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1. Piaget의 이론과 생애
1)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 Jean piaget(1896~1980)는 인지발달 이론가로서 널리 알려진 심리학자이다.
- 그는 생물학에서 출발하여 인간의 의지를 복잡한 유기체가 환경에 대해 생물학적으로 적응해
가는 과정의 특수한 한 형태로 보고 인간의 지각, 학습, 경험 등 인식의 근본문제를 과학적으로
연구하였다.
- 그는 유아가 성인으로 성장하면서 어떻게 인지발달을 하는지에 대해 밝힘으로써 인식의 본질을
밝혀 보려고 하였다.
◆ Piaget 인간의 지적능력
- Piaget는 인간의 지적 능력이란 개인이 주어진 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라
본다.
◆ Piaget 인지
- 인지(cognition)라는 의미는 획득하고 저장하고 활용하는 높은 수준의 정신과정을 말한다.
- 인지의 개념 속에서는 지적과정, 지각, 기억, 지능, 학습, 회상, 상상, 추리, 판단능력, 문제해결
등 눈으로 볼 수 없고 손으로 만질 수 없는 일련의 정신과정들이 포함된다.
- 그러므로 인간의 심리 과정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2) 피아제의 생애
- Piaget는 1896년 스위스의 작은 대학촌인 뉴샤텔(Neuchatel)에서 태어났다.
- 그의 아버지는 세심하고 체계적인 중세 역사학자였다. Piaget는 아버지의 학구열을 이어받아
1918년 21세에 Neuchatel 대학에서 연체동물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 그는 1920년 파리비네(Alfred Binet) 실험실에서 아동의 지능검사시 아동의 틀린 답이 일관성
있는 유형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고 아동의 사고가 독특한 특성을 갖고 있음을 발견했다.
- 그는 1956년 국제발생적 인식론센터를 창설하여 많은 나라로부터 초청한 과학자들과 협력하여
이 연구에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였다.
- Piaget는 아동심리학 분야에서만 40권의 저서와 10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고 1980년에
사망하였다.
2. 인지발달 기제
1) 기능적인 면
◆ 조직화
- 조직화(organization)는 행동이나 사고가 각각 분리된 채로 있는 것이 아니라 관련된 행동이나
사고 체계로 묶어지는 것을 말한다.
예)
- 아기가 어떤 물건을 손바닥에 놓으면 그것을 쳐다보거나 꼭 쥐거나 하지만 처음에는 이 두
가지 행동을 조직화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것을 동시에 수행하지 못한다.
- 점차 아기는 성숙한 경험에 의해 자신이 쥐고 있는 일체를 볼 수 있게 되고, 볼 수 있는 물체를
잡을 수 있다.
- 이러한 조직화는 의식적이거나 의도적인 노력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자연발생적으로
일어난다.
◆ 적응(adaptation)은 어린이가 내적․외적 경험과 상호작용하여 이를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적응과정은 동화(assimilation)와 조절(accomodation)에 의해 이루어진다.
◆ 동화는(assimilation) 새로운 경험과 사물이 어린이의 도식 구조 속으로 합병되는 과정 즉,
새로운 정보를 기존의 사고와 행동방식으로 통합하는 과정을 말한다.
◆ 조절(accomodation)은 이전의 사고와 행동양식의 요소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대상에 대해 좀
더 적절한 새로운 방법을 배우는 것을 의미한다.
2) 구조적인 면
◆ 도식(schema)은 유아가 물건을 잡는 것 같은 행동일 수도 있고, 장난감 이름을 알기 전에
머릿속에 장난감을 그려보는 것과 같은 자극의 영상일 수도 있으며, 계획, 기대, 믿음, 규칙 같은
복잡한 아이디어일 수도 있다.
- 어떤 도식은 (예 : 젖꼭지를 빠는 것)은 생득적으로 타고난 것일 수도 있으나, 대부분의 도식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습득된다.
