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인복지론

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복지직 등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1. 노인과 고령사회의 이해

반응형

1. 노인과 고령사회의 이해

학습내용 1 노인 관련 용어
1. 노인이란?
Ÿ 노인은 흔히 ‘어르신’, ‘늙은이’ 또는 ‘나이 많은 사람’과 같은 용어들과 동일하게 사용됨
Ÿ 국어사전에서는 노인(⽼⼈)을 나이가 들어 늙은 사람이라고 정의하고 있음
Ÿ 노인에 대한 개념은 국가나 사회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배경과 개인의 신체적·심리적·사회적 요인에
따라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한마디로 단정하기는 쉽지 않음
Ÿ 그러나 노인의 개념은 어느 환경에서든지 공통적으로 노화(aging)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음
Ÿ 노화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기체의 세포, 조직 또는 유기체 전체에 일어나는 점진적
변화이며(Beaver, 1983; 홍숙자, 2011), 인간에게 영향을 주는 자연과 생활환경을 포괄하는 환경적
요인과 태어날 때 타고나는 유전 정보에 의한 유전적 요인에 의하여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음
Ÿ 따라서 노인의 개념은 노화의 생물학적, 심리적 및 사회적 노화의 개념을 포함하여 “생리적 및 신체적
기능의 퇴화와 더불어 심리적인 변화가 일어나서 개인의 자기유지 기능과 사회적 역할 기능이
약화되고 있는 사람”으로 정의할 수 있음
학습내용 2 노인의 개념 정의
Ÿ 노인은 역연령과 기능연령으로 정의됨.
- 역연령은 나이를 기준으로 노인을 정의하는 것
- 기능연령은 심신의 기능변화에 따라 노화현상이 일정 단계에 도달한 사람을 노인으로 규정하는 것
Ÿ 또한 추가적으로 심리적 연령, 사회적 연령, 자각에 의한 연령으로도 구별할 수 있음

 

1. 역연령
Ÿ 노화는 생물학적인 변화이기 때문에 인간이 통제할 수 없는 역동적인 현상임
Ÿ 인간이 몇 살이 되면 노인이 되는지에 대한 일반적인 합의도 없음
Ÿ 따라서 특정한 연령을 잣대로 삼아 그 이상을 노인으로 규정하는 것은 자의적이지만 그럼에도 사회적
필요성 때문에 어느 나라건 일정 연령 이상을 노인으로 정의함

 

1) 공적연금
Ÿ 사회적 필요성의 대표적인 예
Ÿ 공적연금은 가입자 전원에게 예외 없이 연금을 지급함
Ÿ 그러기 위해서는 누구나 납득할 수 있는 기준이 연령이라고 할 수 있음
Ÿ 일정한 연령에 도달한 모든 가입자에게 연금을 일률적으로 지급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기준임
Ÿ 19세기말부터 유럽국가들은 근로자의 노후 생계보장을 위해 공적연금을 도입하였음(세계 최초가
독일의 1889년 노령폐질보험)
Ÿ 아울러 공적연금을 지급하기 위해 연금 수급자격 연령을 정했음(대개 60~65세)
2) 퇴직연령
Ÿ 사회적 필요성의 두 번째 예
Ÿ 근로자는 연령에 관계없이 가급적 오래 일을 해 가족의 생계를 유지하고 노후를 위해 저축하고 싶어

Ÿ 반면에 사용자는 근로능력이 쇠퇴하고 보수도 많은 고령근로자를 해고하고 대신 잠재능력이 있고
보수도 적은 청년근로자를 채용하고 싶어 함
Ÿ 이처럼 퇴직 연령에 대한 사용자와 근로자의 이해관계는 다르기 때문에 따라서 퇴직연령에 대한
규정이 필요함
Ÿ 근로자의 퇴직연령은 공적연금이 정해준 것이나 다름없음
Ÿ 민간기업이 공적연금 상의 연금 수급개시 연령을 회사의 퇴직연령으로 삼았기 때문임
Ÿ 정부가 근로자의 연령을 기준으로 노인을 정의한 것은 1875년 영국이 공제조합을 통제하기 위해
제정한 우애조합법(the Friendly Societies Act)이 최초인 것 같음
Ÿ 이 법은 노인을 50세 이상으로 규정했음. 당시 유럽의 평균수명은 50세 이하였음
Ÿ 연금수급연령(pensionable)이 퇴직연령(retirement age)이 된 것임
Ÿ 사용자의 이해관계를 반영한 것이지만, 근로자로 퇴직 후 공적연금이 보장되자 회사의 퇴직규정을
수용했음
Ÿ 현재 대부분의 선진국은 65세 이상을 노인으로 정의함
Ÿ 선진국이 65세 이상을 노인으로 규정한 것은 공적연금 수급연령(65세)의 영향을 받은 것임
Ÿ 공적연금 수급연령이 곧 퇴직연령이란 점에서 노인의 역연령을 공적연금 수급연령에 맞춘 것은
합리적임
Ÿ 다시 말해서 퇴직 후 연금을 받는 사람을 노인으로 규정하는 것은 무리가 없다는 것임
Ÿ 아프리카 국가들은 노인을 50세 또는 55세로 정하고 있음
Ÿ WHO는 아프리카 노인에 관한 연구에서 노인을 50세 이상으로 정한 바 있음

