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치매의 이해 및 특성
1. 치매의 개념
∙ 노인성질환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치매(dementia)임
∙ 우리나라 노인복지법은 치매를 “퇴행성 뇌질환 또는 뇌혈관계 질환 등으로 인하여 기억력, 언어능력,
지남력, 판단력 및 수행능력 등의 기능이 저하됨으로써 일상생활에서 지장을 초래하는 후천적인 다발성
장애”로 정의하고 있음
2. 치매의 증상
∙ 치매는 특정 질병이 아니라 지적 기능의 감퇴, 정상적 활동의 손상, 관계의 변화를 야기하는 일련의
증상들(symptoms)임
∙ 의사는 환자의 추리력과 판단력과 같은 두뇌기능의 손상정도를 중시함
∙ 치매환자는 성격의 변화, 정서적 통제능력의 상실, 동요, 과대망상, 환상 등 정신적 문제도 보임
∙ 치매는 노인에게서 주로 나타나지만, 다른 연령층에서도 나타남
∙ 치매는 항구적이며 시간을 두고 꾸준히 진행되는 질병임
∙ 치매는 알츠하이머병이나 뇌졸중과 같은 뇌 손상 때문에 발생하는 질병임
∙ 치매 증상은 크게 보면 기억장애, 주의력장애, 언어장애, 실행증과 실인증, 시공간 기능장애 및 전두엽
수행능력장애로 분류됨
∙ 기억장애의 증상은 최근의 일에 대한 기억부터 소멸됨
∙ 질병이 진행되면 장기 기억도 상실하게 되어 자신의 인적사항을 모르고 가재도구 사용도 어려워짐
∙ 지남력은 시간, 장소, 인물을 자동적으로 파악하는 능력인데, 지남력 장애가 오면 시간, 장소, 인물 순으로
기억이 쇠퇴됨
∙ 주의력장애의 증상은 뺄셈을 못하게 되고, 요일 이름을 연속적으로 말하지 못함
∙ 언어장애의 증상은 발음이 불분명하고 정확한 단어를 찾지 못하는 실언증 증상이 나타남
∙ 다른 단어나 발음이 유사한 단어, 비슷한 단어를 말하는 착어증 증상도 나타남
∙ 실행증과 실인증의 증상은 담뱃값이나 담배를 꺼내 불을 붙이거나 커피를 끓이는 것과 같은 연속적인
동작을 잘 못함
∙ 평소에 잘 아는 사람의 얼굴을 알아보지 못하거나 물건 용도를 인지하지 못함
∙ 시공간 기능장애 및 전두엽 수행능력장애의 증상은 사람, 집 등의 그림을 잘 그리지 못하고 추상적인
사고능력을 상실함
[표1] 치매 증상
증상 | 내용 |
기억장애 | - 최근의 일에 대한 기억부터 소멸 - 질병이 진행되면 장기기억도 상실하게 되어 자신의 인적 사항을 모르고 가재도구 사용도 어려워짐 - 지남력 장애가 오면 시간, 장소, 인물 순으로 기억이 감소 |
주의력장애 | - 뺄셈을 못하게 되고 요일 이름을 연속적으로 말하지 못함 |
언어장애 | - 발음이 불분명하고 정확한 단어를 찾지 못하는 실어증과 다른 단어나 발음이 유사한 단어, 비슷한 단어를 말하는 착어증이 나타남 |
실행증과 실인증 | - 담뱃값이나 담배를 꺼내 불을 붙이거나 커피 끓이는 것과 같은 연속적인 동작을 잘 못함 - 평소에 잘 아는 사람 얼굴을 알아보지 못하거나 물건 용도를 인지하지 못함 |
시공간 기능장애 및 전두엽 수행능력장애 |
- 사람, 집 등의 그림을 잘 그리지 못하고 추상적인 사고능력을 상실함 - 피해망상, 도둑망상, 감정의 심한 변화를 보이기도 함 |
* 출처 : 원석조, 노인복지론 제3판(공동체, 2019), 192.
