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가정생활사

건강가정사, 가정복지사, 가정복지학과 등 한국가정생활사 요점 요약 정리 4. 출산의례와 백일 돌 생일

반응형

제 4장 출산의례와 백일 돌 생일 


▣ 학습목표
1. . 출산의례와 출생의례의 의미를 알아본다
2. · . 치성기자 주술기자의 특징을 살펴본다
3. · . 출산의례 출생의례의 과정과 그 특징을 고찰한다

 

▣ 주요용어
- , , , , , , , , 출산의례 관혼상례제 기자 치성기자 주술기자 태 금줄 삼칠일속
1.1. 출산의례와 출생의례의 의미
- .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삶이 시작되는 의례로서 첫 번째 통과의례
- . 관혼상제에는 출산의례가 포함되어 있지 않음
- 우리나라의 관혼상제례는 개인을 위한 통과의례라기보다는 가족집단이 수행해야 할 규범을 중심으
로 하는 의례의 성격이 강함.
- : 관혼상제례 우리사회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한 틀이 아니라 조선시대에 와서 삶의 전범으로 도입된
것으로 중국의 이념을 그대로 답습하는 수준 가례의 공식적 수준에서만 출산의례가 제외된 것 , . →
전통문화에서는 출산의례 중시 예 임신부 금기사항 치성드리는 방법 태를 처리하는 방법 그리고 ( : , ,
해산 시의 주의사항 등)


1.2. : 기자의 종류 자식에 대한 간절한 바람
- . 자녀를 갖고자 기도하는 행위인 기자행위의 기준에 따라 유형화
① 치성을 드리는 사람에 따른 분류 부인 혼자 드리는 치성 부인 이외에 남편 또는 시어머니나 : ,
친정어머니 등이 동반하여 드리는 치성 등
② 치성 드리는 날짜에 따른 분류 일기도 일기도 백일기도 등 : 3 , 7 ,
③ 치성 드리는 장소에 따른 분류 집에서 지내는 집치성 절에서 지내는 절치성 산에서 지내는 : , ,
산치성 해안 어촌에서 지내는 바다치성 등 ,
④ 치성의 대상에 따른 분류 산에 있는 샘 바위 거목 등 : , , ( ) 巨木
절치성은 부처님이나 산신이 대상이 되며 집에서는 가신 이 대상이 됨 , ( ) . 家神

 

1) ( ) 치성기자 致誠祈子
- : . . 치성기자 일정한 대상물을 정하고 남다른 정성을 다하여 수태하고자 하는 행위 보통 산 치성 산
이 많아서 특히 산과 산신에 대한 신앙이 있고 산신과 생명의 원천을 연결시키는 산신 ,
신앙이 있음.
- ( ), , ( , , , 그 외 바다치성 용왕 절치성 집치성 칠성님 부엌에 있는 조왕신 우물에 있는 용왕신 삼신할
머니 등 등 ) .
- ( ) . 치성기자의 하나로 무당에게 의뢰하는 무공 도 있음 巫供

 

2) ( ) 주술기자 呪術祈子
- , . 주술기자는 별다른 사물을 지니거나 별스런 음식을 먹어 그 주술의 힘으로 아이를 얻으려는 것
- . 전통사회의 여러 가지 주술기자 행위
① 금줄을 훔치거나 금줄에 달렸던 고추를 몰래 훔쳐다 다려 먹기
② 삼신상에 올려놓았던 쌀을 훔쳐다 밥을 지어먹기
③ 산모의 월경대를 몰래 훔쳐다 몸에 두르기
④ 어린이의 태를 훔쳐다 밥을 지어먹기
⑤ 아이를 많이 낳은 집의 식칼을 훔쳐다 작은 도끼를 만들어 여자의 베개 밑에 놓거나 속옷에 차
고 다니기
⑥ 아들 삼형제를 둔 집의 수저를 훔쳐서 베개 밑에 숨겨 두기
⑦ 남성의 성기에 비유되는 돌부처의 코를 떼어서 가루로 만들어 먹기
⑧ 비석에 나타나 있는 글자들 중에서 아들과 관련된 한자를 떼어내어 가루로 만들어 먹기
⑨ 정월 보름 남자가 냇가에 가서 징검다리 놓기
⑩ 정월 보름 남자가 길을 고치거나 공동우물 청소하기

 

