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1744)
공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48. 기생충 감염병의 종류 2 48. 기생충 감염병의 종류 24) 간흡충증(간디스토마, clonorchia sis)• 우리나라 낙동강, 영산강, 금강, 한강 등의 강변지역 주민이 많이 감염되며,민물고기를 생식하는 생활습관을 가지고 있는 지역 주민이 특히 많이 감염된다.(1) 전파경로- 성충은 사람, 개, 고양이 등의 분변으로 충란이 되어 배출된다.- 제1중간숙주인 쇠우렁이, 제2중간숙주인 담수어(참붕어, 피라미, 잉어 등)등을거친다.- 담수어를 섭취한 민물고기를 생식하거나 이를 조리한 기구 등을 통해 감염된다.(2) 감염증상- 일반적으로 간 및 비장비대, 복수, 소화기장애, 황달 등이 나타난다.  (3) 예방대책- 구충제 복용 및 민물고기의 생식을 금한다.- 손이나 도마, 조리 기구를 위생적으로 관리한다.- 인분 처리를 철저히 하고,..
공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47. 기생충 감염병의 종류 47. 기생충 감염병의 종류 1) 회충증(Asca ria sis) • 회충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높은 감염률을나타내는 기생충이다.(1) 전파경로- 회충수정란이 변과 함께 배출되어 채소밭에 뿌려지면 오염된 야채, 불결한 손,파리의 매개에 의한 음식물의 오염으로 경구침입을 하고 위에서 부화하여 심장,폐포, 기관지, 식도를 거쳐 소장에 정착한다. (2) 감염증상- 권태, 미열이 있고 구토, 변비, 설사복통, 식욕부진, 체중감소, 오심, 신경증상으로는경련, 빈뇨, 두드러기, 불면증 등이 올 수 있다.(3) 예방대책- 가장 중요한 매개물이 야채이므로 야채를 흐르는 물에 3~5회 충분히 씻거나익혀서 먹는 것이 중요하다.- 정기적으로 구충제(알벤다졸, a lbenda zole) 복용, ..
공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46. 기생충 감염병 46. 기생충 감염병 1. 기생충 감염병1) 기생 생활에 대한 정의•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물들은 서로 밀접한 상호 관계를 이루면서 생활하고있다.• 각각의 생물개체들은 독립적으로 생활하는 자유 생활(free living)과 다른 생물에의해 생활하는 기생 생활(pa ra sitism )을 한다.• 기생 생활의 경우에는 거처를 제공하는 쪽을 숙주(host), 거처를 빌리는 쪽을기주(pa ra site)라고 하며, 숙주와 기주가 서로 이익을 취하고 서로 의지할 때를공서 생활(sym biosis)이라고 한다.• 그러나 기주가 이익을 취하고 숙주는 이롭지 않거나 해를 받고 있는 경우를 기생생활이라고 한다.  2) 기생충 감염병의 발생원인과 특성(1) 발생원인- 기생충 감염병의 분포 및 발생 정도는 집단의 위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