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7 장 한국인의 주생활
▣ 학습목표
1. 우리나라의 주거변천
2. 주거생활사의 특성
3. 한옥의 특징
▣ 주요용어
- 온돌 움집 귀틀집 금입택 옥사 제한령 사랑채 안채
1.1. 한국 주택과 주생활의 변천
1. 원시시대와 고조선시대
1) 구석기 시대 : 약 10만 년 전 평면윤곽이 대략 부정형의 30-40㎡크기로 한쪽 구석에 큰 돌
더미가 있고 주변에는 차돌조각 차돌석기들이 널려 있음 , .
- 모계를 중심으로 여성이 살림의 중심 단위였으며 집단 노동의 공동생산에 의존
2) 신석기 시대 : 기원전 4천 년 경부터임 토기를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집자리는 원형
에서 말각抹角 방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바뀌었고 말기에 이르러 직사각형 ( ) ,
모양임.
- 신석기 시대에 이르러 정착생활을 하였고 생활단위 및 모든 생산 활동 전반에서 여성이 하는
역할이 컸음.
- 신석기 시대 후기에 남성의 역할이 커짐
3) 청동기 초부터 초기 철기 시대 : 원시 농경시대로 집자리는 직사각형으로 대형화됨
- 취사 난방 조명 등의 기능을 하는 화덕을 둠
- 두세 가족이 모여 살았던 것으로 추정됨
4) 고조선 : 청동기 시대에 해당하는데 계급사회로 움집 귀틀집 고상 주거가 있었음 高床
- 움집 : 주로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의 사람들이 살았던 반지하 가옥
- 귀틀집 : 지름 15cm되는 통나무를 우물 정井 자 모양으로 쌓아 올려서 벽을 삼은 집
2.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
1) 고구려
- 난방방식
- 발방아간 용드레우물 부엌 육고 마차고 외양간 등이 있었고 소반 접시 시루 물동이 항아리
등 그릇류를 씀.
2) 백제
- 대게 산에서 살았다고 전해짐
- 백제의 기와 벽돌 공예가 높은 수준에 있었음
3) 신라
- 상류주택 : 기와지붕 사용
- 금입택金入宅 : 옥사屋舍 에 금드리를 한 화려한 주택이 있었음
- 옥사 제한령 : 계층에 따라 허용되는 집의 크기와 장식을 다르게 함
3. 고려시대
- 집을 사고팔기도 함
- 가옥의 사유 재산권은 있었으나 토지가 국가 소유라서 필요에 따라 백성의 집은 마구 헐릴 수 있
었음.
- 일반 민가는 움집 형태였음
※온돌 : ( ) . 아궁이에서 불을 때면 화기 가 방밑을 지나 방바닥 전체를 덥게 하는 난방장치 火氣
4. 조선시대
- 신분에 따라 가대 가사 장식 에 대한 제한이 있음 家垈 家舍 裝飾
- 성종 대에서 중종에 이를수록 점차 높고 큰 집을 만듦
- 지방 호족도 집의 규모와 장식을 규제를 뛰어넘어 건축을 함
- 서인 이하는 상한선인 서인 10칸 내 누 삼칸 도 짓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 庶人 樓
- 조선 후반기의 주택은 부계 친족 체계의 상징
- 가부장 장자가 거처하는 사랑채와 종부 장자부가 거처하는 안채가 각기 기능을 달리함
5. 조선 말기부터 현재까지
- 신분제의 해체로 가사家舍 규제가 없어짐
- 경제력 있는 중인 계급을 중심으로 주택을 과감히 확장하거나 솟을대문을 달고 일부 사당을 목
욕간으로 개축함.
