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6 장 혼 례
▣ 학습목표
1. . 주자가례 도입 이전의 혼례의 특징을 고찰한다
2. . 중국의 혼례규범과 다른 우리나라의 혼인관행의 특징을 알아본다
3. . 우리나라에서 관행된 전통혼례의 과정과 그 특징을 살펴본다
▣ 주요용어
- , , , , , , , , , , 서옥제 친영 납채 납폐 육례 사례 대례 전안례 교배례 합근례 신행
3.1. 주자가례 도입 이전의 혼례
1) 서옥제에서 연유된 해묵이 풍습
1) 서옥제
- ( ) 혼인하는 풍습이 먼저 언약으로 혼인이 정해지면 여가 에서는 본채 뒤에 작은 집을 짓고 女家
이를 서옥 사위가 머무는 집 이라 함 ( : ) . 屋
- 날이 저물면 사위가 여자의 집 문 밖에 와서 제 이름을 말하고 무릎 꿇고 절하면서 그녀와 함
께 유숙할 것을 여러 번 간청함.
- 신부의 부모가 이것을 듣고 서옥에서 동숙하도록 허락하고 곁에 돈과 비단을 놓고 자녀를 낳
아 성장한 후에 부인과 더불어 남가 로 돌아옴 , ( ) . 男家
2) [ ] 장가들다 入丈家
- : 혼인절차 남녀가 서로 좋아하여 혼인하기로 합의를 보면 우선 남자가 여자의 부모에게 정중
한 태도로 청혼을 한 후 여자의 부모가 혼인을 허락하면 남자는 장가 를 들어 여자 집에 ( ) 丈家
서 혼례를 올림.
- ' [ ]' ( ) , 장가들다 라는 것은 신랑이 여가 에 와서 혼례식을 올리고 장인 장모와 함께 사 入丈家 女家
는 것으로 바로 고구려의 서옥제에 연원을 둔 서류부가혼의 관행임.
- 이러한 기록은 여자 측의 부담이 남자에 비해 높고 특히 물질적 폐해가 사회문제로까지 심각
해진 오늘날 우리 사회의 혼례 현실과는 현저하게 대조됨.
2) 혼례식과 잔치의 원초적 형태
- : 민간의 혼인 신랑이 장가드는 날 여가에 가면 첫날밤에 촛불을 밝히고 침실에 신부를 넣고
다음날 신랑의 친구들이 무리를 지어 신부 집에 몰려가면 그 집에서 술과 음식을 대접함.
- , ' ' ' ( )' ( ) 신랑 신부의 음식상을 삼일대반 또는 동뢰연 이라고 불렀는데 이것은 의식 에서 同牢宴 儀式
함께 음식을 나누는 것을 중요시하는 세계 보편적인 현상임.
- , 3 유교의 영향을 받기 이전의 우리나라의 혼례는 여가에서 신랑을 맞이하는 의례였다는 점과
일째 공개적인 음식상을 차리고 잔치를 벌이는 혼인의례라는 점이 특징.
3.2. 중국의 혼례 규범과 다른 우리나라의 혼인관행
1) : 육례와 사례 도입된 혼례 규범
- . 중국 주나라의 가족제도를 종법제도라 하는데 이것은 부계적 가계계승을 원칙으로 함
- ( ), ( ), 주의 종법제도 아래 마련된 것이 혼례의 육례로 여기에서 혼례는 납채 납폐 문명 納采 納幣
( ), ( ), ( ) ( ) 6 . 問名 納吉 納徵 親迎 납길 납징 그리고 친영 의 단계로 되어있음
- ( ), ( ), ( ), ( ) 『 』 주자가례 에서는 육례를 좀더 간략하게 하여 의혼 납채 납폐 친영 議婚 納采 納幣 親迎
의 사례 로 하였고 이 중에서 친영례는 끝까지 수용되지 못함 ( ) . 四禮
(1) - 육례 육례의 순서
* ( ) : . 납채 남가에서 중매인을 내세워 여가에 청혼하며 이 때 예물을 여가에 보냄 納采
* ( ) : ( ) . 문명 이어서 신부의 어머니의 성 을 물음 問名 姓
* ( ) : ( ; ) , . 납길 연경 으로 길흉을 점치고 길조이면 여가에 답장을 함 納吉 年庚 四柱
* ( ) : ( ) : 납징 또는 납폐 남가로부터 여가에 선물을 보내니 이것을 혼인 약속의 증거 納徵 納幣
로 삼고 혼서를 교환함 이것이 곧 정혼한 것임 . .