1.3. 임신 및 출산
1) 임신
- , , 임신을 하게 되면 임신부 자신과 태아를 위해서 음식 또는 행위에 소극적 적극적인 금지행위가
따랐음 임신부의 몸가짐 그리고 임신부가 먹는 음식이 태아에게 직접 영향을 준다고 믿음 . , . →

 

(1) 음식금기
- . 임신부의 음식금기는 전국적인 공통점이 있음
① 오리고기를 먹으면 아이의 손발이 오리 모양으로 붙는다고 하여 금함 ,
② 토끼고기를 먹으면 아기 눈이 빨개진다 하여 금함 ,
③ 상어고기는 아기의 피부가 거칠어진다고 금함 ,
④ 개고기를 먹으면 아기가 빨리 죽는다 하여 금함

⑤ 돼지고기를 먹으면 아기의 피부가 거칠고 부스럼이 난다고 하여 금함
⑥ 상가에서 가져온 음식을 금함
- . 음식금기의 대부분은 산모보다 태아를 위한 것 즉 비정상적인 아기를 낳을 우려가 연상되는 음
식을 금함 이렇게 음식물이 바로 유사한 형태의 결과를 가져온다고 생각하는 것을 유사감염 →
( ) ( ) . 類似感染 類感呪術 또는 유감주술 이라고 함

 

(2) 행위금기
- . 금기 중 가장 간단하고 상식화되어 있는 것이 앉고 듣고 보는 데 좋은 것을 가리는 것
① 말고삐나 체를 넘으면 개월 만에 아이를 낳는다고 하여 금함 12
② 불을 건너뛰는 것을 금함
③ 담을 뛰어 넘으면 도둑놈을 낳는다고 금함
④ 음식을 바가지에 담아 먹는 것을 금함
⑤ 빗자루를 깔고 앉는 것을 금함
⑥ 시루나 독과 같이 무거운 것을 드는 것을 금함

 

- 가족 전원이 지켜야 하는 행위금기
① 상가 에 가면 아기가 잘 운다고 하여 금함 ( ) 喪家
② 이장 등을 보는 것을 금함 ( ) 移葬
③ 부엌이나 부뚜막을 고치면 아이가 언청이가 된다고 금함
④ 벽에다 못을 치면 아이 몸에 구멍이 생긴다고 금함
⑤ 대나무를 깎으면 젖이 적게 나온다고 금함
⑥ 문을 고치거나 바르면 난산을 한다고 금함

 

- , 또한 임신부는 자기 집에서 바깥출입을 삼가야 하며 특히 해산 시에는 마을을 떠나야 하는 경우
도 있었음 임신부를 일상생활에서 그리고 일반사회로부터 유리시키는 분리의례 의 . ( ) → 分離儀禮
의미를 가짐.

 

(3) 태교
- : , . 태교 임신부가 태아에게 좋은 영향을 주기 위해 말과 행동 마음가짐 등을 조심하는 것
- 19세기 동학사상은 사람이 한울을 모신다는 것은 어머니가 태아를 모시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보
았음 태아는 사람 속에 핀 우주의 꽃이며 우주로부터 비롯된 열매이기 때문에 태아를 모시는 . , , →
것은 키움이라고 함.
- . 현대에도 태교의 중요성은 점차 강조

 

(4) ( ) 태 점 胎占
- : . 태 점 태아가 아들인지 딸인지 태아의 성을 알아보기 위해 치는 점
- 태 점의 예
① 산모의 나이가 짝수이고 산달 이 월 이전이면 아들을 낳는다 [ ] 5 . 産月
② 산모의 나이가 짝수이고 산월이 단오 이후이면 딸을 낳는다.
③ 산모의 나이가 홀수이고 산월이 월 이전이면 딸을 낳는다 5 .
④ 산모의 나이가 홀수이고 산월이 단오 이후이면 아들을 낳는다.