- 개화기에는 다층 주택이 발전
- 1920년대는 서민들 주택은 지붕틀 부연 상류주택을 모방함
- 1941년 임대와 분양 주택 건설이 발전
- 1950년대 아파트 건설되었고 1970년대 아파트 형식이 정착됨
1.2. 한옥의 특성과 주생활
1. 한옥의 열림과 닫힘
- 전통주택의 문이나 창틀은 틈이 있음 → 환기를 조절해주는 역할
- 부엌의 출입문이나 대청뒷면의 문은 판장문板墻門 과 같은 두꺼운 문을 설치
- 대청에는 들어열개문을 설치
- 벽과 문과 창의 어울어짐은 여름철에 열어 놓으면 개방성을 느낄 수 있고 시원하며 겨울철에는
- 창과 문을 닫아 놓으면 폐쇄성과 아늑함을 느낄 수 있음
- 분합문分閤門 은 들어열개문으로써 공간을 완전히 분리 통합시킴
2. 한옥의 안과 밖
- 한옥의 배치는 풍수지리설이 작용 주택은 뒤가 높고 앞이 낮은 대지에 배치 →
- 각 공간들은 바닥의 높낮이로 위계성을 보여줌
- 풍수는 음양오행설을 바탕으로 땅에 관한 자연이치를 설명하는 이론
※ 음양오행( ) 陰陽五行 : · ( ) 우주나 인간의 모든 현상을 음 양 두 원리의 소장 으로 설명하는 음양 消長
설과 이 영향을 받아 만물의 생성소멸生成消滅 을 목 화 토 금 수 木 火 土 金 水 變 의 변전
轉) . 으로 설명하는 오행설을 함께 묶어 이르는 말
※ 풍수지리( ) 風水地理 : 산세 지세 수세 등을 판단하여 이것을 인간의 길흉화복 山勢 地勢 水勢
( ) . 吉凶禍福 에 연결시키는 설
3. 한옥의 낮과 밤
- 유교사상이 한옥에 영향을 미쳐 주택 내에서 장남의 작은 사랑이 아버지가 사용하는 큰 사랑 옆에
배치됨.
- 상류주택은 주거내의 건물과 공간들이 높은 담장으로 가림
- 하인들의 생활영역과 안채 사랑채와 같은 주인의 생활공간은 담장과 문으로 막아 격리시킴
- 대가족제도였으므로 한옥은 담으로 둘러싼 여러 개의 채 사랑채 안채 안사랑채 행랑채 별당 로
구성됨.
4. 한옥의 허虛 와 실實
- 5실 5허 집에 5실이 갖추어지면 부귀하게 되고 집에 5허가 있으면 곤궁하고 패가한다는 것
- 5실 5허는 곧 서민들의 가치관으로 정착되어서 서민들의 집 담을 사람이 살기에는 너무 작고 낮
았음.
- 담벽이 단단할수록 실實 하게 여김
5. 한옥의 따뜻함과 시원함
- 온돌은 열의 전도 복사 대류를 이용한 한국 고유의 난방방식
- 서민주택에서는 온돌 흙바닥에 대자리나 삿자리 등을 깔음
- 상류주택의 온돌 바닥은 안전하고 보기에도 아름답도록 마감을 함
- 마루는 시원한 여름철 생활공간의 목적으로 쓰임
6. 한옥의 강함과 약함
1) 사랑채
- 사랑채에는 사랑방 대청과 누마루 침방과 서고 그리고 사랑마당으로 구성됨
- 주인의 일상 거처일 뿐만 아니라 내객의 접대 및 문객들과의 교류가 이루어지는 공간
- 사랑마당에는 몇 그루의 나무를 심고 괴석怪石 이나 석함石函 을 담장 밑에 배치
2) 안채
- 사랑채에서 중문을 통과하면 안채에 이르게 되는데 사랑채에서 직접 시선이 닿지 않도록 내외담
을 돌아서 들게 되어 있음.
