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사회적 노화 이론
1. 활동이론
∙ 활동이론(activity theory)은 노인에게 주어진 역할과 노인의 여러 가지 활동유형에 의해 노인의 심리적
안정과 사회적 행복이 결정된다고 보는 이론임
∙ 활동이론에 의하면 노화로 인해 자신의 역할을 포기하게 될 경우(예 : 은퇴) 그 동안 자신이 했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새로운 역할을 찾음
∙ 노년기에 들어 할 수 있는 역할이 많으면 많을수록 노화로 인해 상실한 역할의 상실감은 극복하기 쉽고
행복할 가능성도 큼
∙ 노인이 되어 역할에 변화가 오더라도 어떤 활동(예 : 여가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삶의 만족도를 유지하려는
것은 자연스런 일임(Lemon et al., 1972)
2. 유리이론
∙ 유리이론(disengagement theory)은 활동이론의 정반대임
∙ 노인이 은퇴로 인해 자신의 역할을 상실하고 인간관계의 상당부분을 잃게 되더라도 새로운 생활방식과
새로운 사회적 관계에 적응을 하게 되면 새로운 균형을 찾게 됨
∙ 노화에 이르더라도 노인에 맞는 새로운 기술들을 익히고 새로운 역할을 찾게 되면 문제가 없음
∙ 그러나 이에 실패하면 자신을 사회로부터 유리시킴
∙ 유리이론은 노화로 인해 기능적 능력이 고갈된다는 점을 강조함(Cumming and Henry, 1961)
∙ 기능적 상실은 노인이 생산적 활동에서 이탈하여 여가활동을 하게 되는 것을 설명함
∙ 유리이론은 노인의 행동변화에도 주목함
∙ 노인은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고 사회가 자신을 직장에서 재배치(정년퇴직)하는 것을 받아들임
∙ 연령에 등급을 둔 사회(the age-grading of society. 예컨대 학교와 직장에서의 연령등급)가 노인의
사회적 행동을 변화시킨다는 것임(Foner, 1975)
∙ 사회적 유리는 남녀 간에 차이가 있음
∙ 남자는 가장으로서 수입을 얻을 수 있는 직업생활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직업으로부터의 유리는 상당한
스트레스를 줌
∙ 반면에 여성은 어머니, 아내, 근로자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데 익숙해 있기 때문에 유리로 인한
스트레스를 남자에 비해 적게 받음
3. 지속이론
∙ 지속이론(continuity theory)은 유리이론이나 활동이론과 달리 노화하는 개인이 활용하는 시간의 역할(the
role of time)을 강조함
∙ 개인은 노화하면서도 자신이 하던 활동을 유지하려 함
∙ 생애에 걸쳐 시간을 활용하는 방식이나 타인과의 사회적 관계에서 놀라울 정도로 일관성을 보이는 데서
이를 확인할 수 있음(Atchley, 1989)
∙ 이 이론에 의하면, 나이가 듦에 따라 사회적 역할이 변하지만 사람은 자신이 항상 하던 일을 계속하고
가장 오래 알던 사람과 관계를 유지함(평생친구)
∙ 이런 경향은 모든 연령층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남
4. 선택이론
∙ 유리이론, 활동이론, 지속이론 모두 노화를 불변의 경험인 것처럼 가정함
∙ 하지만 노화는 획일적인 것이 결코 아니고 아주 다양함
∙ 여기에 초점을 둔 이론이 선택이론(selectivity theory)임
∙ Baltes(1990)는 보상의 선택적 최적화모델(a model of 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을
제시했음
∙ 이 모델은 노화를 자원(주로 인지적 자원)의 변화에 개인이 적응하는 과정으로 간주함
∙ 노인은 자신이 처한 환경 속에서 자신의 능력을 최적화할 수 있는 활동에 종사하고, 이것으로 더 이상
계속할 수 없어 중단한 활동(예 : 이전의 직업)을 보상받음
∙ 비유하면, 노인이 마라톤을 할 수는 없지만, 이웃과 함께 활기차게 산보를 즐길 수 있고, 그것으로
마라톤을 대신함
∙ 요컨대 노화로 이전에 갖고 있던 여러 자원을 잃게 되지만, 운동, 오락, 사회참여와 같은 제반활동을 통해
타인과 관계를 맺음으로써 보상받는다는 것임
5. 사회적 붕괴이론
∙ 노인은 행동을 지도하는 지침의 결여, 역할 상실, 명분 상실, 준거집단(reference group)의 결여 등을
경험하면서 삶의 방향성을 상실함
∙ 사회적 붕괴이론은 은퇴자, 노인과 같은 새로운 역할에 직면한 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설명함
∙ 청·장년기를 지난 사람에게 은퇴나 노인은 새롭지만 애매한 역할임
∙ 이런 애매한 역할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규칙들을 찾게 됨
[표2] 사회적 노화이론
이 론 | 내 용 |
활동이론 | - 노인의 역할과 활동유형에 의해 노인의 심리적 안정과 사회적 행복이 결정 - 노화로 자신의 역할을 포기하게 되면, 그 동안 자신이 했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새로운 역할을 찾게 됨 - 역할이 많을수록 행복 |
유리이론 | - 퇴직 후 역할을 상실하더라도 사회적응에 성공하면 새로운 균형을 찾게 되지만 이에 실패하면 사회로부터 유리 - 노화로 인해 기능적 능력이 고갈된다는 점 강조. 기능적 능력 상실은 노인이 생산적 활동에서 이탈하여 여가활동을 하게 되는 것을 설명 - 노인의 행동변화에 주목. 노인은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고 사회가 자신을 직장에서 재배치(정년퇴직)하는 것을 받아들임 |
지속이론 | - 개인은 노화하면서도 자신이 하던 활동을 유지하려 함 - 일생 동안 시간 활용하는 방식이나 타인과의 사회적 관계가 일관성을 보이는 데서 확인 가능 |
선택이론 | - 노화는 인지적 자원의 변화에 개인이 적응하는 과정 - 노인은 자신이 처한 환경 속에서 자신의 능력에 맞는 활동을 선택함으로써 중단한 직업생활을 보상받음 |
사회적 붕괴이론 |
- 노인은 행동을 지도하는 지침의 결여, 역할 상실, 명분 상실, 준거집단의 결여 등을 경험하면서 삶의 방향성을 상실 - 은퇴자, 노인 등과 같은 새로운 역할에 직면한 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설명 |
* 출처 : 노인복지론, 원석조, p.103.