* ( ) : . 청기 며칠 뒤에 남가에서 혼인날짜를 택하여 여가에 어떠한가를 물음 請期
* ( ) : [ ] [ ] 친영 정해진 혼인날 신랑 이 여가에 가서 신부 를 맞이하여 남가에 돌아와서 親迎 男 女
공뢰합근의 혼례를 행하면 성혼이 됨.
(2) - 사례 사례편람 혼례의 네 단계
* : . 의혼 먼저 중매를 시켜 양가를 왕래하게 하면서 여가의 허락을 받아내는 과정
* : . 납채 신랑 측 혼주가 여가에 혼인을 청하는 서식을 보내는 순서
* : 납폐 혼인할 때 사주단자의 교환이 끝난 후 정혼 성립의 증거로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폐물을 보내는 의식.
* : . 친영 신랑이 신부 집에 가서 예식을 올리고 신부를 맞아오는 의례
2) 친영례와 서류부가의 풍습
(1) 한국의 혼례구조와 다른 친영의 의의
- ' ' . 중국의 예서가 제시한 혼례의 핵심은 친영 이라는 절차
- . 우리나라의 전통 혼례는 이와를 달리 신부 집에서 행해짐
(2) 분분했던 서류부가와 친영에 대한 논쟁
- 사대부들은 우리의 혼례를 중국의 혼례규범과 똑같이 일치시키려고 하였으나 민간의 혼례
풍습이 쉽사리 지배층의 의도대로 변화되지 않자 이에 대한 논의가 분분함.
- . 중종 대에 친영례의 실행은 왕실과 사대부가 일부에만 한정됨
- . 실제로 조 안에서도 친영 시행에 대한 논란은 다양하여 크게 세 입장으로 나뉘어 짐
- ' ', 법의 힘을 빌려서라도 친영례를 강행해야 한다는 강경론 우리나라 고유의 서류부가혼속
을 존중하고 친영례의 시행을 보류하자는 신중론 그리고 이 중간에서 친영례의 지당함은 ' ',
인정하나 다만 친영례 실천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유형.
- . 실제로 세 번째의 절충적인 친영 지지론자가 친영례 시행을 주도함
(3) 반친영 이후의 서류부가
- 명종 대에 이르러 친영례를 가례의 원형 그대로 실천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절충된 형태
로 제안된 반친영 을 시행함 ' ( )' . 半親迎
- , 3 반친영은 우리나라의 민속대로 신랑이 신부 집에 가서 혼례식을 올린 후 일 뒤에 신부와
함께 본가에 돌아옴.
- “ 선조대에 들어와서도 최근에 혼인하는 사람들이 고례의 올바른 친영례를 알고 있으면서도
옛 습속인 서류부가의 관행으로 친영례를 제대로 행하지 못하나 앞으로 혼례는 모두 문공 ,
가례를 따르도록 하자 는 계가 올라옴 이에 대하여 왕은 혼례는 입향순속이어서 풍속에 ” . “
따르게 할 것이지 새로 만들지는 말라 고 지시함 왕이 오히려 민간의 풍속을 존중하는 ” →
태도를 보인 것임.
3.3. 실제의 혼례과정
1) 혼인 준비의례
(1) ( ), 혼담 중매인 婚談
- , : 의혼 혼담 남녀가 혼인할 나이가 되어 일가친척들 사이에 혼인 말이 오가면 상대방을 구
하기 위해 서로 의논하고 중매인을 통해 양가의 의사를 알아봄.
- 혼기에 이른 자녀가 있는 집에서는 중매인을 놓게 되는데 이 중매인을 남자인 경우 중신애
비 중인애비 중매제비라고 부르며 여자인 경우는 중신어미 중신할미 또는 매파라고 부 , , , ,
름 규수 및 신랑당사자의 집안 사람됨 형제관계 가업 성씨 친척 등을 수소문할 때 굳이 . , , , , ,
남녀를 가리지는 않음.
