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복지사 및 복지학과, 공무원 시험 대비 필수과목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요점 요약 정리 26. 조직과 지역사회

반응형

26. 조직과 지역사회

1. 사회환경으로서 조직체계

 

1) 파슨즈(parsons)의 조직
- “조직(organization)이란 특정한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구축된 사회적 사회체계 또는
인간집단이다.”라고 하였다.
- 회사, 군대, 학교, 병원, 조합, 교회, 교도소 등이 조직에 포함되며 부족, 계급, 인종집단,
친목집단, 가족은 조직에서 제외된다.
- 조직의 특징은
① 분업, 권력, 의사소통의 책임
② 조직의 협동노력을 통제해서 목표로 지향시키는 권력의 집중
③ 구성원의 교체이다.

 

2) 굴드너(Gouldner)의 조직
- 조직체는 하나의 체계로서 유기적인 속성을 가진다.
- 구조적 변화는 합리적인 작용에 의해서라기보다 조직의 평형 상태를 깨뜨리는 위협에 대한
누적적, 비계획적, 적응적 반응의 결과이다.
- 조직체의 욕구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목표의 달성이다.
- 또한 굴드너(Gouldner)는 폐쇄체계에 해당하는 합리적 모형과 개방체계에 해당하는 자연적
체계모형으로 조직을 구별하였다.

 

2. 조직의 유형과 인간행동

 

1) 조직의 유형
- 파슨즈(Parsons)는 개별조직과 사회전체와의 관계에 관심을 가지고 체계이론의 기본틀을 조직에
적용하여 각 조직이 사회의 유지 발전에 어떤 공헌을 하였는가에 따라 생산조직, 정치조직,
통합조직, 잠재적 형태의 조직으로 구분하였다.
생산조직은 경제활동을 통하여 적응의 기능을 하는 조직 (예 : 기업조직)
정치조직에는 사회의 목적 달성 기능을 하는 조직 (예 : 정당이나 국회와 같은 조직)
통합조직에는 사회의 질서유지를 담당하는 조직 (예 : 군대와 같은 조직)
잠재적 형태 유지조직에는 사회화를 담당하는 조직 (예 : 교회나 학교 같은 조직)
- 블라우와 스코트(Blau and Scott)는 조직의 활동으로부터 누가 가장 이익을 얻느냐에 따라
조직을 분류하였다.
호혜조직은 노동조합과 같이 조직구성원 모두가 상호이익을 얻게 되는 조직(예 : 노동조합)
기업조직은 조직의 소유자가 이익을 독점하는 것
봉사조직은 조직의 이용자가 가장 이익을 얻게 되는 것(예 : 병원이나 학교와 같이 조직)
공익조직은 일반대중이 조직 화동이 대상이 되는 것(예 : 군대나 경찰)

 

- 에치오니(Etzioni)는 조직을 강제적인 조직, 자발적인 조직, 공리적인 조직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했다.
강제적 조직이란 조직구성원의 의사와 관계없이 물리적 힘을 사용하거나 음식을 주거나
박탈함으로써 강제적으로 조직에 참여하게 하고, 강제적으로 조직의 목적을 위하여 행동하도록
하는 조직체이다. (예 : 감옥이나 군대)
자발적 조직이란 자유롭게 가입할 수 있고 또 자유롭게 탈퇴할 수 있는 조직 (예 : 종교나
정치, 자원봉사 또는 전문직 단체 등)
공리적인 조직

 

2) 조직과 인간행동
- 프레스터스(Presthus)는 관료적 조직의 구성원인 개인이 조직에 적응하는 양상에 따라
상승형(upward mobile), 무관심형(indifferents), 모호형(ambivalents)이라는 세 가지 행동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상승형
- 조직에서 비교적 상위직에 많다.
- 이들은 낙천적이며 조직 내의 생활에 만족한다.
- 조직에 대한 일체감과 충성심이 높고, 조직이 하는 일에 전적으로 긍정적이며, 조직을 행동의
준거틀로 삼는다.
무관심형
- 조직 내의 하위직에 주로 많다.
- 이들은 조직이 좌절감을 제공하는 체계라고 간주한다.
- 조직에 대한 소외감을 느끼고 조직 밖의 일에 더 흥미를 갖는다.
- 조직의 가치를 마음으로 인정하지 않으며 조직에 충성심도 없다.
모호형
- 수적으로는 가장 적은 유형으로 참모직에 주로 많다.
- 조직에 의한 조정과 통제의 필요성을 인정하지 않는다.