3. 치매, 건망증, 경증 인지장애
∙ 치매는 건망증(forgetfulness)과 혼동되는 경우가 있음
∙ 치매와 건망증은 전혀 다른 것임
∙ 건망증은 장애나 질병이 아님
∙ 기억력 쇠퇴는 일상생활에 약간의 불편만 줄 뿐임
∙ 반면에 치매는 기억력, 언어, 판단력, 추리력에 큰 장애가 발생하는 심각한 질병임
∙ 건망증이 장애나 질병은 아니지만 기억력이 지속적으로 쇠퇴하여 일, 습관, 사회활동, 가족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줄 정도가 되면 일단 치매를 의심해 봐야 함
∙ 정신질환 상담 전문사이트 HelpGuide에 실린 한 논문(Age-Related Memory Loss)은 노화에 따른
기억력의 변화(건망증)와 치매 증상의 차이를 다음과 같이 쉽게 정리해서 보여주고 있음
[표2] 노화에 따른 기억력의 변화와 치매 증상의 차이
노화에 따른 기억력 변화 | 치매 증상 |
- 인지 기능 정상 - 가끔 기억력 착오 |
- 단순한 일(돈지불, 옷 입기, 씻기 등)에도 어려움이 있음 - 방법을 망각 |
- 기억을 읽어버린 상황을 상기하고 설명할 수 있음(건망증 지각) |
- 기억력 상실로 문제가 된 상황을 상기하거나 설명할 수 없음 |
- 기억이 끊기거나 방향을 잃는 경우가 있지만 익숙한 장소에서는 그런 일이 없음 |
- 익숙한 장소에서도 기억이 끊어지고 방향을 상실함 |
- 적절한 단어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지만 대화를 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음 |
- 단어를 자주 잊어버리고, 잘못 사용하고, 잘못된 인용을 하고, 같은 말과 같은 이야기를 반복함 |
- 판단과 의사결정 능력에 이상이 없음 | - 판단과 행동이 적절하지 않음 - 선택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
* 출처 : 원석조, 노인복지론 제3판(공동체, 2019), 193.
[참고자료]
w 한편 건망증과 치매의 중간단계인 경증 인지손상(MCI : Mild Cognitive Impairment)이 있음
∙ 경증 인지손상은 기억, 언어, 사고, 판단에 문제가 생기는 것인데, 그 정도가 정상적인 노화에 의한
변화보다 심함
∙ 경증 인지손상이 치매로 발전하기도 함
∙ 경증 인지손상의 증상은 물건을 자주 분실하거나 제 위치가 아닌 곳에 두고, 대화·약속·사건을 자주
잊어버리고, 새로 알게 된 사람의 이름을 기억하기가 힘들고, 대화의 흐름을 이어가기가 힘든 것 등임
4. 치매의 종류
∙ 치매는 알츠하이머병 치매, 뇌혈관성 치매, 루이 소체 치매, 이마관자엽 치매, 파킨슨병 치매, 헌팅턴병
치매, 크로이츠펠트-제이콥병 치매 등이 있음
[표3] 노화에 따른 기억력의 변화와 치매 증상의 차이
유형 | 내용 |