- 선을 볼 때는 시어머니나 시고모가 될 사람이 그 집에 찾아가서 신부 감을 만나보기도 하고
' ' . 간선 이라 해서 지나가는 사람인 체 하면서 신부 감의 생김새와 동태를 엿봄
(2) 사주 보내기
- ' ' . 양가가 혼인하기로 결정한 후 약혼의 징표로 삼는 것이 사주 를 보내는 것
- 사주는 신랑 측에서 좋은 날을 택해서 중매인을 통해 보내거나 같은 마을 사람 중에서 결혼
하여 첫아들 낳고 깨끗하고 가정이 좋은 사람을 골라 청혼서와 함께 보내기도 함.
- , 양가에서 일단 정혼하기로 서신을 주고받은 후에 사주를 보내는 지방도 있고 청혼한 후에
사주를 보내는 지방도 있고 곧바로 사주를 보내서 혼인을 정하는 지방도 있음 , .
(3) 택일
- 사주를 받은 답례로 신부 집에서 신랑 집에 택일을 보내는 것이 일반적
- , . 지역에 따라 날받이 연길이라고 함
- 택일은 여자 집에서 남자 집으로 허혼서와 같이 보내나 부득이한 경우 남자 집에서 택일을
보낼 수도 있는데 이를 맞택일 이라 부름 ' ' .
2) 신부집에서 올리는 대례
- , 혼례의 준비단계에서는 중매인을 통하여 혼담이 오고가고 신랑가에서 사주를 신부집에 보내 청
혼하면 신부집에서는 이에 택일하여 답함.
- ( ) . 신랑은 대례 를 올리기 위해 집을 떠나는데 이를 초행이라 함 大禮
- , 신부집에 가서 대례를 올리고 신방을 치른 뒤 신부를 신랑집에 데려오기까지의 과정으로 전안례
교배례 합근례의 순서를 거침 , .
- ( ) 초행을 떠나기 앞서 별고사 부터 시작해서 초행하여 함을 전하고 대례를 올리면 혼인 후 別告祠
의례가 이루어짐.
(1) ( ), ( ), 고사당 문제 손 비비기 告祠堂 門祭
- .( ) 신랑은 혼인날이 되면 신부 집으로 떠나기 전에 조상에 고사를 지냄 고사당 告祠堂
- ( ) . 혼례 날 출발 직전에 조상에게 고유 하는데 형식에 따라 축문을 읽음 告由
(2) 초행
- : . 초행 신랑이 장가들기 위하여 처음 신부 집에 가는 것
- . 신랑이 처음 떠날 때부터 사모관대하고 교자나 말을 타기도 함
(3) , 함 함진 애비
- . 초행에는 함진 애비가 동반하여 함을 갖고 감
- ' ', ' ' ' ', ' ' 신랑 집에서 신부 집에 보내는 함을 봉치 송복 이라고도 하고 혼수 함 홍세미명 이라고도
함.
- ' ' ' ' ( ) ' ' 이 함 속에는 종이를 깔고 혼서지 와 함속 이라는 채단 예물 을 넣고 혼서지를 예장지 라고도
함 예물은 보통 청 홍색의 치마 저고릿감으로 함 . , .
(4) 정방
- 신랑일행이 신부 집 가까이에 이르렀을 때 신부 쪽에서 대반인접으로 불리는 안내를 내보내어 ․
신랑일행을 정방에 모심.
- , , , , , , . 정방은 지점에 따라 반네집 노점 주점 경방청 사처 새처방 좌처 등으로 불림
- . 오늘날로 비유하자면 예식장에 마련된 신랑대기실 여기서 신랑은 휴식을 취하고 예를 올릴 옷
차림을 갖춤.
(5) 전안례
- 혼례는 한문을 잘 아는 마을의 노인 중 복 많고 깨끗한 사람이 진행하는데 이 때 부르는 진행
절차를 홀기 라고 함 ( ) . 笏記
- . 전안례는 하늘에 절하고 부부가약을 맹세하는 절차임
(6) 교배례합근례 ․
- 신부 집에서는 대례를 치를 준비를 해놓고 기다리고 앞마당에 차일을 치고 병풍과 휘장을 둘러
식장을 마련함.
- , , . 이 상을 대례상 친영상 교배상이라고 함
- , 쌀이나 보자기에 싼 암탉과 수탉 용 떡 등은 지방에 따라 다르며 계절에 많이 나는 삼색과일
과 포가 놓여지기도 함.