 

3)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Ÿ UN 전문기구로서 보건과 위생 부문의 국제적인 협력을 위하여 1948년 설립됨. 건강과 질병에 관한
국제표준을 제시하고 전염병의 확산을 통제하는 등 인류의 삶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음
Ÿ 아프리카의 높은 영아사망률과 사망률, 낮은 평균수명을 고려할 때 합당한 것으로 생각됨
Ÿ UN은 노인의 역연령을 명시적으로 정의한 적은 없지만, UN 인구보고서가 60세 이상을 노인
범주에 넣고 있는 것을 볼 때 사실상 60세 이상을 노인으로 정의한다고 봐도 무방할 듯함
Ÿ 65세 이상 노인을 연령별로 세분하기로 함
Ÿ 예를 들어 미국의 인구통계국은 노인을 2개 범주로 나누고 있는데, 65세 이상을 old, 85세 이상을
oldest-old로 분류하고 있음

 

Ÿ 노년학자도 노인을 세분함
Ÿ 60~69세를 young old, 70~79세를 middle old, 80세 이상을 very old로 분류한 학자도
있고(Forman etal., 1992), 65~74세를 young-old, 75~84세를 middle-old, 85세 이상을
oldest-old로 분류한 학자도 있음(Zizza etal., 2009)
Ÿ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에는 만 60세 환갑을 넘긴 사람을 노인으로 간주했음
Ÿ 그러나 근대화·현대화와 함께 유교적 관념이 약화되고,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환갑의 의미는 퇴색하고
말았음
Ÿ 노인 하면 자신의 직업에서 은퇴한 사람을 연상하는데, 우리나라 민간기업과 공무원의 정년은
60세임(민간기업 정년은 원래 55세였음)
Ÿ 하지만 60세 퇴직자를 노인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음
Ÿ 우리나라 국민정서상 환갑을 넘긴 사람 또는 60세 이상 은퇴자를 노인으로 정하기는 어렵다는 것임
Ÿ 우리나라 노인 관련 법령을 보면 노인의 역연령이 상당히 다양하게 규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음
Ÿ 예를 들어 노인복지법과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서는 65세 이상을 노인으로, 고령자고용촉진법에서는
55세 이상을 고령자로 규정하고 있고(50~55세는 준 고령자), 국민연금법의 노령연금 수급기준은
65세(원래 60세였으나 단계적으로 65세로 인상)임
Ÿ 이처럼 노인 관련 법령은 55세, 60세, 65세 등 서로 다르게 노인연령을 규정하고 있음
Ÿ 평균수명의 증가와 함께 노인의 역연령은 올라갈 것이 거의 확실시 됨
Ÿ 미국은 이미 사회보장연금 수급연령을 67세로 높였음
Ÿ 선진국의 경우 60~65세 노인의 상당수가 활동적이고 건강함
Ÿ 취미생활이나 자원봉사 같은 사회활동도 열심히 함
Ÿ 하지만 75세 이상이 되면 정신적·신체적 기능이 현저하게 쇠퇴함
Ÿ 이런 사실은 이론적으로 최대 75세까지 정년연장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함
Ÿ 그렇다면 노인의 역연령도 상향조정 될 수 있음
Ÿ 세계 최고령국가 일본에서는 이미 2000년대 중후반에 현행 65세 역연령이 비현실적이라고 하면서
노인의 역연령을 75세 이상으로 재규정하자는 주장이 학계에서 제기된 바 있음(Orimo etal., 2006;
Tokuda and Hinohara, 2008)

 