◆ 조작(operation)은 유아가 일련의 특정 문제를 해결 할 때 보이는 공통성에서 추론된다.
- 조작이란 지적표상이고, 정신적 행위(사고)를 변형시킬 수 있는 것이며, 가역 가능한 것이다.
3. 주요개념
1) 도식(schema)
- 도식은 인지적인 구조(cognitive structures)라고 할 수 있다.
- Piaget는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다른 동물과 마찬가지로 몇 개의 반사기능을 가지고 태어난다.
- 즉, 아기는 태어나자마자 빨기, 보기, 잡기 등 반사적인 잠재력을 갖고 환경과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인지구조를 구성해 나간다.
- 이 잠재력을 Piaget는 도식(schema)이라고 불렀다. 도식은 기억되어 있는 ‘인지적 틀’, ‘지식의
묶음’, ‘이해의 틀’, ‘색인철(index file)’, ‘카테고리(범주)’의 하나로 생각할 수 있다.
예) 아기가 태어날 때 가지고 있는 몇 개의 반사 중에서 젖꼭지와 같이 무엇이든 입에 닿는 것을
빠는 빨기반사(sucking reflex)가 있다. 아기는 빠는 행위를 반복하는 가운데 빨기 도식을 형성하게
된다.
2) 동화(assimilation)
- 동화는 Piaget가 생물학에서 빌어 온 용어로서, 유기체가 이미 가지고 있는 도식 또는 인지적
구조에 따라 외계의 사물이나 사건에 반응하는 과정이다.
- 즉, 새로운 지각물이나 자극 사건을 이미 가지고 있는 도식이나 행동 양식에 맞추는 인지
과정(cognitive process)이다.
예) 유아에게 개의 그림을 보여주면서 ‘멍멍이’라고 가르쳐 주었다. 그 후 유아는 고양이, 양, 소,
말 등 네 발 달린 짐승을 모두 ‘멍멍이’라고 부르면 이것은 개의 도식에 동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3) 조절(accomodation)
- 조절(accomodation)이란 이전의 사고와 행동방식의 요소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대상에 대해
좀더 적절한 새로운 방법을 배우는 것을 의미한다.
- 유아가 새로운 자극을 만나면 그것을 이미 갖고 있는 도식에 끌어들여 동화시키려고 한다.
그러나 때때로 자극은 동화할 수 있는 적절한 도식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자극이 갖고
있는 특성과 기존 도식들의 특성 간의 거리가 멀어서 동화되지 못할 수가 있다.
- 이때 바로 인지적 구조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인지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4) 평형화(equilibration)
- 평형화는 인지적 성장과 발달에서 동화와 조절의 인지적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Piaget는 평형화(equilibration)라고 하였다.
- 그러나 유아가 새로운 사건을 경험하게 되면, 기존의 도식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형(disequilibrium)의 상태가 일어나게 된다.
- 비평형 상태는 언제나 갈등과 긴장을 유발한다.
4. 인지발달 단계
Piaget의 인지발달 단계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단 계 | 연 령 | 특 징 |
1. 감각운동기 | 0~2세 | ․반사적, 운동적 기능 ․지금, 여기의 세계 ․감각운동 6단계 ․대상영속성 개념 |
2. 전조작기 전개념기 직관적 사고기 |
2~7세 2~4세 4~7세 |
․상징적 사고, 직관적 사고, 자아중심적 사고, 물활론적 사고 ․도덕적 실재론, 꿈의 실재론, 보존개념 미획득 |
3. 구체적 조작기 | 7세~11, 12세 | ․보존개념 획득, 분류와 관계에 대한 논리, 서열화, 유목화 ․탈중심화, 자율적 도덕성, 구체적 범위만 사고함 |
4. 형식적 조작기 | 11, 12세~ | ․사고에서 전도가 가능함 ․사고의 완전한 보편성 ․가정을 다룰 수 있는 능력 ․강한 이상주의의 발달 ․추상적 개념 사용, 조합적 사고, 연역적 사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