3) 대례 후 의례
(1) 관대 벗김
- 대례를 올린 후에 신랑신부는 같이 방에 들어가 상견례라 하여 신부의 족두리를 제치고 얼굴을
보이고 신랑은 사처로 나와 옷을 갈아입음 이를 관대 벗김 관대 벗음 또는 개복시킨다 신발 , . , ,
벗음이라고 함.
(2) 신랑의 큰상 받기
- 신랑이 관대 벗김을 한 후 큰상을 받는데 신부 집에서 신랑과 신랑 측 상객에게 올리는 최대의
선물로 이 음식은 몇 가지 맛만 보이고 그대로 싸서 신랑 집에 보냄.
(3) ( ) 신방 新房
- 신부가 상객에게 큰절을 한 후 저녁이 되면 손님이 다 돌아간 뒤 신랑과 신부는 신부 집에 마
련된 신방에서 첫날밤을 맞이함.
(4) 신랑 다루기
- ' 점심때를 전후하여 신부 집의 젊은이나 신부 측 동리사람들과 친척 중의 동년배들이 몰려와
신랑다루기 를 함 ' .
(5) ( ), , ( ) 우귀 해묵이 재행 于歸 再行
- : . 우귀 신부가 대례를 치른 후 처음으로 시가에 가는 것
- , 3 우귀는 신행과 같은 뜻으로 신랑신부가 함께 신랑 집에 가는 것인데 당일우귀 일 우귀 이외
에 일 개월 개월 년 년 우귀 등 다양한 형태가 상황에 따라 선택 7 ,1 ,3 ,1 ,3 .
- ' ' ' 신랑의 내왕을 감당하고 또한 생일과 명절에 신랑과 시부모에게 이른바 정성 옷 이나 세찬
( )', ' ( )' 歲餐 節餐 절찬 과 같은 선물을 보내는 관행을 따를 수 있을 만큼 신부 집의 경제력이 풍
부할 때 더 오랜 기간 동안 해묵이하는 경향이 있음.
- , 신부가 친정에서 해를 묵히는 경우 신랑은 본가와 처가를 왕복하게 되는데 신랑이 처가에 다
시 오는 것을 재행 재행걸음이라고 하고 세 번째 오는 것을 삼행이라고 함 , , .
4) 신랑 집에서의 의례
(1) 신행
- : . 신행 신부가 시가에 영원히 살기위해 가는 것 시가에 가는 신부일행의 행동과 그 과정을
포함하는 개념.
- ' ' . 이 때 신랑이 신부를 맞이하러 갈 때와 비슷한 분리의례 가 신부 가에서 이루어짐
(2) 신부의 큰상 받기
- 신부가 신랑 집에 도착하면 신방에 들여보내 손이 없는 방위에 앉히고 이어서 신부를 위한 큰
상이 차려지고 신부가 이를 물리면 상에 차려졌던 것은 고스란히 신부 집으로 보내지며 이 음
식 역시 골고루 봉게 를 만들어 친정집 동네사람들에게 다시 나누어줌 ' ' .
(3) 폐백
- ' ' . 신부는 큰상을 물린 후 시가의 어른들에게 드리는 첫 인사인 폐백 을 올림
- ' ' 가문에 따라 사당참배를 먼저 하는 경우도 있으며 폐백 올린 이튿날 조상보기 라 하여 사당에
예를 올리는 경우도 있음.
- ' ' 이후부터 신부의 정체성은 시댁 가문을 통해서 확인되는 출가외인 이 되는 것이고 동시에 죽
어서도 시댁귀신이 됨.
(4) ( ) 문안인사회가 ․ 回家
- . 폐백을 올린 이튿날 아침 신부는 일찍 일어나 몸단장을 하고 시부모님께 문안인사를 드림
- , 이를 새벽사관 또는 새벽사광 조석사관이라고 하고 경남에서는 새벽근신 또는 문안절이라고 함.
(5) ( ) 삼일입주 三日入廚
- 3 '3 ( )' . 신행 온 후 일 만에 일 입주 라 하여 신부가 비로소 부엌에 나가 일을 함 入廚
- 부엌에 물을 한 그릇 떠놓고 시작하는데 이는 부엌에 모셔진 가신신앙의 하나인 조왕신에 대
한 의례임.