- 내외담은 시각적인 차단이 중요
- 안채에는 안방과 건넌방 안대청과 부엌 곳간이 있음
- 사당은 대체로 안채의 안대청 뒤쪽이나 사랑채의 뒤쪽 제일 높은 곳에 마련됨
- 한옥의 관념적인 구조는 안으로 들어올수록 안방> 안마당 >중문 >사랑방 >사랑마당> 행랑마당> 대문
의 순으로 직계존비속 에서 외부사람에 이르기까지 드나들 수 있는 한계가 확대됨 ( ) . 直系尊卑屬
- 물리적 구조물은 밖으로 나갈수록 견고하며 바깥담> 행랑채> 중간담> 사랑채> 안채> 안방의 순으로
약해짐.
- 한옥의 강건함과 약함 관념상의 개방성과 폐쇄성을 보완했던 것이 유교윤리에 바탕을 둔 예禮
의 구조임.
<확인문제>
1. 다음 중 한옥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08‘ ) 출제
① 부엌의 출입문이나 대청 뒷면의 문은 드나들기 쉽게 분합문으로 만들었다.
② 한옥의 문이나 창틀은 전혀 틈이 없도록 정교하게 만들었다.
③ 한옥의 배치는 풍수지리설을 적용하여 주택의 앞 뒤가 차이지지 않고 평평하도록 설계되었다 , .
④ 한옥은 여러 개의 마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공간마다 상이한 공간정서를 느끼게 한다 , .
2. 다음 한옥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07‘ ) 출제
① 집의 구조에 있어서 한옥의 문이나 창틀은 적당한 틈을 갖고 있다.
② 한옥은 기 의 소통을 강조하기에 문과 담벽은 낮고 얇게 만들었다 ( ) . 氣
③ 한옥은 공간 내 통일성을 강조하여 여러 개의 마당으로 구성되어 있으면서도 각 공간마다
동일한 정서를 느끼게 한다.
④ 부엌의 출입문이나 대청 뒷면의 문은 분합문으로 처리하였다.
3. 한옥의 허 와 실 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虛 實 (07‘ ) 출제
① 휴식의 공간을 확보하고자 집터에 비해 집을 작게 짓는 것을 선호하였다.
② 안과 밖이 차단되는 것을 막고자 담을 두텁고 높게 짓는 것을 경계하였다.
③ 집은 크고 문은 작은 것을 선호하였다.
④ 하수구는 북서쪽으로 흐르는 것을 선호하였다.
4. 다음 중 오행에 해당되지 않는 기운은 (07‘ ) 출제
① 목( ) 木 ② 화( ) 火
③ 토( ) 土 ④ 일( ) 日
5. 다음 한옥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09‘ ) 출제
① 집의 구조에 있어서 한옥의 문이나 창틀은 적당한 틈을 갖고 있다.
② 한옥은 기 의 소통을 강조하기에 문과 담벽은 낮고 얇게 만들었다 ( ) . 氣
③ 한옥은 공간 내 통일성을 강조하여 여러 개의 마당으로 구성되어 있으면서도 각 공간마다 동일
한 정서를 느끼게 한다.
④ 부엌의 출입문이나 대청 뒷면의 문은 분합문으로 처리하였다.
정답 : 1. ④2. ①3. ③4. ④5.①
'한국가정생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가정사, 가정복지사, 가정복지학과 등 한국가정생활사 요점 요약 정리 19. 가신신앙 (0) | 2023.01.02 |
---|---|
건강가정사, 가정복지사, 가정복지학과 등 한국가정생활사 요점 요약 정리 18. 가신신앙 (1) | 2023.01.01 |
건강가정사, 가정복지사, 가정복지학과 등 한국가정생활사 요점 요약 정리 16. 한국인의 식생활 (1) | 2022.12.31 |
건강가정사, 가정복지사, 가정복지학과 등 한국가정생활사 요점 요약 정리 15. 겨울의 세시풍속 (0) | 2022.12.30 |
건강가정사, 가정복지사, 가정복지학과 등 한국가정생활사 요점 요약 정리 14. 가을의 세시풍속 (1) | 2022.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