알츠하이머병 치매 | - 가장 대표적이고 발생빈도가 가장 많은 치매 - 뇌세포를 둘러싼 단백질에 이상이 생겨 내부 구조에 손상을 입힘으로써 발병 - 시간이 경과하면서 일상적인 기억력이 쇠퇴하고, 언어능력과 문제해결 능력, 의사결정 능력, 삼차원 인지능력에 문제가 생김 - 후기 단계까지 뚜렷한 증상 없이 진행되는 전형적인 신경퇴행성 질병 - 초기 증상 : 최근 일어난 일, 사람의 이름, 얼굴을 자주 기억하지 못함, 같은 질문 반복, 물건을 제자리에 놓지 못함, 시간과 날짜를 기억하지 못함 - 방향감각 기능의 약화, 적절한 단어 구사 능력의 감소, 무감각, 과민성, 자신감 상실 등 기분장애와 행동장애 발생 |
유형 | 내용 |
뇌혈관성 치매 | - 혈관 협착이나 막힘으로 인해 뇌에 산소공급이 감소하거나 중단되어 일부 뇌세포가 죽거나 손상을 입으면 발병 - 뇌졸중 후에 증상이 급작스럽게 발병하는 경우와 뇌졸중이 여러 차례 일어나면서 악화되는 경우도 있음 - 특징 : 인지능력이나 정신능력이 단계적으로 나빠짐 - 증상 : 문제해결, 계획, 사고, 집중 능력에 장애를 겪는 점에서 알츠하이머병 치매와 유사 |
루이 소체 치매 | - 뇌세포 안에 비정상적구조인 루이 소체가 생겨 발병하는 치매 - 루이 소체는 뇌의 화학적 성분을 파괴하고 뇌세포를 죽임 - 일상적인 기억력 쇠퇴는 알츠하이머병 치매보다 더 심함 - 파킨슨병과 밀접하게 연관 - 증상 : 기억력과 판단력 저하, 혼란, 몸의 경직, 발을 질질 끌며 걷기, 비틀비틀 걷기, 얼굴 표현 곤란, 균형감각 저하, 자주 넘어지기, 낮에 졸기, 환상, 기분상태의 심한 변화, 수면 장애(숙면 곤란) |
이마관자엽 치매 | - 뇌세포 내부에서 형성된 비정상적인 단백질 덩어리로 인해 뇌의 전두엽 측두엽이 손상되어 발병하는 퇴행성 치매 - 인지기능 중에서 언어와 수행기능이 주로 손상되며, 알츠하이머병과 달리 기억력은 어느 정도 유지됨 - 특징 : 뇌 손상 부위에 따라 언어장애 또는 단어의 의미를 기억하지 못하는 증상을 보임 - 알츠하이머병 치매보다 진행 속도가 빠름. 청년기에 발병하는 경우도 있음 - 증상 : 성격 변화, 개인적 자각 결여, 사회의식의 결여, 과식, 행동변화, 단순한 계획과 결정 능력 장애, 성격이나 행동의 변화 감지 능력 상실, 언어능력 장애, 사람 인식과 물건 인식 능력 곤란 |
파킨슨병 치매 | - 퇴행성 뇌 질환인 파킨슨병 말기 환자에서 나타나는 치매 - 뇌의 이동을 통제하는 영역이 손상되거나 파괴되어 나타나는 병 - 증상 : 손 떨림, 보행 곤란, 근육 제어 기능 약화, 균형감각 감소, 얼굴 표현 능력 감퇴, 언어 표현 능력 악화 |
헌팅턴병 치매 | - 치명적인 뇌 장애로서 뇌의 특정 부위의 신경세포가 선택적으로 파괴되어 발병하는 퇴행성 뇌 질환(유전질환) - 파킨슨병처럼 헌팅턴병 말기 환자 중에서 치매 증상이 나타남 - 증상 : 경련, 발작, 기타 비자발적 행동, 균형감각 장애, 성격 변화, 기억력 장애, 집중력과 의사결정 능력 장애 |
크로이츠펠트-제이콥병 치매 |
- 뇌에 정상적인 상태로 있는 프라이온 단백질이 비정상적인 삼차원 상태로 변형되어 발생하는 희귀질환 - 프라이온 단백질은 점차 다른 부분으로 전이되어 뇌 세포를 손상시키고 파괴시킴 - 병의 진행 속도는 매우 빠르며 일단 발병하면 1년을 넘기기 어려울 정도로 치명적 - 증상 : 기억력, 사고력, 추리력 손상, 성격과 행동의 변화, 우울과 초조 |
*
출처 : 원석조, 노인복지론 제3판(공동체, 2019), 198-199.