 

- 베닝거와 스프래들리의 탈진 5단계
1 단계 : 초기의 일에 대한 만족 단계
2 단계 : 에너지의 고갈 등이 나타나는 단계
3 단계 : 증상이 만성적이 되며 직장과 가정에서 기능이 저하되는 단계
4 단계 : 문제에 압도당하기 시작하여 탈진의 상태가 생활을 지배하는 단계
5 단계 : 일이 전혀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생활이 심각한 방향으로 쇠퇴하는 단계

 

3. 사회환경으로서 지역사회와 기능


1) 사회환경으로서 지역사회
지역사회
- 지역공동체(human community)
- 생물학적 용어
- 생물의 어떤 종이 지역적 또는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한데 모여 생활하는 모습

 

지역사회의 사용
- 사회 생태학에서도 인간의 삶의 지역성
공간성을 띤 측면에서 다룰 때, 이 지역사회라는 말을
사용한다.
- 인간의 공동생활은 생물학적인 삶에 그치지 않고, 문화, 동일시, 상호작용을 통한 공동생활의
맥락에서 이루어진다.

 

커뮤니티
- ‘커뮤니티(community)’를 ‘공동체’로 볼 때는 지리적인 공간 속의 주민 뿐 만 아니라 친목회나
기관들의 협의회 같은 공동체 의식을 갖는 개인 혹은 기관들의 결합체도 포함.
- ‘커뮤니티(community)’를 ‘지역사회’로 볼 때는 “일정한 지리적 공간인 생활권 안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공통된 이해관계, 문화 등을 형성하여 공통의 경험과 공동생활을 향유하는
일정 지역의 범위”로 정의.

 

체계로서 지역사회의 특징
- 워렌(Warren)은 체계로서 지역사회의 특징은 크게 네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① 물리적 또는 지리적 장소에 근거한 사회적 조직 형태이다.
② 공통된 지역에 살거나 동일시된 사람들에 초점이 주어진다.
③ 상호의존은 공통된 욕구, 공통된 문제, 성장과 발전을 위한 기회가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④ 지역사회는 개인을 전체사회에, 전체사회를 개인에게 연결하는 중간체계이다. 개념상
지역사회는 전체사회의 하위체계이다.

 

2) 지역사회의 기능
하위체계들이 지역과 관련된 기능
① 생산(production)
분배(distribution)소비(consumption)의 기능.
② 사회화(socialization)의 기능은 사회가 향유하고 있는 일반적인 지식, 사회적 가치, 행동양태
등을 그 사회의 구성원들에게 전달시키는 과정을 말한다.
③ 사회통제(social control)는 공동체가 구성원들의 행동을 규범에 동조하도록 규제하는 과정이다.
④ 상부상조(Mutual support)는 사회구성원들이 개인적으로 자신의 욕구를 충족할 수 없는
상황에서 필요한 사회적 기능이다. 이는 가족, 친구, 이웃, 보건 및 복지조직에 의해 제공된다.

 

도시공동체의 진화과정 5단계.
- 1단계는 인구 5만 명 이내를 수용하는 사방 2km의 지역으로, 중심지에서 변두리까지 도보로
10분 이상 걸리지 않는다.
- 2단계는 인구 5만 명 이상을 수용하는 사방 6km의 지역으로, 도보로 30분 이상 걸리지 않는다.
- 3단계의 도시는 지하철이나 고가철도에 의존하여 영역을 넓힌다. 이 단계의 도시는 잠시 동안은
만족스러웠으나 불편이 심해서 자동차 교통수단에 적응하기 위한 초고속도로가 건설되었다.
- 4단계는 수많은 도시 문제들로 시달리고 있는 현대도시이다.
- 5단계는 네 번째 단계의 문제들을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대로 남아 있는 병리를 안고 있는
거대도시(megalopolis)이다.

 

4. 문화


1) 문화의 정의
- 전경수는 문화란 “인간이 집단을 이루어서 살아가는 삶이며, 그 삶이 표현하고 있는 행위와
행위를 이루어 내는 전체 과정의 사고와 그에 관련된 삶의 현상이다”라고 하였다.
- 타일러(Tylor)는 “문화란 지식, 신앙, 예술, 도덕, 법률, 관습 그리고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인간이
습득한 모든 능력과 습성의 복합적인 총체이다”라고 하였다.
- 윌리엄스(Williams)는 문화를 땅을 가꾸고 식물을 경작하고 동물을 키우는 행위, 마음을 가꾸는
것, 사회의 발전과정, 특정집단에 의해서 공유되는 의미 가치와 삶의 방식, 의미를 만들어 내는
의미화의 실천으로 정의하고 있다.