 

2) 출산
- , 산모가 진통을 시작해서 해산이 끝날 때까지의 시간으로 산모와 아기에게 출산은 귀중한 순간이
며 통과의례의 가장 뜻있는 과정 , .
- , 여기에서는 병원에서의 출산이 보편화되기 이전 가정에서 이루어지던 전래의 해산풍속과 분만과
정 태 처리 등을 살펴보기로 하겠음 , ( ) . 胎

 

(1) ( ) 산실 과 삼신할머니 産室
- , , . 산기가 있기 전에 해산 일을 예측하고 기저귀 아기 배내옷 아기를 받아 줄 조산원 등을 준비
- . 흔히 첫 아이는 친정에 가서 낳으면 명이 길고 좋다고 하였음
- , 신생아에게 입히는 옷은 삼저고리 또는 쌀깃 강보라고 하는데 흰 목면으로 겹으로 지어 실로 고
름을 달았는데 실은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음 , .
→ 쌀깃 강보 은 아기가 태어나서 처음 몸에 닿는 물건이 되는데 초 일이 되기까지 아기를 싸주 ( 3 〕
는 부드러운 천을 말함.
- ( , ) 해산을 도와주는 할머니를 삼할머니 보통 시어머니나 친정어머니 경험 있는 할머니 등
- ( ) ( ) 옛날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아기 낳는 일을 통괄하여 맡고 있는 신을 삼신 또는 산신 이 三神 産神
라고 불렸음.

 

(2) 해산
- ( ) 해산 당시에 먼저 이루어지는 것은 탯줄 자르기와 해독 解毒
- 난산을 당하면 옛날에는 주술적 방법으로 대처
① 산모에게 남편의 허리띠 둘러 주기
② 산모에게 남편의 옷을 덮어 주기
③ 남편의 이름을 쓴 종이를 해산모의 발바닥에 붙여 주기
④ 순산한 산모나 다산부 또는 쌍둥이를 낳은 부인의 허리띠나 치마를 구하여 산모에게 ( ) 多産婦
덮어 주기
⑤ 순산한 산모나 다산부 또는 쌍둥이를 낳은 부인을 불러와 산모의 배를 문지르거나 허 ( ) 多産婦
리를 잡아 주도록 하기

 

- 난산 시 산모에게 특정한 것을 먹이는 것
① 메밀대나 수숫대를 삶아서 그 국물을 먹게 하기
② 계란에 참기름을 섞어 먹게 하기
- , . 또한 산실 밖에서 남편이나 식구들이 특별한 행위를 하는 방법
① 우물에 가서 돌을 전부 엎어 놓기
② 쥐구멍을 터놓기
③ 방의 고리를 풀고 문들을 다 열어 놓기
④ 서랍을 전부 빼어 놓기
⑤ 지붕의 용마루 걷기

 

(3) ( ) 태 胎
- ( ) 3 아기가 나오면 태 를 가름 탯줄을 잡고 아기 쪽으로 훑은 후에 엄지손가락과 검지를 분의 胎 →
2 . 정도 벌린 곳을 실로 묶고 가위로 잘라 내어 삼신상 앞에 놓음 태는 짚에 싸거나 종이에 →
싸서 삼신상 아래에 놓지만 태를 귀하게 다루는 사람은 일진 에 맞추어 태를 좋은 방위 , ( ) ( 日辰 方
位) . 에 가려 놓음
- 3 3 . 태는 보통 일째 되는 날 또는 일 이내에 처리
- 우리나라의 전통 태 처리법
① 태를 물에 띄워 버리는 법 태를 짚에 싸서 물에 던지는 방법으로 바닷가나 강가 마을에서 가 : ,
능.
② 태를 태워버리는 법 손 없는 방위를 가려 짚과 겨를 피우고 그 위에 태를 놓아 타게하였고 남 : ,
은 재는 물에 띄워 버렸음.
③ 태를 땅에 묻는 법 방위를 보고 태를 땅에 묻음 강원도에서는 작은 단지에 태를 넣고 술을 부 : .
은 후 땅에 묻었다가 년이 지난 후 태가 녹아 노란 물이 된 것을 약으로 썼다고 함 5 6 . ~
- ( 128 ) 왕실에서는 특히 태실 교재 그림 이라 하여 왕손의 태를 소중하게 다루었음 이 모든 것은 →
태를 생명의 원천으로서 소중하게 여긴 문화의 소산임.

 

(4) 아기 목욕시키기
- .( 태반 처리와 함께 행한 것이 아기 목욕 교재에 복숭아와 자두와 매화 뿌리 끓인 물로 했다는 기
록 있음)
- .( 전통사회에서 복숭아나무는 다산력과 잡귀를 물리치는 벽사의 상징 꽃이 잎보다 먼저 피고 열매
가 많이 열리기 때문)
- " , 허준의 동의보감 에도 아침마다 아이를 씻기는데 동쪽으로 뻗어 간 복숭아 나뭇가지 달인 물 『 』
에 씻어 아기가 놀라는 것을 예방 한다 는 내용이 있음 " .

