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가정생활사

건강가정사, 가정복지사, 가정복지학과 등 한국가정생활사 요점 요약 정리 18. 가신신앙

반응형

제 18 장 가신신앙 


▣ 학습목표
1. 우리나라 가신신앙의 성격에 대해 살펴본다
2. 가신신앙의 형태와 그 특징에 대해 고찰한다
3. 안택과 고사의 특성을 살펴본다
4. 가신신앙의 연속과 단절에 대해 살펴본다

 

▣ 주요용어
- , , , , , , , , , 가신신앙 조령신앙 삼신 성주 조왕신앙 문신 업 측신 안택 고사


1.1. 가신신앙의 성격
1) ( ) 가신신앙 家神信仰
- 공간적으로 집안에 존재하는 신적 존재들에 대한 신앙
- , 가정 단위의 신앙이지만 민간신앙으로 유교적인 제례와는 전혀 갈래가 다름
- · · 성격상으로도 유교제례는 남성들이 주가 되고 형식성 이념성 논리성 등의 특징을 지니는 데 비
해서 가신신앙은 주부가 담당자가 되며 소박하고 현실적인 것이 특징 ,
- , · , , 교주나 창시자가 없고 교리나 경전 교단조직이 희박하며 각별한 윤리관의 강조도 적고
논리적인 구분의식도 많이 결여되어 있음
- ( ) 가신신앙의 신관은 다신다령교적 인 성격을 띰 多神多靈敎的

 

2) 가신신앙의 성격
- , . 첫째 가정 단위가 신앙 대상으로 한정된다
- , . 둘째 한 가정의 생활공간을 신앙 장소의 범위와 한계로 한다
- , . 셋째 주로 주부가 그 사제자가 된다
-> 이 전제조건 하에 가정내 공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가신신앙을 구분할 수 있음
① ② ③ 안방을 주로 한 조상령 안방을 주로 한 삼신 마루를 주로 한 성주신 ( ), , , 祖上靈
④ ⑤ ⑥ ⑦ 부엌의 조왕신 뒤꼍의 택지신 뒤꼍의 재물신 출입구의 문신 ( ), , , , 謂王神
⑧ ⑨ ⑩ 뒷간의 변소신 우물 샘의 용신 안 택 고사 기타 신앙형태들 , · , · .

 

1.2. 가신신앙의 형태와 그 특징
1. 조령신앙
(1) 조령신앙
-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민간신앙에서 행해져 온 것으로 유교적인 조상숭배와는 별개의 것
- 오랫동안 유교식 조상숭배의 그늘에 가려서 지금은 거의 소멸상태에 이름
- 지난날의 기록도 거의 찾아볼 수 없음


조령신앙의 역사

조령신앙의 역사는 신라의 시조신 김알지의 신화에 나오는 황금상자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김알지는 경주 계림의 나뭇가지에 매달려 있는 황금궤짝에서 닭울음소리가 울리는 새벽 .
에 탄생했다는 신화가 전한다 이것은 오늘날 호남지방에서 조령의 신체 로 모시는 제석오 . ( ) 神體
가리와 영남지방의 세존단지 또는 시준단지 나 조상당세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때 고대 왕가 ( )
의 조령신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도 호남지방에서는 제석오가리라는 오지그릇 항아리를 .
종손이나 장남의 집 안방 또는 마루에 모시는 사례를 볼 수 있는데 그 안에는 추수한 햅쌀을 ,
넣는다.

 

조령신앙의 분포
- 조상단지라고 불리는 신체는 전국적으로 분포
- 가내의 평안과 풍작 자손의 번창을 기원하기 위함

 

조령신앙의 신체神體 유형 
① 조그만 단지 오지단지 에 쌀을 가득 채워 넣고 한지로 그 입구를 봉한 다음 안방의 어느 곳 흔 ( ) , (
히 시렁 위 에 안치한 형태 )
② 곡식 되 정도가 들어갈 수 있는 주머니를 만들어 거기에 쌀을 가득 넣어 안방 벽에 걸어놓는 3 ,
형태
③ 호남의 일부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으로 석짝 뚜껑이 있는 대바구니 속에 할아버지 할머 ( ) ,
니의 성명을 기록한 한지를 넣어 성주머리 안방 시렁 위 에 안치하는 것 ( )

 

조령신앙의 제일
- 제사드리는 날은 전국적으로 일정하지 않음
- 정월보름 유월유두 팔월보름 기타 맛있는 음식을 장만했을 때마다 신체 앞에 음식을 차려놓거
나 조상의 제일 이나 명절에 제물을 바쳐놓는 곳도 있음 , ( ) 祭日
- 어떤 곳에서는 7월 7일 아침 단지나 주머니의 쌀로 밥을 짓고 미역국을 끓여 바치기도함 