 

2) 주요개념
문명
① 문명(civilization)은 한 개인이 행동에서 보이는 일정한 품위를 함축
② 도시화된 국가 수준의 사회에 대한 약호처럼 사용
③ 미개 또는 야만이라는 용어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발전 (18C 프랑스 사상가들
- 또한 문명화되었다는 것은 좋은 것이고 문명화되지 않았다는 것은 나쁜 뜻으로 이해함으로써
문명이 사회를 평가하는 판단기준을 제공하였다.
- 따라서 문명은 물질적으로 생활이 편리해지고 정신적으로도 발달하여 세상이 진보한 상태로
한정한다.

 

문화변용(acculturation)
- 독립된 문화를 지닌 둘 이상의 사회가 장기간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한쪽 또는 양쪽의
문화체계에 변화가 일어나는 현상이다.
- 상이한 문화를 지닌 개인 혹은 집단이 접촉했을 때 이들 당사자 간 관계의 성격에 따라
달라진다.

 

문화생태학(cultural ecology)
- 인간 사회가 환경에 적응하고 환경을 변형시키는 방식들에 관한 연구를 의미한다.
- 문화생태학은 인간과 환경 간 관계를 중시한 생태학을 바탕으로 문화를 환경에 대한 적응
체계로 간주하고 문화의 특정 영역이 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는 점을 강조한다.
- 여기서 환경은 자연적인 환경 뿐 아니라 제도나 풍습과 같은 사회적 환경을 포함한다.

 

문화층(layers of culture)
- 개인이 접하는 문화의 여러 수준을 의미한다.
- 한 개인은 국가, 지역, 종교, 언어, 성별, 사회계층, 조직 등과 같은 다양한 수준에서 문화를
복합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각 수준의 문화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 이것은 인간이 여러 유형의 집단이나 조직과 같은 생활현장에서 층층이 각 수준의 문화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3) 문화의 특성
(1) 보편성
- 문화의 보편성은 모든 사회에 공통적인 문화 형태가 있음을 말한다.
- 문화는 우리의 감정적
도덕적 가치와는 관계없이 생활의 주요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그것은
문화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는 것이다.
- 이러한 뜻에서 문화는 그것이 문화 사회이건 미개 사회이건 간에 모든 사회에 존재한다.
- 사람은 독특한 개인으로 존재하지만 그 개인은 국가, 조직, 가족 등의 성원들이 추구하는
문화를 수용함으로써 공통의 문화를 지닌다.

 

(2) 상징성
- 문화의 상징성은 모든 문화가 외형으로 드러나는 것 외에 속으로 품고 있는 의미가 따로
있음을 말한다.
- 그래서 문화를 “사람들의 경험을 해석하고 행동을 유도, 규제하는 의미와 상징의 체계”로
정의하기도 한다.
- 예를 들면 각 나라나 지방자치 단체가 꽃이나 나무, 각 학교의 교기 등을 내세우는 것을 들 수
있다.

 

(3) 학습성
- 문화의 특성은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나오는 것이 아니라 태어난 후에 후천적으로
학습되는 것이다.
- 문화의 학습성은 문화가 특정한 사회에서 살아온 자들의 삶의 직접적인 결과로서 개인에게
학습되는 것을 의미한다.
- 이런 맥락에서 문화는 일시적으로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라 언제나 특정한 부류들에 의한
‘사회적인 상속’으로 전승되어, 전통 혹은 유산이 되어 온 것으로 강조된다.

 

(4) 역동성
- 문화의 역동성은 문화가 고정되어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특정 문화 내에서 뿐만 아니라 문화
간에도 움직임이 매우 강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 문화의 역동성은 문화마찰(culture conflict), 문화변용(acculturation), 문화변화(culture change),
문화접촉(culture contack), 문화진화(culture evolution)등과 같은 용어에서 볼 수 있다.
- 문화는 시간의 흐름에 영향을 받아 새로운 문제를 제기하며, 이 새로운 문제는 변화된 행동과
신념에 적응해야 하기 때문에 문화는 역동적일 수밖에 없다.
(5) 다양성
- 문화의 다양성은 인간사회의 문화 형태가 매우 상이함을 말한다.
예)
- 인도에서는 소를 우상화
- 한국이나 중국에서는 개고기를 먹음
- 이스라엘이나 이집트에서는 돼지고기를 먹지 않음
- 티베트에서는 형제들이 한 부인을 공동소유하는 일처다부제의 결혼형태
- 어떤 가정에서는 한 여자가 일곱 남편을 거느리는 가정으로 구성된 것
- 뉴기니아(New Guinea)섬의 바나르족의 경우에 첫 아이는 남편의 아이가 아니어야 하기 때문에
첫 아이의 아버지는 신부 아버지의 가까운 친구가 됨에도 불구하고 그 아이가 태어나면 남편의
성을 따르고 재산을 상속받음
- 캄보디아에서는 뱀을 신성시하는 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