 

(5) 금줄
- : , ( ) . 금줄 해산한 집이라는 것을 알리고 부정 한 외부인의 출입을 금지하기 위해 금줄을 침

- : , , 아들 빨간 고추 숯 백지 등
- : , , , 딸 숯 미역 푸른 솔가지 백지 등
- , ( ) 금줄은 분명한 분리의례로서 외부로부터 집안과 아이를 차단하며 특히 상가 사람이나 부정 喪家
( ) . 不淨 한 사람의 출입을 금하는 의미 있음
-  보통 7일 간
- , 금줄은 재료가 짚이며 새로운 짚으로 왼새끼를 사용하는 점이 전국 공통된 특징 짚은 토지를 →
의미하며 청정한 식물이고 생명을 부여하고 존속시켜 주며 다산성 의 열매를 맺는 식물 , , , ( ) 多産性
임 왼새끼는 귀신을 쫓아내는 힘을 갖고 있다고 믿었음 . + .

 

3) 출산 후의 조치
(1) 출산 후의 치성들이기
- . 치성에는 할머니 또는 산모가 중심이 되고 남자는 대부분 참석하지 않음 또한 출산에 대한 감
사와 장수를 비는 주술적 행사를 갖기도 함.
- ( ) , 치성행위는 산신 또는 삼신 에 대한 치성이 주 치성을 드리기 위하여 삼신상을 차리는데 흰 →
밥과 미역국과 정화수로 차리고 애기시루 삼신시루 시루떡 를 쪄서 상 옆에 놓음 ( : ) .
- 애기시루의 떡은 밖으로 나가면 아기의 복이 줄어든다는 속신이 있었기 때문에 가족끼리만 먹
음 이런 행위도 출산 후 금기구역과 금기기간을 분명히 하기 위한 장치로 해석할 수 있음 . . →

 

(2) ' ' 아기의 병 예방 조처와 첫국밥
- : 아기의 병 예방 조치 태를 가린 아기는 포대기나 부드러운 헝겊 즉 강보에 싸서 뉘어 놓은
후 따뜻한 물에 부드러운 천이나 풀솜을 적셔서 온몸을 닦아주고 나서 입에 감초를 달인 물 또 ,
는 미나리즙 삼을 달인 물을 숟갈로 세 번 떠 넣어 주었음 , .
- : , 첫국밥 삼신상에 놓았던 쌀과 미역을 내다가 밥과 국을 끓인 다음 다시 이것을 삼신상에 놓
고 빈 다음 산모에게 주었는데 이것이 첫국밥 , .
- 아기의 수명장수를 기원하는 뜻에서 쌀은 아홉 번 씻고 미역은 접거나 끊지 않은 장곽으로 끓이
는 것이 관례.

 

(3) 수유
- : , , , . 젖을 많이 나오게 하는 음식 삶은 돼지 족과 쇠족 붕어 대추 곶감 등을 고아 먹음
- 3 . , 첫 수유의 시기는 대체로 출산하고 일이 지나서 그 전에는 밥물꿀물설탕물 등을 주거나 또는
․ ․
다른 사람의 젖을 아기에게 대신 줌.
- 젖을 많이 나오게 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습속
① 돼지 족 또는 쇠족미역국상추쌈
․ ․
② 붕어를 깨끗한 물에 삶아 그 물을 먹음
③ 세 골짜기 물을 병에 넣어서 삼신께 젖 많이 나게 해달라고 축원

 

4) 출산 후 의례
(1) (( ) 삼칠일속 三七日俗
- 7 , 14 , 21 아기가 출생한지 일이 되면 초이레 일이 되면 두이레 일이 되면 세이레라 하며 행사를
가짐.
- 7 , 이 때 일이라는 기간을 기준으로 해서 행사가 이루어지는 것은 우리나라의 오래된 민속으로
불교 수용 이전에 있었던 칠성신앙에서 유래된 것.
- (49 ) 경제적인 여유가 있는 집일 경우 산모의 조리기간을 길게 하여 칠칠일 일 의 금기기간을 지키
게 하였음.
- : , , 삼칠일 기간에 금기하는 식품 닭고기 개고기 돼지고기 등이고 상가 집 음식은 부정 탄 음식
으로 생각하여 먹지 않았음.
- 이 기간에는 가족은 물론 이웃 주민도 출입을 삼가고 특히 부정한 곳에 다녀온 사람은 출입을
절대 금함.