학습정리 |
1. 은퇴와 노년생활
1) 은퇴와 정년퇴직의 개념
∙ 은퇴(retirement)는 노화로 더 이상 일을 할 수 없게 되어 현직에서 물러나는 것임
∙ 은퇴가 농민이나 도시자영업자의 자발적인 퇴장을 포함한 넓은 의미의 퇴직이라면, 정년퇴직은
회사원이나 공무원 등 공식조직에서 일하던 사람이 회사의 규정이나 국가의 법령에 따라 본인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또 근로능력과는 상관없이 일을 그만두는 것임
∙ 정년퇴직은 강제적 은퇴(compulsory retirement)라 할 수 있음
∙ 정년퇴직은 몇 가지 유형이 있음
∙ 연령정년, 근속정년, 계급정년이 그것임
2) 정년제의 역사
∙ 정년제는 20세기 미국과 유럽 등 선진산업국가에서 시작되어 2차 세계대전 후 전 세계로 확산되었음
∙ 산업화는 숙련 근로자 중심의 소규모 생산양식을 분업, 기계화, 과학적 관리, 능률향상에 중점을 둔
대량 생산방식으로 바꿔놓았음
∙ 분업화된 공장에서 자신이 맡은 일만 하는 근로자에게는 고용안정이 무엇보다 중요했는데, 정년제가
생기면 적어도 정년에 도달할 때까지는 정리해고 불안 없이 일할 수 있었음
∙ 한편 미국에서는 1980년대 중반에 조기퇴직(early retirement) 바람이 불었음(곧 유럽으로 확산)
∙ 조기퇴직은 근로자가 정년이 되기 전에 퇴직하는 것을 일컫는 말인데, 사회보장연금의 완전연금(full
pension) 수급연령이 65세란 점에서 완전연금을 받기 전에 퇴직하는 것이기도 했음
∙ 조기퇴직을 부추긴 요인은 두 가지였음
∙ 하나는 사회보장연금의 조기연금과 다른 하나는 민간기업의 퇴직보너스였음
∙ 우리나라 민간기업의 정년은 60세, 공무원 정년은 60세, 교육공무원과 대학교수는 예외규정에 따라
각각 62세, 65세가 정년임
2. 사회적 노화 이론
1) 활동이론
∙ 노인의 역할과 활동유형에 의해 노인의 심리적 안정과 사회적 행복이 결정
∙ 노화로 자신의 역할을 포기하게 되면, 그동안 자신이 했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새로운 역할을 찾게
됨
∙ 역할이 많을수록 행복
2) 유리이론
∙ 퇴직 후 역할을 상실하더라도 사회적응에 성공하면 새로운 균형을 찾게 되지만 이에 실패하면
사회로부터 유리
∙ 노화로 인해 기능적 능력이 고갈된다는 점 강조. 기능적 능력 상실은 노인이 생산적 활동에서 이탈하여
여가활동을 하게 되는 것을 설명
∙ 노인의 행동변화에 주목. 노인은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고 사회가 자신을 직장에서 재배치(정년퇴직)하는
것을 받아들임
3) 지속이론
∙ 개인은 노화하면서도 자신이 하던 활동을 유지하려 함
∙ 일생 동안 시간 활용하는 방식이나 타인과의 사회적 관계가 일관성을 보이는 데서 확인 가능
4) 선택이론
∙ 노화는 인지적 자원의 변화에 개인이 적응하는 과정
∙ 노인은 자신이 처한 환경 속에서 자신의 능력에 맞는 활동을 선택함으로써 중단한 직업생활을 보상받음
5) 사회적 붕괴이론
∙ 노인은 행동을 지도하는 지침의 결여, 역할 상실, 명분 상실, 준거집단의 결여 등을 경험하면서 삶의
방향성을 상실
∙ 은퇴자, 노인 등과 같은 새로운 역할에 직면한 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설명
'노인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복지직 등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13. 연령통합사회 (0) | 2022.08.18 |
---|---|
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복지직 등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12. 활동적 노화와 건강화 노화 (0) | 2022.08.17 |
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복지직 등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10. 은퇴와 노년생활 (0) | 2022.08.16 |
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복지직 등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9. 치매의 이해 및 특성 (0) | 2022.08.16 |
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복지직 등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8. 노쇠와 일상생활동작 장애의 이해 (0) | 2022.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