 제한을 받고 있는 것임
나아가 성공적 노화의 세 차원(요소)에 대한 비판도 강함

 

[표2] 성공적 노화의 세 가지 차원에 대한 비판

구분 비판
장애와 질병이
없는 상태
- 질병이 없는 노인은 비현실적
- 자신의 만성질환이나 장애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줄 아는 것이 성공적
노화의 핵심(성공적 적응이 곧 성공적 노화)
인지기능 - 노인의 속도감, 주의력, 집중력, 기억력을 잃더라도 응축된 지능이 있으면
생애에 걸친 삶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
사회적 상호작용 - 노인이 단순히 사회적 상호작용을 한다고 해서 성공적 노화가 달성되는
것은 아님
- 노인이 가진 사회적 네트워크의 질적 측면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고독의 극복이 전제되어야 함

 

2. 적극적 노화

 

1) WHO의 정의
적극적 노화에 가장 많은 관심을 표명한 국제기구가 WHO임
WHO(1999)는 일찍이 노화를 이해하는 데는 노화하는 과정(the aging precess)과 노화의 과정(the
process of aging)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음
노화하는 과정은 노년기에 발생하는 보편적인 생물학적 변화로써 질병과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음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늙어가는 것을 정상적 노화(normal aging)라 함
이에 비해 노화의 과정은 환경, 생활양식, 질병의 영향을 강하게 받음
노화로 인한 생물학적 변화와는 무관함
적극적 노화는 이 노화의 과정에 변화를 주자는 것임
WHO는 생애에 걸친 신체적·사회적·영적 활동의 유지를 통해 노화 없는 노화의 과정(process of
growing older without growing old)을 만드는 것이 적극적 노화라고 했음
2002년 WHO는 적극적 노화에 관한 정책적 틀을 담은 보고서를 발표했음
이 보고서에서 WHO(2002)는 적극적 노화를 “노년기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건강, 참여, 안전의
기회를 최적화하는 과정”으로 정의했음
이 정의는 비록 짧지만 함축적이어서 적극적 노화에 관한 정의 중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고 있음
WHO의 정의에서 중요한 것은 건강의 기회와 삶의 질의 관계임
건강한 삶의 질을 개선해야 향상된다는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보건의료 인프라의 확충을 통해
접근성을 개선하고 보건의료비용의 부담을 줄여야함
그리고 이 정의는 건강 이상의 것, 즉 참여와 안전의 기회를 강조하고 있음

 

2) UN 유럽경제위원회와 적극적 노화
UN 유럽경제위원회(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도 WHO와 유사하게 삶의 모든 영역을
고려하고 여러 관점에서 노화과정을 살펴야 할 것을 강조하였음
예컨대 마드리드 국제노화활동계획 지역전략 회의(Regional Implementation Strategy for the
International Plan of Action on Ageing)에서 UN 유럽경제위원회 회원국들은 노인의
사회적·경제적·정치적·문화적 참여를 확대하고, 노인의 지역사회에의 적극적 간여를 격려하고 세대 간
관계를 촉진시킴으로써 노인을 사회에 통합시켜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했음
적극적 노화에 대한 이 입장은 몇 가지 측면에서 의미가 있음
첫째, 적극적 노화는 개인뿐만 아니라 집단과 사회에도 초점을 둠
둘째, 적극적 노화는 노인의 삶의 질에 목표를 둔 하나의 과정임

셋째, 조장 요인과 사회구조를 강조함
넷째, 적극적 노화는 삶의 여러 영영을 포괄함

 

[표3] 적극적 노화의 정의

구분 정의
WHO - 생애에 걸쳐 신체적·사회적·영적 활동을 유지시킴으로써 노화 없는 노화의
과정을 만드는 것
- 노년기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건강, 참여, 안전의 기회를 최적화하는
과정
UN
유럽경제위원회
- 적극적 노화는 노인의 삶의 질에 목표를 둔 하나의 과정
- 조장 요인(개인적·사회적·행동적·환경적·제도적 요인)과 사회구조 강조
- 삶의 여러 영역(건강, 사회통합, 사회적 참여) 포괄

