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정리

한국사능력검정, 9급 공무원, 각종 한국사 시험 대비 한국사의 이해 핵심요점 요약 정리 3. 통일신라와 발해

반응형

 

3장 통일신라와 발해

3.1. 신라의 삼국통일

1. 나당 동맹의 체결(교재 61)

1) 고구려와 백제의 연합 : 고구려와 백제가 연합하여 신라를 협공함, 백제 의자왕이 신라의 대야성(경남 합천)을 함락시키고 백제의 영토로 편입함(642)

2) 신라와 당의 연합 : 연개소문이 김춘추의 도움을 거절하여 신라는 당과 동맹을 맺음(648), 신라는 당에게 평양 이북의 땅을 당에 양보하고, 중국의 문물과 제도를 수용하기로 함, 신라는 독자 연호를 포기하고 당의 연호를 사용하면서 중국의 제후국을 자처함

 

2.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교재 61~62)

1) 백제 멸망 : 의자왕, 나당연합군의 백제 공격(기벌포, 황산벌 전투 등), 백제의 항복(660)

2) 백제 유민의 항전 : 백제 땅에 웅진도독부를 설치, 부흥 운동은 663년 끝나게 됨

3) 고구려의 멸망 : 내부 갈등을 겪던 고구려는 평양성이 함락되어 멸망함(668)

4) 고구려 유민의 항전 : 평양에 안동도호부를 설치하려 하였으나 유민의 반발로 실패, 고구려 부흥군 역시 한때 위세를 떨쳤으나 내분으로 인해 결국 실패하게 됨

 

3. 나당 전쟁과 삼국통일(교재 62~63)

1) 나당전쟁 : 신라가 모두 이김 - 672년 매소성(경기 양주) 전투, 673년 기벌포(금강 하구) 전투

2) 신라 삼국통일의 한계 : 외세를 이용하여 통일을 이룸, 대동강 이남의 영토만을 차지하는 데 그침

 

3.2. 통일신라와 발해의 발전

1. 강력한 왕권의 확립(교재 64~65)

(1) 문무왕 : 무열왕과 문무왕 때 왕권이 강화됨. 백제를 멸망시킴(660), 당과 일본과의 외교 강화

(2) 신문왕 : 장인인 김흠돌의 반란 진압, 중앙과 지방 통치조직 정비, 귀족들의 녹읍 폐지, 수도 금성(경주)을 도시계획에 의거하여 새롭게 정비함

 

2. 통치조직의 재편(교재 65~66) : 행정제도는 중앙(집사부 중심-책임자 시중), 지방(95소경), 군사제도는 중앙군(9서당), 지방군(10)

 

3. 발해의 건국과 발전(교재 66~67)

1) 발해의 건국 :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의 합세, 대조영이 지린성의 동모산 근처에 도읍을 정하고 나라를 세움(698). 국호를 처음에는 진국(搢國)이라고 했다가 나중에 발해(渤海)로 고침

2) 발해의 발전 : 고구려 계승 의식, 무왕은 영토 확장으로 옛 고구려 땅을 대부분 회복함

 

4. 해동의 융성한 나라(교재 68)

1) 9세기 전반 선왕의 국가 중흥 : 강력한 왕권, 대외정복, 이 시기 당에서는 발해를 해동성국이라고 함

2) 발해의 멸망 : 9세기 말부터 내분으로 국력이 약해지다가 거란의 침략으로 멸망함(926)

 

5. 발해의 통치체제와 대외관계(교재 70~71)

1) 중앙 행정기구 : 36, 당의 제도 모방-명칭과 운영에서 발해의 독자성 유지

2) 지방 행정 : 51562: 5(····상경), 15부에 도독, 62주에 자사 등 파견함

3) 대외관계 : (무왕 사망 이후 친선관계), 일본(당과 신라 견제 위해 교류 시작), 신라(서로 대립 관계였으나 때때로 사신을 파견하여 우의를 다짐) - 일본과는 일본도, 신라와는 신라도를 통하여 왕래함

 

3.3. 통일신라·발해의 사회와 경제

1. 귀족의 경제생활(교재 71~73)

1) 토지지급제도

(1) 통일 이전 신라 : 진골 관리에게 녹읍을, 하급 관리에게는 곡물을 녹봉으로 지급함

(2) 관리에게 녹봉 외에 관료전이라는 이름으로 토지를 별도로 지급하기도 함(687, 신문왕 7)

(3) 통일 이후 신라 : 녹읍을 혁파하고 진골 관리에게도 곡물을 녹봉으로 지급함(689)