(6) ( ) 근친 覲親
- : . 근친 시집온 신부가 친정에 가는 것
- 1 , 1 혼인한 후 가까운 날에 갈 때는 빈손으로 갈 수도 있지만 개월 년 후에 가는 경우는 첫 농
사지은 곡식으로 떡과 술을 해 가지고 신랑신부가 함께 가는 것이 일반적.
- 그러나 때로는 신부가 더 오래 쉬다가 올 때도 있는데 시댁에서 돌아오라는 기별이 있으면 친
정아버지가 데려다 주거나 신랑이 데리러 오기도 함 , .
3.4. 전통 혼례의 특성
1) : 민속관행과 가례의 융합 신분별로 차이 나는 가례의 수용
- ( ) ( ), 대부분의 일반 서민층에서는 사당 대신 벽감 이나 지방 조상단지 등으로 대신하였 壁龕 紙榜
고 용어에서도 우리말로 된 민속어가 널리 사용됨 , .
- 일반 서민들은 가례의 껍질을 입힌 채 오히려 고유한 민속관행 속에 가례를 융합시켜 재래의 혼
인 풍습을 지속시켜 옴.
2) , : 귀신으로부터 신랑 신부를 보호 혼례의 주술 행위
- 혼례에는 신혼부부의 행운을 빌며 풍요와 다산을 비는 갖가지 주술행위가 수반되었고 귀신의 영
향을 피하기 위한 다양한 주술 행위도 나타남.
- , 악마의 눈을 피하기 위하여 신부를 가마에 태워 오고 신랑의 얼굴을 사선으로 가린 후 가마 위
에 호피를 덮거나 짚방석을 올리는 것은 악마로부터의 위험이 어느 길로 올지 모르는 까닭에 위
로도 막고 아래로도 막는 것임.
- , , , . 소금 콩 팥 색종이 등을 뿌리는 것도 악마의 영향을 쫓아내기 위한 것
- , , , 깜짝 놀라도록 폭죽을 터뜨리거나 물로 씻거나 불로 태우거나 악마가 날아오지 못하도록 문을
닫거나 굴뚝을 막기도 함 , .
- , . 함진 애비가 까만 칠을 하고 붉은 옷을 입는 것은 귀신을 쫓아내기 위한 주술적 행위임
3.5. 식민지시대 이후의 혼례 변화
1) 일본문화의 침식과 신식결혼식
(1) 신식결혼식과 예식장의 등장
- . 신식결혼식은 개항 이후 서구의 종교와 새로운 시대사조가 들어오면서 나타남
- . 특히 개신교와 천주교의 전파가 배경을 이루고 주로 식자층을 중심으로 시작됨
- ' ' . 당시 신식결혼식과 예배당결혼을 통칭 사회식 결혼 이라 부름 그리고 사회식 혼례를 교회나 절
만으로는 모두 수용할 수 없자 예식장이라는 것이 생김.
- 1920, 30년대에 당시 서울을 중심으로 신식결혼식이 서서히 확대되어 나갔으나 실제로 과도기
적인 양상을 나타냄.
(2) 잔치가 일본식 피로연으로
- . 오늘날 결혼식에서 행해지는 피로연과 답례품의 연원은 일제 식민지시대라는 것을 알 수 있음
- ' ( )', ' ( )', ' ( )', ' ( )' 일본의 혼례 순서는 혼약 결납 입가식 피로 의 네 단계로 이루어 婚約 結納 入嫁式 披露
짐.
- 그러나 우리나라는 본래 혼례식 자체가 모든 사람이 참여한 가운데 공개적으로 이뤄지고 뒤이어
잔치가 벌어짐 그러므로 일본의 피로 와 우리나라의 잔치 는 의례절차에서의 의미와 맥락이 다 . ' ' ' '
름.
(3)「 」 가정의례준칙 도 일제시대의 산물
- 1934 일제 통치기간을 통하여 혼례 변천사에 중요한 사건은 년 조선총독부가 발표한 관 주도의
일방적인 의례준칙 의 발표임 「 」 .