 

(2) 이름 짓기
- 우리나라에서 이름을 지어 부르는 습속 중에 특이한 것은 이름 이외에 별개의 이름을 지어 어린
나이에만 불렀음.
- .( ) 이름은 백일 경에 짓는 것이 보통 유아사망률 때문
- . 귀한 집 아이에게 천한 아명을 붙이기
① 예 강아지 개똥이 돌이 바위 멍텅구리 바보 쇠똥이 말똥이 오쟁이 실겅이 등 : , , , , , , , , ,
② 작명 이유 너무 천해서 염라대왕 귀신도 관심을 갖지 않아서 무병장수할 것이라는 논리에 : ,
서 나온 것.
③ 이런 이름은 족보에 오르지 않고 아이 적에만 사용함.
- . 기대했던 아들이 아닌 딸을 낳았을 때의 이름 또는 아명
① 정서를 표시하는 이름 섭운 서운 섭섭 유감 등 : , , , .
② 이제는 딸을 그만 낳았으면 좋겠다는 의미의 이름 필순 말이 말순이 등 : , ,
③ ' ' : , . 남 자가 붙은 이름 기남 후남 등 언뜻 보기에는 남자의 이름 같지만 실은 딸에게 이런
이름을 지어주어서 아들의 터전 이요 다음에는 아들 일 것이라는 기대를 걸며 지은 이름임 ' ' ' ' .
④ 다음번에 아들 낳기를 고대하는 아명 가망 망생 확실이 등의 아명 : , , .
⑤ 계속된 딸들의 출산을 막고 아들을 보게 해달라는 소망의 아명 딸막이 꽁지 등 : , .

 

1.4. , , : 백일 돌 생일 출생의례
1) 백일
- 100 . 아기가 출생한 날로부터 일째 되는 날
- 백일 날 아기를 위하여 베풀어주는 잔치를 백일잔치 삼칠일까지의 행사가 아기를 보호하고 →

산모의 회복을 위한 의례라고 한다면 백일은 갓난아기만을 중심으로 한 아기 본위의 첫 경축 ,
행사.
(1) 100 완전한 수 날
- 100 , 우리나라에서 이라는 숫자는 큰 수이며 많은 수 완전수라는 뜻으로 해석
(2) , 고모가 깎아 준 배냇머리 깜짝 놀라는 엄마
- 백일이 지나면 위태로운 고비는 다 넘긴 것으로 생각하고 백일을 성대하게 축하 백일 날에는 →
특히 출생 후 처음으로 배냇머리를 고모가 깎아 주며 엄마가 보고 놀라면 좋다고 함 , .
(3) 백 개의 떡을 백 사람에게
- . 이는 아기의 명이 길도록 하기 위함 백 사람의 수명을 사서 아이에게 이어준다고 하였음 →
- , 백설기는 장수를 뜻하고 정결 신성함을 나타내며 수수팥떡은 부정을 막고 부정 살을 제거하는
주술적인 뜻이 들어 있음 인절미는 단단하라 는 뜻이 있고 송편은 속이 차라고 속을 넣은 것과 . ‘ ’
뜻이 넓으라고 속이 빈 송편을 만들어줌.
- , , 백일 떡을 받은 이웃과 친척은 반드시 선물 선물은 주로 쌀 실 돈 같은 것 이러한 선물 → →
은 수복을 기원하는 뜻이 담겨 있음.

 

2) 돌
- 돌은 아기가 출생하여 처음 맞이하는 첫 생일
- ( ) ( ) , 원래 돌이란 말은 주 회 와 같은 뜻으로서 일 년의 기간을 단위로 반복되는 경우에 사용하 周 回

는 말
- : 돌잔치 아기가 출생하여 돌을 맞이한다고 하는 것은 성장의 초기과정에서 완전히 한 고비를 무
사히 넘긴 계기가 되므로 이를 축하하게 된 것이 풍습으로 정착.

