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가정생활사

건강가정사, 가정복지사, 가정복지학과 등 한국가정생활사 요점 요약 정리 3. 마을생활

반응형

제 3장 마을생활 

.


▣ 학습목표
1. . 마을의 특성과 마을의 특징에 대해 살펴본다
2. . 마을의 변천사에 따른 마을생활의 특성을 고찰한다
3. . 마을의 조직에 대해 알아본다
4. . 마을의 협동과 제재에 대해 고찰한다

 

▣ 주요용어
- , , , , , , , 마을 동성촌 동계 동약 촌계 재지사족 향도 두레조직

 

3.1. 마을의 성격
1) 마을은 전통 민속의 종합전시장
- : . 마을 사람들이 모여 사는 사회생활의 단위
- 마을은 인간생활의 기초집단인 가족 또는 집들이 모여서 정치경제사회문화의 통합을 이루고 있는
․ ․ ․
지역집단으로 마을은 골 동리부락취락 등의 용어로도 사용됨 ( ) . 谷 ․ ․ ․
- , 하나의 자연촌락 즉 마을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
① 동제 를 공동으로 하는 범위 ( ) 洞祭
② 동리매 또는 동리추방이 이루어지는 지역
③ 흉사가 있을 때 애도를 나타내는 범위

 

2) 마을 공동체의 성격
- , 마을은 사람들이 함께 모여 사는 삶의 공간인 만큼 이해와 성격이 서로 다른 사람들이 공존하기
위하여 마을민들은 나름대로의 운영 논리나 규약 규범 그리고 문제 해결의 지혜 같은 것을 마련 , ,
함.
- 마을의 네 가지 성격
① 지리적 환경 및 경제적인 조건을 공유하는 지연체
② 동질성과 특수성을 갖는 생활문화 공간
③ 행정체계 상 군현 면 리동촌으로 연계되는 최말단 사회조직 - -
․ ․
④ 혈연과 신분의 구성체

 

3.2. 마을의 형태
- : , , , 입지 조건에 따른 분류 산간 마을 평야지역 마을 해안마을 섬 마을
- : , , , , 생업에 따른 분류 농업마을 어업마을 반농 반어마을 상업마을 특수 수공마을
- 사회신분적 지위에 따른 분류에 따른 분류

① 반촌 양반들이 살던 마을 :
② 민촌 상민들이 살던 마을 :
③ 기타 역촌 점촌 : ,

 

- 주민들의 씨족 구성에 따른 분류
① 동성촌 동성마을 동족부락 집성촌 집성마을 한 성씨나 두 성씨가 모여 사 ( ), , , ( ), : 同姓村 集姓村
는 마을 모든 반촌이 동성마을이었던 것은 아니지만 한 성씨나 두 성씨가 모여 사는 경우가 .
많음 주로 양반의 집안은 한곳에 오래 살고 그곳에서 친족이 번성했기 때문 . .
② 각성촌 각성마을 비동족부락 여러 성씨가 모여 사는 마을 , , :


3.3. 마을의 변천사와 마을생활
1) 조선전기 마을의 모습
- ( ) 당시 거주 이전의 자유가 보장되었던 사족 들은 서류부가의 혼인풍속에 따라 외가나 처 士族
가의 연고지를 따라 농장을 개설하면서 새로운 촌락을 이룩함.
- ( ) ( ) 그 당시 그 지역의 토착세력인 토성이족 들은 읍사 를 중심으로 강력한 사회경 土姓吏族 邑司
제적 기반을 갖음.
- 16 특히 세기 이후 자연촌이 급속도로 성장되면서 마침 이 때는 집약농법 에 근거하여 소농민
경영이 발전하는 시기가 됨.
- ( ) 조선전기의 마을 주민 구성은 대체로 내외친족이 동거하면서 소수의 사족 양반 과 다수의 평
민천민으로 구성됨
.

 

2) 농지의 저지대 확산과 촌락변화
(1) 재지사족의 위상 강화와 마을생활
- 16 , 마을은 세기 이후 둑과 제방 저수지 개발 등으로 농경지역이 평야와 저지대로 급격히 확
산되면서부터 발달함.
- . 특히 세력이 우세한 사족마을이 중심을 이룸
- 평야 저지대로 농지가 확산되고 집약 농법이 발달하여 생산력을 증대시키면서 집촌화가 가능
하게 됨 이들 집촌들은 결속력을 강화하여 더욱 광역화하는 추세임 . .
- [ ] 사족들을 배경에 토대를 둔 중심마을들 은 지역생활과 경제공동체로서 주변의 자연촌 洞里

들과 공존하면서 신분과 경제력에서 보다 하위에 있던 주위 마을들을 통치 관할함.

 

(2) 경지면적의 확대와 마을의 확산
- . 경지 면적의 확대는 주로 평야저지대의 확산 과정을 거치면서 이루어짐

- 16 20 25m 마을의 입지 조건에 따라 약간의 편차는 있지만 대체로 세기의 경우 해발 에 입지 ~
하던 거주면이 점차 평야 지대로 이동하여 세기에는 정도 세기에 이르러서는 17 15m , 18 19

10m . 정도의 해발고도에 형성됨

 

(3) : 마을 조직의 발달과 집촌화 동계동약촌계 ․ ․
- 농업 생산의 토대가 되는 농지의 확대과정은 그를 주도한 마을이나 세력들이 그 이후 마을 운
영에 지배적인 역할을 함.
- ( ) 5 6 ( , , 리 의 재편과정에서 사족의 주거지역을 중심으로 그 산하에 개의 자연촌들 골 곡 촌 里 ~
등의 속방 부속 마을 이 있었고 이들 속방들은 거의가 상민 천민으로 구성됨 [ : ]) , , . 屬坊
- 이러한 자연촌들은 사족들의 관념 속에서만 속방이었을 뿐 마을 자체의 운영문제는 스스로의
전해 내려오는 자생적인 조직을 통하여 소화해 냄 촌계류 조직 . ' ( )' → 村契類