(4) 8세기 중반 이후 곡물 녹봉을 폐지하고 다시 녹읍을 지급함(757)

2) 통일신라 귀족의 삶 : 풍족한 생활(녹읍이나 녹봉), 금입택에 거주, 사절유택 소유함

3) 통일신라 이후 경제생활 : 당의 장안성 모방 - 금성의 시가지를 바둑판처럼 반듯하게 구획함

 

2. 촌락문서와 농민생활(교재 73~74)

1) 촌락문서

(1) 통일신라시대 서원경(충북 청주) 근처 4개 촌락의 여러 가지 경제상황을 기록한 문서

(2) 3년에 한 번씩 조사한 촌락의 인구 수, 소와 말, 뽕나무와 잣나무, 호두나무의 수, 논과 밭의 면적 등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음

(3) 농민들을 철저하게 파악하고 관리하여 세금을 잘 거두려는 목적에서 작성함

2) 농민들의 생활

(1) 경제 형편을 고려하여 농민 가호를 9등급으로 나눔

(2) 조용조 부과 : (-벼나 콩 득의 곡물을 징수하는 세금(-16세에서 60세까지의 남자를 대상으로 부과하는 역역과 3년을 기한으로 하는 군역(調-비단이나 삼베 등을 징수하는 것)

(3) 수취 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농민에게 정전(丁田)을 지급하였고(722), 흉년이 드는 해에는 가난한 농민에게 곡물을 나누어 주기도 함

 

3.4. 통일신라와 발해의 문화

1. 불교사상의 발달과 대중화(교재 75~76)

(1) 원효(一心사상, 정토신앙), 의상(화엄사상), 원측(서명학파), 혜초(󰡔왕오천축국전󰡕)

(2) 원효의 정토신앙(극락정토)으로 피지배층 등이 널리 불교를 받아들임

(3) 그밖에 관음신앙(현세에서 고난을 구원받고자 하는 신앙), 미륵신앙(사후에 도솔천에 다시 태어나 구원을 받고자 하는 신앙) 등도 널리 전파됨

 

2. 불교예술의 융성(교재 76~78) : 불국사(다보탑과 석가탑), 석굴암(석굴 사원) - 김대성이 건립

 

3. 유학의 보급과 군자국 인식(교재 78~79)

1) 유학의 발달 : 신문왕(682, 국학 설치), 원성왕(788, 독서삼품과 실시)

2) 유학자의 배출 : 강수(외교문서), 설총(이두 정리), 김대문(󰡔화랑세기󰡕), 최치원(당나라 빈공과에 합격, 󰡔계원필경󰡕과 비문 일부가 전함)

 

4. 융합적인 발해문화(교재 79~81)

1) 발해의 복합적인 문화 : 고구려 문화 + 당의 문화

2) 발해의 유물 : 고분 - 문왕의 둘째 딸 정혜공주의 무덤(고구려의 전통), 문왕의 넷째 딸 정효공주의 무덤(당의 영향을 받은 무덤)

 

3.5. 신라의 동요와 멸망

1. 왕위 다툼 격화와 농민항쟁(교재 81~82)

전국적인 반란 : 지도층 웅천주(충남 공주) 도독 김헌창의 반란(822), 장보고의 반란(841), 농민층 진성여왕 때 원종과 애노의 반란 등

 

2. 지방 호족의 등장(교재 82)

(1) 호족 : 지방에서 군사력을 모아 자위력을 갖추고 스스로 성주 또는 장군이라고 부르는 사람들

(2) 호족은 독자적인 통치 기구를 두어 관리를 임명하고, 자체의 영역을 직접 통치함

 

3. 선종의 수용과 사상계의 변화(교재 82~83)

1) 불교의 종파 : 교종(경전과 교리의 이해 중심), 선종(정신수양-참선 중심)

2) 선종의 유행 : 지방 곳곳에 선종 사찰이 세워지고 선종 승려들이 풍수지리설을 널리 보급함

 

4. 후삼국의 분열(교재 83~84)

1) 견훤 : 상주 출신, 완산(전북 전주)에 도읍을 정하고 후백제 세움(900)

2) 궁예 : 신라 왕족 출신, 양길의 부하였다가 자립하여 송악에 도읍을 정하고 후고구려를 세움(901), 나라 이름을 마진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태봉으로 고침. 스스로 미륵불이라 자처하다가 왕건을 비롯한 신하들에 의해 왕위에서 쫓겨나 살해됨(9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