 

(1) 돌 뵘
- : ( ). 돌 뵘 어린 돌잡이에게 남녀에 따라 화려한 옷을 해 입히는 돌 옷 돌 복
- , 남자아이에게는 보라색 또는 회색 바지에 분홍이나 색동저고리를 입힌 다음 그 위에 색동마고
자 남색 조끼 색동두루마기를 입혔고 전복에 홍사 띠를 두르고 복건을 쓰고 타래버선을 신기 , ,
고 염낭을 채웠음.
- 여자아이의 경우는 색동저고리에 빨간색 긴 치마를 입히고 조바위를 씌웠으며 타래버선을 신기
고 염낭을 차게 하였음 이러한 옷은 주술적인 의미를 가짐 → .
- 아동의 의복과 관련된 주술적인 의미
① 아기의 첫 외출 시에 북어 머리를 옷섶에 달고 나가기
② 외가에 갈 적에 숯이나 재를 얼굴에 발라 밉게 보이게 하고 나들이하기
③ 외출 시에 고추를 꽂고 가기

④ 전염병이 유행할 때 아이의 옷섶에 자물통을 달아주기

 

(2) 돌떡
- 돌떡은 아기의 명과 복을 기원하는 의미
- , , , 돌떡으로는 백설기 수수경단 인절미 송편 등

 

(3) 돌잡이
- : ( ) ( ) 돌잡이 시주 또는 시아 라고 부르는데 돌상 위에 차려 놓은 것 중에서 아이가 먼저 試周 試兒
집은 것을 보고 아기의 장래를 예측하고 아기를 기르는 데 참고함.
- , , , , , , , , 돌상에는 기본적으로 떡과 과일을 놓고 남자 아이의 경우는 활 실 책 붓 벼루 먹 두루마리
쌀 대추 등 여자 아이의 경우는 쌀 먹 종이 실 국수 자 칼 가위 등 , . , , , , , , , .

 

3) 생일
(1) 생일생신차례
- : 생일 해마다 돌아오는 태어난 날
- 생일에는 떡과 미역국을 끓이고 이웃과 친척이 한자리에 모여 축하
- : . 생신차례 세상을 떠난 조상의 생신에 지내는 제사 유교의 가례에는 위배되나 민간에서 지속
적으로 생신차례를 지내왔음.

 

(2) 도시 생일의례의 변화
- . 최근 가장 일반적인 생일음식은 케이크와 미역국
- . 시골에서 생일잔치는 주로 어른들의 생일잔치가 중심이었고 아이들은 돌잔치가 고작 집안어른
의 생일이 되면 일가친척과 이웃들을 아침에 청하여 아침상을 겸하여 생일잔치.
- , 그러나 도시에서는 생일이 아침잔치에서 저녁잔치로 바뀌었을 뿐만 아니라 어른들 잔치에서 아
이들 생일잔치로 바뀜.
- , . 의례의 변화되는 모습 상업화되는 모습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음

 

<확인 문제>

1. ? 다음 중 금줄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08‘ ) 출제
① 금줄은 통합의례의 한 표식으로 새로운 가족의 탄생을 축 하하는 장식의 의미로 대문 위에 ,
달았다.
② 딸인 경우는 빨간 고추 숯 백지 등을 달아둔다 , , .
③ 아들인 경우는 숯 미역 푸른솔가지 백지 등을 달아둔다 , , , .
④ 금줄은 반드시 왼새끼를 꼬아 만든다.
2. ? 금줄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0‘ ) 출제
① 벽사의 의미로 묵은 짚으로 만들었다.
② 금줄은 분리의례의 한 표식으로 부정한 외부인의 출입을 금지하기 위해 대문 위에 달았다 , .
③ 잡귀의 침입을 피하기 위해 오른쪽으로 새끼줄을 꼬았다.
④ 아들 딸 구별 없이 빨간고추숯백지 등을 달았다 , .
․ ․
3. ? 백일과 관련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06‘ ) 출제
① 여아의 경우 쌀 먹 종이 실 국수 자 칼 가위 등을 백일상에 놓는다 , , , , , , , .
② 단단하게 잘 성장하라는 의미로 송편을 한다.
③ 백일된 자녀의 장수를 기원하고자 백설기를 한다.
④ 남녀 구분 없이 화려한 백일뵘을 입힌다.
정답 : 1. 2. 3. ④ ② ③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