 

제 물
- · · · · 제물은 보통 메 떡 과일 조기 술이 진설
- 경우에 따라서는 정화수만이 바쳐지는 경우도 있음
- , 혹은 익은 벼이삭을 골라 뽑아다 벼를 찧어 그 쌀로 만든 밥을 바치기도 함

 

제 주
- 제는 거의가 주부들에 의하여 진행되며 특별한 양식이 있는 것은 아님

 

조령신앙의 특징
- 원초적인 여신성 농신성 조령성 삼신성에 다시 삼국시대 및 고려시대적인 불교의 성격과 조선시대
적인 유교 제례의 성격까지 모두 받아들여 왔음
- 이것은 농경민족다운 평화와 포용의 정신을 바탕으로 해서 이룩되어 온 우리나라의 전체 종교문
화사를 상징적으로 집약한 것이라고 볼 수 있음

 

2. 삼신신앙
◎ 삼신
- 삼신 이 아니라 태신 즉 산신 三神 胎神 産神
- 즉 삼가른다 는 말에서와 같이 삼 은 곧 태 를 뜻함 胎
- 발생동기 : 의학이 덜 발달한 전통사회에서 산모와 산아의 사망률이 높았고 이에 대한 두려움이
클 수밖에 없었다는 데서도 그 중요한 요인의 하나를 찾을 수 있음


◎ 삼신의 형태와 봉안위치
-  호남지방에서는 직경 25cm정도의 바가지에 쌀을 가득 담고 그 위를 백지로 덮은 뒤 금줄을
동여매어 아랫목 시렁 위 한쪽에 모셔 둠 햅쌀이 나면 바가지의 쌀을 햅쌀로 바꾸어 넣음 ->
- , 또는 평소에는 아무 형태도 없이 이른바 건궁삼신으로 마음 속으로만 위하는 경우도 있고 건궁
삼신으로 모시다가 산전 산후 기간에만 새로이 삼신단지를 마련하기도 함 ·


◎ 제일
- 3 , 7 , 21 , 삼신은 주부나 산모 등이 보통 산후 3일 7일 21일 혹은 가족의 생일이나 명절에 행함
- 이때는 아기를 출산한 방 장독대 혹은 대문 앞 등에 메 미역국 간장 냉수 떡 등을 차려놓고 비
는 것이 보통

 

3. 성 주
성주( ) 成主
- , , · 최고의 가택신으로서 가옥의 수호신이며 집안의 제일 주신으로 집임자 상량신 등으로 간주되
고 여기에 조상신과 곡령 관념도 곁들여 있음 ,
- , · 기원 내용은 가내 평안 농사의 풍년기원과 감사의 표시에다 부귀 번영에 병의 치유까지 포함
- 가옥의 수호신이므로 조상단지처럼 맏아들의 집에만 있을 수 있다는 제한성이 없음
- 가정이 형성되고 가옥이 마련되면 모셔지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어떤 가신신앙보다도 흔하게 볼
수 있음

 

성주의 형태
① 단지형태 보통 높이 정도의 단지에 그해 농사지어 맨 처음 찧은 쌀이나 강원도 정 : 50~60cm ( ),
미하지 않은 보리 전라도 를 넣고 목판이나 옹기 뚜껑으로 덮어놓은 것이다 그리고 그 뚜껑 위 ( ) .
에 성주 물그릇이라 하여 작은 종지를 놓고 거기에 정화수를 떠놓기도 함 ,
② 한지형태 창호지를 가로 세로 각 정도의 크기로 접어 집의 가장 중요부분인 마 : , 30cm, 40cm
루 상량대에 실로 매달거나 충북 안방 문설주 위에 창호지를 접어 붙이고 그 위에 쌀알을 붙 ( ),
여놓기도 함

 

제일
- 주부들이 모시며 모시는 날은 가정에 따라 일정하지 않음
- 대개 생일이나 7월 15일 백중 8월 15일 추석 12월 30일 섣달그믐 등의 명절에 제를 행하
며 집안에 제사나 혼사가 있으면 먼저 성주에게 고하는 곳도 있음 ,