- , 의례준칙 세부사항에서 혼례장소로서 신부가 이외에 신사와 사원 또는 교회당을 제시하였고 혼
례복 또한 조선 복 이외에 일본식의 화복 이나 양복을 제안함 ( ) , . 和服
2) 서구문화의 유입과 혼례 변화
(1) 예식장 결혼식의 보편화
- 1970 . 농촌에서는 년대를 분기점으로 전통혼례가 사라짐
- , 혼인 의례식을 올리는 장소는 이미 여러 곳에 흩어져 살고 있는 산업사회에서 가족 친족집단
이 함께 하는 자리로 가족 이외의 신랑신부와 그 부모들의 직장 동료 학교 선후배 사업관계 , ,
에 있는 사람들 그 밖의 안면 있는 사람들이 각기 다른 곳으로부터 결혼식 참가를 위해 잠시 ,
모였다가 헤어지는 만남의 장소임.
(2) , 빨간 치마 초록저고리와 웨딩드레스
- . 서구문화의 영향은 혼례복의 변화와 혼례과정의 변화를 초래함
- 음양을 나타내는 녹의홍상 즉 초록저고리빨간 치마활옷의 전통 혼례복과 달리 흰 웨딩드레스 ․ ․
로 상징되는 서양 결혼식의 신부는 중세 봉건적 가치를 반영함.
- 개화기에 신식혼례식을 행한 사람들은 주로 선각자들이라고 자타가 인정하는 사람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남성에 대한 여성의 종속을 구조화한 전근대적 서양 혼인의례를 그대로 모방함.
(3) 함 팔기
- , ' ' 혼서지와 신부의 청 홍색 치마 저고릿감의 예물을 보내는 것을 납폐 절차가 우리나라에서는
함보내기임.
- ' ' , 현대에 와서는 함 팔기 의 형식으로 변화되어서 신랑 친구들이 결혼식하기 전날 신부 집에서
벌이는 일종의 놀이마당이 됨.
(4) 결혼부조와 눈인사
- , . 일가친척뿐만 아니라 친구들 또는 직장관계로 아는 사람들까지도 참석함
-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혼례식에 참석하는 하객의 숫자가 마치 그 집안의 위세를 나타내는 지표
로까지도 여겨짐 그러다보니 결혼식 참석의 의의는 혼주와 잠시나마 인사를 나누는 절차가 됨 . .
→ 내가 왔다는 확인절차이니 결국 중요한 것은 눈인사를 나누고 축의금을 전달하는 것.
(5) : 신부입장 신랑에게 딸 넘겨주기
- ' ' . 신부입장은 느린 속도로 웨딩마치 에 맞추어 이뤄짐
- , 신부는 아버지의 손에 이끌려 부케를 들고 눈을 내리 깐 채 양탄자 위 색동으로 깔아 놓은 신
부 길을 따라 흰 웨딩드레스의 자락을 조용히 끌면서 인도됨 , .
- , 신부가 주례석에 가까이 다가오면 신랑은 계단을 내려가 신부를 인도해 준 장인께 인사한 뒤
신부의 손을 잡아 신부를 맞이한 후 주례 앞으로 올라섬.
(6) 양가부모들의 자리와 집안대표 인사
- . 양가 부모를 위한 자리는 중앙을 향해 양쪽에서 마주보게끔 두 개씩의 의자를 놓음
- , . 신랑의 부모는 주례석 왼쪽에 신부의 부모는 주례석 오른쪽임
(7) 예식장식 폐백
- . 신식혼례에서는 폐백이 결혼식 당일 예식장에서 이뤄짐
- ( ) , 핵가족의 증가에 따라서 부모와 장남가족이 별거하는 신처제 가 증가하고 재산 상속에 新處制
서도 출가외인의 관념이 사라져 가는 오늘날 신랑 집에 대한 신부의 통합의례인 폐백은 가족 ,
변화의 양상과 부조화를 이룸.
(8) 사진을 위한 연출
- 신랑신부의 퇴장은 식장 밖으로 걸어 나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박수를 쳐주고 있는 하객들의
앉은 자리를 거의 통과한 이후에 다시 앞으로 움직임.
- : 결혼사진촬영 신랑신부는 이제 의례의 주인공임을 증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사진을 촬영
함 오늘날의 예식장 결혼식에서 신랑신부가 함께 찍는 사진 찍기는 의례의 과정에서 중요하게 .
인식됨.