5. 치매의 진단과 치료
∙ 치매를 진단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치매진단체크리스트임
∙ 체크리스트는 기억력, 새로운 지식의 학습, 일상생활 적응의 어려움, 같은 말의 반복, 약 먹는 시간 망각,
길 못 찾기, 같은 일 반복해서 실수하기 등의 치매 증상을 문항으로 만들어 질문하고 그 결과를 집계해서
치매의 유무와 치매의 단계를 판단하는 것임
∙ 치매를 진단하는 의학적 방법으로는 신경인지기능검사와 뇌영상검사가 있음
∙ 신경인지기능검사는 기억, 지능, 언어능력, 집중력을 검사함
∙ 뇌영상검사로는 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양전자방출, 단일광자 전산화 방법 등이 있음
∙ 치매 치료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약물치료임
∙ 중기 알츠하이머병 치매환자에게는 약물 치료가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음
∙ 대부분의 치매는 사실상 치료가 불가능하고 약물치료도 한계가 있음
∙ 따라서 중요한 것은 환자의 욕구와 선호에 초점을 둔 케어와 지지임
∙ 치매환자를 위한 비 약물치료는 정보 제공, 조언, 지지, 각종 치료법 등이 있음
∙ 치매 치료법은 언어치료(상담), 인지행동치료, 인지자극치료, 인지재활치료 등이 있음
∙ 치매는 치료불가능한 병이기 때문에 예방이 매우 중요함
6. 치매정책
∙ 현재 치매에 관심이 가장 큰 지역은 유럽임
∙ EC(European Commision, 유럽위원회) 또한 EU 소속 기구로서 EU 내에서 법률 제정에 대한 권한을
가진 기구임
∙ 2007년 유럽EC는 2008~2013년 EU 건강정책의 방향을 담은 백서(Together for Health : A Strategic
Approach for the EU 2008~2013)를 발간했음
∙ 2008년 파리에서 개최된 EU 알츠하이머병과의 싸움(The Fight against Alzheimer’s and Related
Disorders) 회의에서는 공중보건전략 속에 치매 퇴치를 포함시켰음
∙ 2009년 EC는 신경퇴행성 질병 퇴치방법에 관한 권고사항을 발표했음
∙ 유럽의회(the European Parliament)는 꾸준히 유럽 각국의 치매 퇴치 노력을 지지해왔고, 산하의 환경,
공중보건, 식품안전 위원회(the Committee on the Environment, Public Health and food Safety)는
알츠하이머병과 치매에 관한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음
∙ 고령화와 함께 치매노인의 수가 심각한 수준으로 증가하자 OECD는 2013년 치매에 대한 OECD의
대응(Addressing Dementia : The OECD Response)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이 보고서에서
치매의 심각성을 알리는 인구학적·경제적 자료와 치매에 대응하는 전략을 제시하였음
1) 치매에 관한 인구학적·경제적 실태에 관한 주요 내용(OECD, 2013)
∙ 첫째, 치매는 노인에게 가장 많이 나타나는 신경퇴행성 질병임
∙ 둘째, 전체 OECD 국가 60세 이상 노인의 5.5%가 치매환자임
∙ 셋째, 치매는 막대한 사회적·경제적 비용 때문에 국가와 가족에게 많은 부담을 줌
∙ 넷째, 가족이나 친지 등 비공식적 케어 제공자의 역할이 큼
∙ OECD 치매환자의 삶의질 제고 보고서(2018)는 OECD 국가의 치매 환자는 2050년까지 2.2배 증가할
것으로 예측
∙ 각국의 치매 정책 현황과 도전요인을 분석하여 치매 케어의 효과 제고, 사회적 비용 절감, 치매 환자와
보호자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 권고를 제시하였음
[표4] 치매 대응 전략
유형 | 내용 |
치매 진단 | ∙ 치매의 조기 단계에서의 치료가 효과적이며, 이를 위해 진단의 정확성과 접근성 제고 필요 ∙ 일차의료 인력의 진단 역량 제고를 위해 가이드라인 개발, 평생교육 확대, 교육 참여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 치매 진단 기관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역할 규정 및 표준 제정 ∙ 의료 영역별 데이터의 연계 강화 및 치매 등록체계 강화 |
치매 친화적 사회 조성 |