* 출처 : 노인복지론, 원석조, p.113


3) 적극적 노화와 활동이론
적극적 노화는 노인이 삶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해 적극적인 태도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함
적극적으로 살면 노화가 지연되고 삶의 질이 향상됨
활동성은 노인이 퇴직 이후의 삶에 적응하는 데도 도움을 줌
적극적 노화의 활동성은 활동이론의 영향을 받은 것임
활동이론은 노화에 관한 초기 이론으로 Havighurst(1961)가 제시한 이론임
활동이론은 적극적 노화가 노인이 활동적이고 상호작용을 유지하면 얻어지고, 노인의 활동성과 삶의
만족도는 정의 관계에 있다고 가정함
다시 말해 노년기의 안녕은 사회적 참여 및 여가활동에의 참여에 의해 촉진된다는 것임
하지만 이 이론은 노인의 건강상태와 경제적 상태의 불평등을 간과하고 있음
건강과 경제는 노인이 적극적인 활동에 참여하는 능력과 새로운 도전에 나서게 만드는 열망에 제한을
가하는 요인임
활동이론은 일종의 기능주의이론임
퇴직자가 퇴직으로 잃은 역할을 새로운 역할을 찾아 이를 대체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음
노화의 활동이론은 오늘날 성공적 노화 패러다임에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음

 

4) 적극적 노화에 대한 비판
노인의 적극적인 모습에 초점을 두고 노인차별을 제거하려는 노력이 자칫하면 노인의 신체 상태를
무시하고 비현실적이고 억압적인 기준을 부과하는 위험이 있고, 이것은 노인의 정체성과 자존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줌
적극적 노화는 시민으로 하여금 적극적인 삶을 살도록 유도하고, 노화에 대한 개인의 책임과 자기
케어를 조장하는 측면이 있음

 

5) 적극적 노화와 성공적 노화
성공적 노화와 적극적 노화 개념은 1960년대 초 미국 노년학계에서 처음 나왔음
이 두 개념은 노인과 사회가 서로 멀리하게 된다는 유리이론(the disengagement theory)에 대한
반정립으로 출발했음

유리이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노인과 사회 간의 유리를 보편적이고 필연적이라고 주장했음(Cumming
and Henry, 1961)
노년학 초기 노화이론인 유리이론은 노인과 사회 간의 유리에 대한 노인이 인식을 무시했다는 비판을
받았음(노인은 사회로부터 유리되었다고 생각하지 않음)
성공적 노화와 적극적 노화 개념은 노인의 사회참여 역량을 인정하고 중시함으로써 유리이론을 전면
부정했음
적극적 노화와 성공적 노화 개념은 상당히 유사함
무엇보다 건강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그러함
적극적 노화와 성공적 노화 모델 모두 적극적 관점에서 출발하였음
바람직하게 잘 늙는다는 것은 장애와 질병을 피하고, 정신적·신체적 능력을 유지하는 것임
그렇게 함으로써 생산적인 삶을 유지하고 사회에 참여할 수 있음
성공적 노화의 핵심은 노년기에도 활동을 지속하고 중년기에 형성된 가치관을 견지하는 데 있음
성공적 노화와 적극적 노화는 결함모델(the deficit-model)에 도전한 것도 같음
결함모델은 나이가 들면 여러 가지 결함이 생겨 일자리와 연금을 맞바꾸게 되고, 일자리에서 퇴출되어
더 이상 생산적인 일을 하지 못하게 되면 노인의 사회적 가치가 줄어든다는 이론임
적극적 노화와 성공적 노화 개념은 이런 관행과 생각에 도전해 노인도 사회에 참여해 활동할 수 있다고
주장함
노화와 질병은 별개의 과정이고, 노화가 질병과 장애를 필수적으로 동반하는 것은 아니며, 노후에도
긍정적인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임
무력한 존재인 노인을 무엇인가 할 수 있는 적극적인 존재로 바꾸는 것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