4. 조왕신앙
조왕
- 조왕신 부엌신 조왕할매 조왕대감이라고도 불리며 그 신격은 본래 불의 신 즉 화신 부뚜막신
으로 인식
- 부엌에 위치하는 존재이고 따라서 여성 특히 주부의 신앙처럼 된 일면이 있음
- 형태와 봉안위치는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음
- 조왕신은 자손의 명과 복을 위하여 모셔짐
- 가족의 생일이나 명절에는 음식을 바치며 주로 자손의 안녕을 기원하므로 마치 소박한 모성애의
상징으로 보이는 면도 있음
- 조왕에게 바치는 제물은 보통 메 반찬 술 정화수로 이러한 제물을 바치고 비는 사람은 그 가정의
주부나 할머니 혹은 출타자의 모나 처 ,
- 도시에서도 이사할 때 우선 연탄이나 난로 등불을 먼저 들여다 놓는다거나 이사 문안에 성냥을 사가는 것도 모두 불의 신인 조왕과 관련된 유습으로 볼 수 있음


5. 터주와 업
터주
- 택지신으로 터줏대감이라고도 함
- , , 대지의 관장신으로 신체는 터주까리 터주막이라고도 함
- , , , , , 진신을 안치하는 곳은 안뜰 중앙 장독대 뒤뜰 담 밑 축담 뒤꼍 광 다락 등 다양하나 일반적
으로는 뒤꼍 장독대 주위에 모심 ,
- , 지신을 모시는 목적은 가내 무사와 풍작 그리고 가업의 번창을 기원하기 위함
- 10 , 1 1 제는 월 중 택일하여 행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지역에 따라서는 정초에 택일을 하거나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등에 행하기도 한다 , 3 3 , 6 15 , 7 7 .
- · · 제물은 매우 간단하여 시루떡 나물 술 등이 진설되는 것이 보통
- 대부분의 가신은 주로 주부들에 의하여 신앙되는 데 반하여 지신은 대개 남자 가장이나 가장부
부에 의하여 신앙됨

 

업( ) 業
- , · · , 업 혹은 업신이라고 하는 것은 재물신으로 구렁이 족제비 두꺼비 등을 그 실체라고 여기면서 집
안에 업이 들어오면 가운이 성하고 반대로 업이 나가면 가운이 망한다고 생각함 ,
- , · · , 인업 구렁이업 이외에 돼지 소 고양이 등의 업이 있는데 구렁이업이 제일 좋다고도 함

 

6. 문신과 측신
문신
- 글자 그대로 문을 지키는 신
- 문신풍속은 특히 서울과 제주도에서만 뚜렷한 전승자료를 보임
- 『 』 삼국유사 에도 처용의 형상을 대문에 붙여 잡귀를 쫓았다는 문신신앙 풍속이 언급되어 있음

 

측신
- , 변소귀신 즉 측신은 제주도뿐만 아니라 어디에서도 신경질적인 젊은 여신으로 관념됨
- , 이 측신은 헛기침을 하지 않고 변소에 들어가면 화를 내고 탈을 일으키며 그 탈은 굿을 해도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다고 해서 공포의 대상이 되어 왔음

 

1.3. 안택과 고사


1) 안택과 고사
- 여러 가신들에 대한 종합적인 제의
- 지방에 따라서 이름이 다양
- 고사는 정월에 지내기도 하지만 대개는 추수 뒤에 지내는 경우가 많아서 감사제의 성격이 강함
- 안택은 가을보다는 정월에 지내는 경우가 많아서 안택이라는 이름대로 새해에 한 해 동안의 집
안의 평화를 빈다는 의미가 중심이 됨

 

1.4. 가신신앙의 연속과 단절
- 본래 이 가신신앙들은 한민족의 유구한 농경생활의 역사에서 그 생활과 밀착되어 온 종교현상
이었음
- , 자연을 대하는 겸허한 마음가짐의 기반을 이루어온 것이 이 가신신앙이었으며 특별한 행사보
다는 대개 가족의 생일이나 제사 또는 명절에 마련한 음식을 바쳤다가 물리는 식으로 주부들
을 중심으로 매우 검소하게 전승되어 온 것
- , 이러한 맥락에서 살펴보면 외국의 어느 나라의 신앙행위와도 구별되는 우리나라 어머니들의
기도 즉 오늘날의 절 성당 교회 등 곳곳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종류의 기도 행렬들은 가신신앙 , · · ,
이 종교기관으로 흡수되어 간 일종의 현대적 변용이라고 볼 수 있는 측면이 없지 않다고 볼 수
있음

 

<확인문제>

1. ? 최고의 가택신으로서 가옥의 수호신을 모시는 가정신앙형태를 무엇이라고 하였는가
2. ? 자손의 명과 복을 위하여 부엌에 모셔지는 가정신앙형태는 무엇이라고 하였는가
3. 가내의 무사와 농업의 풍작 등 가업의 번창을 기원해 주며 대지를 관장하는 가정신앙형태는 무엇
인가?
4. ? 안택과 함께 여러 가신들에 대하여 가정의 행운을 비는 제의절차는 무엇인가

 


정답   : 1. 성주2. 조왕3. 터주4. 고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