2. 기능연령
Ÿ 기능연령은
- 1951년 제2회 국제노년학회(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rontology)에서 정의한 노인의
개념이 가장 대표적임
Ÿ 노인은,
- 첫째, 환경변화에 적절히 적응할 수 있는 조직기능이 쇠퇴하고 있는 사람임
- 둘째, 생체의 자체 통합능력이 감퇴하고 있는 사람임
- 셋째, 인체기관, 조직, 기능이 쇠퇴하는 시기에 있는 사람임
- 넷째, 생체의 적응능력이 점차 약화되고 있는 사람임
- 다섯째, 인체조직의 예비능력이 약화되어 환경변화에 제대로 적응이 안 되는 사람임

 

Ÿ 노년학자 L. Breen(1960)도 기능연령으로 노인을 정의했음
Ÿ 그에 의하면, 노인은 생리적·생물학적 측면에서 퇴화기에 있는 사람, 심리적인 측면에서 정신기능과
성격이 변화되고 있는 사람, 사회적인 측면에서 지위와 역할이 상실되어 가고 있는 사람임(이혜원,
1996 : 12-13)
Ÿ 말하자면 노인은 생물학적·심리적·사회적으로 기능이 감퇴된 사람이라는 것임
Ÿ 매우 간경하고 함축적인 정의임
Ÿ 노인에 대한 기능적 정의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개개인의 다양한 기능적 변화를 고려한다는 장점이
있음
Ÿ 그러나 노화는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기능적으로 노인을 정의하기는 역연령으로 정의하는 것보다 훨씬
어렵고, 전 국민에게 보편적인 기준을 적용해야 하는 국가정책에 적용하기도 곤란함
Ÿ 노인을 사회문화적 구성물(old age as social and cultural construct)로 보는 관점도 있음
Ÿ 사회·문화적 관점
- 남녀 성을 생물학적으로 구분하기보다는 사회적으로 만들어진 성
- 즉, 젠더로 정의하는 것처럼 노인을 사회가 만든 개념으로 보는 것임(UN, 2012)
Ÿ 하지만 이런 관점의 연구는 매우 미진함

 

[표] 노인의 정의

구 분 내 용
역연령 - 특정한 연령을 잣대로 삼아 그 이상을 노인으로 규정하는 것은 자의적.
그럼에도 일정 연령 이상을 노인으로 정의하는 것은 사회적
필요성(공적연금의 연금수급 연령, 회사의 퇴직연령) 때문임
- 서구 : 65세, 아프리카 : 50~55세, UN : 60세
- 한국
Ÿ 민간기업 근로자와 공무원 60세
Ÿ 노인복지법과 국민기초생활보장법 65세
Ÿ 고령자고용촉진법 55세
Ÿ 국민연금법의 노령연금 수급연령 65세
기능연령 - 환경 변화에 적절히 적응할 수 있는 조직기능이 쇠퇴하고 있는 사람
- 생체의 자체통합능력이 감퇴하고 있는 사람
- 인체 기관, 조직, 기능이 쇠퇴하는 시기에 있는 사람
- 생체의 적응능력이 점차 약화되고 있는 사람
- 조직의 예비능력이 약화되어 환경변화에 제대로 적응이 안 되는 사람

* 출처 : 원석조, 노인복지론 제3판(공동체, 2019), p.57.
3. 생물학적 연령
Ÿ 생물학적 연령(biological age)에 따라 노인을 정의하는 것은 신체의 기관과 체계의 구조 및 기능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로 노인연령을 규정하는 것임
Ÿ 보통 생리적이고 신체적인 기능에 따라 측정하기 때문에 육체연령이라고도 표현하는데, 과거
동양사회에서 40대를 초로(初⽼), 50대를 중로(中⽼), 60대를 기로(耆⽼)라고 불렀던 경우가 이에
해당함

 

4. 심리적 연령
Ÿ 심리적 연령(psychological age)에 따라 노인을 규정하는 것은 객관적 측정방법이나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감각, 지각기능, 자아에 대한 인식, 행동 등의 시간에 따른 변화 정도에 따름
Ÿ 즉 심리적 연령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나타나는 정신기능이나 정신적 구조의 변화에 따른 나이를
의미하며, 성격과 심리적 성숙도를 나타내는 연령임
Ÿ 이러한 기준의 의하면 노인은 시기적으로 정신적으로 쇠약한 수준에 있는 사람으로 규정할 수 있음

Ÿ 그러나 사람이 나이가 들어가면서 모든 정신적 능력이 감퇴된다고 주장했던 기존의 연구는 최근의
연구에서 단지 생물학적 연령이 증가한다고 해서 정신적 능력이 감소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고 있음

