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독법과 전염병학

미용학, 미용사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3. 병원 미생물의 특성 1

반응형

3. 병원 미생물의 특성 1

 

1절 병원 미생물의 분류 1

 

1. 미생물의 분류 기준


사람이 살아가는 자연 생태계의 미생물은 다양하게 존재한다. 특히 일상생활의
환경 내에서 서식하는데 인체, 물, 공기, 음식, 식물, 동물 등에서 발견된다.
눈에는 보이지 않는 미생물의 존재는 비병원성으로 자연계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그중 일부분은 사람과 동물 등 감염을 일으켜 질병을 유발하는데
이런 미생물을 병원 미생물(pa thogenic m icroorga nism )이라 한다.
병원 미생물은 분류 체계(cla ssifica tion system )의 미생물학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부분으로 지금까지 알려진 총 세균 수는 1,700여 종 이상으로 이들의
완전한 분류 방식은 아직까지는 미흡하지만 여러 학자들을 통해 분류되고 있다.

 

1) 분류학의 목적


분류의 기본 단위이자 자연에 존재하는 유사한 생물 분류의 기초가 되는 집단으로
분류군을 결정하기 위한 편의적인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종의 분류는 형태, 생리, 유전, DNA 염기서열 및 그 외의 구조 등과
같이 이들의 유연관계를 분류한다.

 

2) 분류 단계


생물의 분류 체계는 생물 상호 간의 유연관계와 진화의 계통을 밝히는 데 있으며,
가장 상위 단계인 계(kingdom )에서부터 문(phylum ), 강(cla ss), 목(order),
과(fa m ily), 속(genus), 그리고 기본단위인 종(species)의 7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1-3]

 

3) 분류학의 관련 학자


(1) 린네
스웨덴의 생물학자인 린네(C a rolus Linna eus, 1707~1778)는 근대 분류학의
창시자이며 속명과 종명을 나란히 쓰는 것으로 이명법을 고안하였다.
이명법은 2계 분류 체계를 제시한 것으로 생물을 동물계, 식물계의 2계로 분류하였다.
오늘날에도 생물학의 기본적인 분류체계로 사용되고 있다.

 

(2) 헤켈
1866년 독일의 동물학자인 헤켈(Ernst Ha eckel, 1834~1919)은 생물을
동물계, 식물계, 원생생물계의 3계로 분류하였으며, ‘생태학’이란 말을 처음
사용하였다.
또한 찰스 다윈의 진화론을 확산시켰으며, ‘반복발생설’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3) 휘태커
1969년 미국의 식물 생태학자인 휘태커(Robert Ha rding W hitta ker,
1920~1980)는 생물을 원핵생물계, 원생생물계, 균계, 식물계, 동물계의 5계 분류
체계로 분류하였다.
5계 분류 이전에는 균류가 광합성을 하지 않아도 식물처럼 이동할 수 없다는 점
때문에 식물로 분류되었지만, 세균류와 남세균을 원핵생물계로 분리하고 광합성을
하지 않는 곰팡이와 버섯을 식물계로부터 균계로 분리하였다.

휘태커의 5계 분류 체계

(4) 우즈
미국의 미생물학자이자 생물리학자인 우즈(C a rl Richa rd W oese,
1928~2012)는 1977년 16S 리보솜 RNA의 계통 분류를 통해 새로운 분류군인
고세균을 처음 정의하였다.
생물을 진정세균, 고세균, 진핵생물역의 3역으로 분류하였고, 분자생물학적 정보가
추가되면서 세균과 함께 원핵생물계에 속해 있던 고세균이 세균보다 진핵생물과의
관계가 밀접한 것으로 밝혀져 원핵생물계를 진정세균과 고세균으로 나누었다.
또한 원생생물계, 식물계, 균계, 동물계를 진핵생물역으로 묶어 분류하였으며,
균계는 식물계보다 동물계와의 관계가 가까운 것으로 구분하였다.

3역 6계 분류 체계는 RNA 유전자 서열 비교에 근거를 두어 1977년 RNA 세계
가설을 처음 주장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처럼 다양한 종을 비교하여 관련이 있는 종끼리 묶어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으로
분류 체계는 과학이 발전하면서 계속 변화되고 있다.

 

칼 우즈의 3역 6계 분류 체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