- . 이어서 결혼을 앞 둔 다음 번 신부후보 친구에게 부케를 던지는 사진이 연출됨
(9) 가상현실에 드러난 허세
- . 신랑신부는 일종의 스타로 분장하며 드라마의 주인공처럼 자신들을 연출함
- 그리고 이를 통해서 신랑신부 당사자만이 아니라 그들의 부모인 혼주들도 대내외적으로 자신의
지위나 부를 드러내는 과시의 기회를 얻게 됨.
- ' ' ' 수요를 창출하고 부추기는 소비시장논리에 따라 다들 이렇게 하더라 는 식의 분명하지 않은 가
상의 원전 에 대한 끝없는 추종과 모방이 이뤄짐 ' .
- 이것은 국적불명의 전통과 격식들을 서로 다른 맥락에서 일종의 산업사회의 소비품목으로 둔갑
시켜 좀 더 자신을 차별화시키고 과시하고 싶은 욕구를 혼례를 통해 분출시키고 있음.
3) 우리나라 혼례문화의 연속과 단절
- 일제시대 즉 20세기 초에 도입된 신식혼례가 근대화의 진전에 따라 보편화되고 상대적으로 구식
혼례는 자취를 감추게 된 결과 예식장에서의 신식혼례 일색으로 전환되어 결국 전통문화는 급속
도로 파괴 변질되어 전통문화의 단절을 경험함 , .
- . 주술적이며 민간 신앙적인 혼례요소와 지연적 공동체의 성격이 상실되고 약화됨
- . 전통혼례의 창조적 계승을 향한 노력을 기울여야 함
<확인문제>
1. ( ) ? 다음 중 친영례 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親迎禮 (08‘ ) 출제
① 친영례에 대한 기록은 중국의 역사책인 삼국지 위지동이전 에 남아 있다 『 』「 」 .
② 친영은 양이 음을 따라야 한다는 음양 원리에 근거해서 생겨났다.
③ 친영강행론자들은 혼례식은 반드시 신랑 집에서 올려야 하며 서류부가를 해서는 안 된다고 주 ,
장한다.
④ 친영강행론과 친영반대론이 대립하면서 성종 때 반친영 제도가 채택되었다 ( ) . 半親迎
2. ? 다음 설명 중 알맞은 것은 (07‘ ) 출제
① 친영강행론과 친영반대론이 대립하면서 성종 때 반친영 제도가 채택되었다 ( ) . 半親迎
② 반친영제는 혼례식은 신랑집에서 하되 서류부가 기간은 첫 자녀 출산까지로 줄이자는 주장이 ,
다.
③ 제사상속에서 제외되면 재산상속에서도 권한이 약화된다.
④ 장자봉사가 일반화되면서 토지의 영세화가 심화되었다.
3. ? 회혼례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09‘ ) 출제
① 회갑 후 주년을 맞이하여 올리는 혼인의례이다 10 .
②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로 의례 중에 만인병이라는 떡을 문중 사람들에게 돌린다 , .
③ 회혼례는 혼례와 회갑연이 결합되어 있는 의례이다.
④ 회혼례가 끝나면 문중 대표가 올리는 헌주를 받는다.
4. ? 『 』 주자가례 에 제시되어 있는 혼례 단계를 맞게 제시한 것은 (07‘ ) 출제
① 의혼 납폐 납징 친영 - - -
② 의혼 납채 납폐 친영 - - -
③ 의혼 납폐 납징 반친영 - - -
④ 의혼 납채 납폐 반친영 - - -
정답 : 1. 2. 3. 4. ③ ③ ③ ②
'한국가정생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가정사, 가정복지사, 가정복지학과 등 한국가정생활사 요점 요약 정리 8. 상례 (1) | 2022.12.26 |
---|---|
건강가정사, 가정복지사, 가정복지학과 등 한국가정생활사 요점 요약 정리 7. 회갑 (0) | 2022.12.26 |
건강가정사, 가정복지사, 가정복지학과 등 한국가정생활사 요점 요약 정리 5. 관례 (1) | 2022.12.25 |
건강가정사, 가정복지사, 가정복지학과 등 한국가정생활사 요점 요약 정리 4. 출산의례와 백일 돌 생일 (2) | 2022.12.24 |
건강가정사, 가정복지사, 가정복지학과 등 한국가정생활사 요점 요약 정리 3. 마을생활 (2) | 2022.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