5. 사회적 연령
Ÿ 사회적 연령(sociological age)에 의해 노인을 규정하는 것은 사회적 활동에서 물러남으로써 기존의
기대수준이나 지위를 상실하는 나이를 기준으로 정의하는 방법임
Ÿ 사람은 생애발달주기에 따라 사회에서 기대되는 지위와 역할이 주어지는 데 생산 활동에서
은퇴한다거나 여성의 경우 주부로서의 역할과 지위를 이양함으로써 중요한 사회적 역할과 지위가
감소하거나 그것을 상실한 사람을 노인으로 규정하고자 하는 정의임
Ÿ 예를 들어 산업사회 이후 임금근로자들이 직장에서 은퇴하는 시점을 노인기를 접어드는 때로
보고자하는 견해임
Ÿ 이러한 정의에 의하면 한국의 경우 대부분 55세에서 65세 사이에 직장에서 은퇴하고, 대다수가
새로운 역할이나 지위를 획득하지 않는데, 이러한 은퇴시기를 노인기가 시작되는 시점이라고
규정한다는 것임
Ÿ 그러나 평소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 사람이나 특정 연령대에 은퇴시기가 결정될 수 없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예컨대 농수산업 종사자, 자영업자, 창조적 작업에 종사하는 예술인 등에게는 적용할
수가 없고, 다만 정년이 정해진 임금근로자에게만 적용할 수 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는 정의임
6. 자각에 의한 연령
Ÿ 개인 스스로 주관적으로 판단하여 내리는 연령(subjective age)으로 스스로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을 노인으로 규정하는 것임
Ÿ 일반적으로 청년기까지는 역연령과 자각연령 간에 큰 차이가 없으나 중년기 이후 노년기에는 자신의
주관적 노령인식이 역연령보다 훨씬 젊게 나타남(Birren etal.. 1977)
Ÿ 이 정의는 노화의 생물학적·사회적 및 심리적 측면을 어느 정도 내포하고는 있지만, 개인의 주관에
따라 다양한 면이 있어 객관성이 크게 결여되어 보편적으로 사용하기 힘든 정의임
Ÿ 그러나 노년학 영역에서 노인으로서의 자각의 시기를 조사한다거나 그러한 사람의 행위양식이나
의식구조 등을 조사할 경우, 개인의 자각에 의한 노인으로 규정하기도 함
Ÿ 자각에 의한 연령은 주관적 입장에서 측정되기 때문에 본인의 연령을 실제 연령보다 적게 보고하는
경우가 비교적 많음

 

 

학습정리

1. 노인 관련 용어
Ÿ 노인은 흔히 ‘어르신’, ‘늙은이’ 또는 ‘나이 많은 사람’과 같은 용어들과 동일하게 사용됨
Ÿ 노인의 개념은 노화의 생물학적, 심리적 및 사회적 노화의 개념을 포함하여 “생리적 및 신체적 기능의
퇴화와 더불어 심리적인 변화가 일어나서 개인의 자기유지 기능과 사회적 역할 기능이 약화되고 있는
사람”으로 정의할 수 있음
2. 노인의 개념 정리
1) 역연령
Ÿ 특정한 연령을 잣대로 삼아 그 이상을 노인으로 규정하는 것은 자의적. 그럼에도 일정 연령 이상을
노인으로 정의하는 것은 사회적 필요성(공적연금의 연금수급 연령, 회사의 퇴직연령) 때문임
2) 기능연령
Ÿ 환경 변화에 적절히 적응할 수 있는 조직기능이 쇠퇴하고 있는 사람, 생체의 자체통합능력이 감퇴하고
있는 사람, 인체 기관, 조직, 기능이 쇠퇴하는 시기에 있는 사람, 생체의 적응능력이 점차 약화되고
있는 사람, 조직의 예비능력이 약화되어 환경변화에 제대로 적응이 안 되는 사람
3) 생물학적 연령
Ÿ 생물학적 연령(biological age)에 따라 노인을 정의하는 것은 신체의 기관과 체계의 구조 및 기능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로 노인연령을 규정하는 것임
4) 심리적 연령
Ÿ 심리적 연령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나타나는 정신기능이나 정신적 구조의 변화에 따른 나이를
의미하며, 성격과 심리적 성숙도를 나타내는 연령임
5) 사회적 연령
Ÿ 사회적 연령(sociological age)에 의해 노인을 규정하는 것은 사회적 활동에서 물러남으로써 기존의
기대수준이나 지위를 상실하는 나이를 기준으로 정의하는 방법임
6) 자각에 의한 연령
Ÿ 개인 스스로 주관적으로 판단하여 내리는 연령(subjective age)으로 스스로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을 노인으로 규정하는 것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