∙ 치매 환자의 자택 거주, 다양한 케어간 체계적 연계, 사회 통합, 의료 성과 기준 및 측정 강화, 비공식 케어 인력의 역량 강화 등 지원 필요 ∙ 인지능력 개선, 운동, 예술 치료 등 다양한 케어의 공급 확대, 접근성 제고 및 정보 공유 강화 ∙ 일반 국민에 대한 치매 이해 제고 캠페인, 공공서비스의 치매 대응 역량 강화, 치매 환자에 대한 의료 성과 목표 규정 ∙ 비공식 케어 인력의 부담 경감 및 역량 강화 |
중증치매 케어 | ∙ 새로운 케어 시설 도입, 장기요양의 질 및 병원치료 개선, 환자의 존엄성 유지를 위한 생애 말기 케어 등 강화 필요 ∙ 환자의 고립감을 해소하는 요양 시설 개발 및 인센티브 제공 ∙ 부적절한 케어 감소를 위한 모니터링 및 가이드라인 강화 ∙ 치매 환자의 병원 치료의 효과성 제고 ∙ 치매 환자의 생애 말기 케어 및 완화치료 접근 개선 |
* 출처: OECD 치매환자의 삶의질 제고 보고서, 2018
학습정리 |
1. 노쇠와 일상생활동작 장애의 이해
1) 기질적 정신장애
∙ 알츠하이머
∙ 혈관성 치매
∙ 파킨스씨병
2) 기능성 정신장애
∙ 망상형 장애
∙ 건강염려증
∙ 우울증
2. 치매의 이해 및 특성
1) 치매의 개념
∙ 우리나라 노인복지법은 치매를 “퇴행성 뇌질환 또는 뇌혈관계 질환 등으로 인하여 기억력, 언어능력,
지남력, 판단력 및 수행능력 등의 기능이 저하됨으로써 일상생활에서 지장을 초래하는 후천적인 다발성
장애”로 정의하고 있음
2) 치매의 증상
∙ 기억장애
∙ 주의력장애
∙ 언어장애
∙ 실행증과 실인증
∙ 시공간 기능장애 및 전두엽 수행능력장애
3) 치매, 건망증, 경증 인지장애
∙ 건망증과 다르게 치매는 기억력, 언어, 판단력, 추리력에 큰 장애가 발생하는 심각한 질병임
∙ 건망증이 장애나 질병은 아니지만 기억력이 지속적으로 쇠퇴하여 일, 습관, 사회활동, 가족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줄 정도가 되면 일단 치매를 의심해 봐야 함
∙ 건망증과 치매의 중간단계인 경증 인지손상(MCI : Mild Cognitive Impairment)이 있음
∙ 경증 인지손상은 기억, 언어, 사고, 판단에 문제가 생기는 것인데, 그 정도가 정상적인 노화에 의한
변화보다 심함
4) 치매의 종류
∙ 알츠하이머병
∙ 뇌혈관성 치매
∙ 루이 소체 치매
∙ 이마관자엽 치매
∙ 파킨슨병
∙ 헌팅턴병
∙ 크로이츠펠트-제이콥병
5) 치매의 진단과 치료
∙ 치매를 진단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치매진단체크리스트임
∙ 치매를 진단하는 의학적 방법으로는 신경인지기능검사와 뇌영상검사가 있음
6) 치매정책
∙ 현재 치매에 가장 관심이 큰 지역은 유럽임
∙ 고령화와 함께 치매노인의 수가 심각한 수준으로 증가하자 OECD는 2013년 치매에 대한 OECD의
대응(Addressing Dementia : The OECD Response)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이
보고서에서 치매의 심각성을 알리는 인구학적·경제적 자료와 치매에 대응하는 전략을 제시하였음
'노인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복지직 등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11. 사회적 노화 이론 (0) | 2022.08.17 |
---|---|
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복지직 등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10. 은퇴와 노년생활 (0) | 2022.08.16 |
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복지직 등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8. 노쇠와 일상생활동작 장애의 이해 (0) | 2022.08.15 |
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복지직 등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7. 심리적노화 (0) | 2022.08.15 |
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복지직 등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6. 신체적 노화 (0) | 2022.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