 

3) 동족마을의 형성과 발전
- 양반 가문의 동족기반 강화와 그로 인한 동족 마을의 형성은 조선후기 전체적인 마을 구성이나
마을 간의 관계에 커다란 변화를 야기 시키는 요인.
- 동족 마을은 친족적 연대가 강한 반면 타 성씨나 비 동족에 대한 폐쇄적인 성향이 강하여 이러
한 동족마을이 일반화되면서 조선후기 향촌사회의 마을 구성 모습은 크게 변화됨.

 

(1) 동족마을의 형성
- : . 동족마을 동성마을 또는 씨족마을이라고 함
- 동족마을은 대체로 하나의 지배적인 동성동본 집단이 특정 마을의 주도권을 가지고 집단적으
로 거주해 온 마을.
- . 동족마을은 대체로 적장자 중심의 가부장적 종법체계에 기반을 둠
- ( ) 조선 건국 이래 사족들의 주거이동이나 정착과정과 연관하여 흩어져 있던 산촌 들이 점 散村
차 성씨를 주축으로 혈연적으로 모여 사는 집촌 으로 새롭게 변모 ( ) . 集村

 

(2) 가부장제의 강화와 조선후기 문중활동
- 종가를 주축으로 가문의 지위를 유지 존속시키려는 의지가 문중의 조직화 내지는 동족마을의
형성함.
- . 동족마을은 종가를 중심으로 결속하고 이를 통해 사회경제적 특권을 유지 존속하고자 노력함

 

4) 조선후기 마을의 분화와 분등
(1) 재지사족들의 향촌지배권
- : , 조선후기 마을의 변화를 가져온 요인 농지의 확대와 친족 체제의 변화 그리고 이와 관련되는
동족마을의 형성과 마을민의 의식이 반영된 마을조직의 변화 국가의 향촌 통제 방식 등 , .
- 16 , 세기까지는 사족들이 마을에서 일단 자율성을 지녔지만 사족지배체제가 한계에 직면하면서
중앙정부가 추진했던 면리제나 공동 납체제 같은 통치방식의 변화 역시 마을의 구성과 운영체계
를 급격히 전환시키는 요인이 됨.

 

(2) 재지사족들의 향촌 통제력 약화와 족계 운영
- , 국가의 향촌 통제와 부세정책이 강화되면서 대지주 혹은 중소지주인 재지사족들의 공동이해와
마을 지배는 관철되기 어렵게 변화됨.
- 이 시기에는 재지사족들의 향권에 대한 집요함이 사라지고 향안질서가 무너져 오히려 친족 결속
력 강화를 배경으로 문중활동이 확대되었으며 그 문중 권위의 상징으로 문중서원 사우 가 남설 ,

됨.

 

(3) 중앙정부의 향촌 지배 강화와 마을 분화
- . 사족들이 중심이 된 동계동약 조직들은 부세의 단위로 변화함

- : 조선 후기 부세체계의 두드러진 특징 부세가 토지를 중심으로 집중 일원화되는 추이와 총액제
( ) . . 공동납제 를 채택함 또한 최말단의 부세 단위로서 촌락을 염두에 둠
- . 납세액과 부담량에서 잠재되었던 갈등과 문제점들을 표출시키게 된 계기가 됨
- , , 공동 노동조직으로서 두레가 성행하게 되고 하층민들이 민주적으로 운영하는 동회를 조직하고
여러 가지의 목적계들이 일반화됨.
- , 촌락의 분화는 외적으로 촌락의 수량을 증가시킨 것도 되지만 내적으로 보면 각각의 촌락들이
지녔던 공동체적 기반과 촌락 주도세력의 변모를 의미함.
- 대표적인 마을의 분화와 분동의 유형
① 산곡이나 계곡의 마을들이 저지대 평지의 농지를 확대하면서 경작인들의 마을이 생겨 나는
경우
② 동족 기반을 가진 마을에서 분가하거나 농지가 있는 인근지역으로 이주하여 새 마을을 이룬 ,
경우
③ 부세 문제나 마을 주도권을 둘러 싼 갈등으로 분동하는 경우

 

3.4. 마을조직과 마을생활
1) 마을조직의 기원과 계통
- : . 촌계류 조직 촌락 농민이 주축이 된 자생적인 생활공동체
- . 촌계류로 불리는 마을 조직은 촌락 구성원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개방적인 조직임
대동계 같은 마을조직이나 당제나 농악조직 같은 민속제의와 놀이문화 또는 공동노동의 전통적 , ,
관행인 두레조직 등.

 

2) 조선전기의 촌락조직들
- : , 조선전기의 마을조직 주로 지연혈연적 배경이 강한 마을의 계나 고유한 민속의식을 주관하고
생활공동체의 기능을 수행하던 향도 음사 등에서 확인할 수 있음 ( ), ( ) . 香徒 淫祠
- : . 향도 조선전기의 전형적인 마을공동체 조직

 

(1) 향도
- : . 향도 삼국시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고려전기까지만 해도 불교신앙 결사체의 성격을 유지함
- . 『 』 『 』 고려사 의 향도와 이수광의 지봉유설 에 나타나 있음
- . 향도조직에 대해 지배계층은 부정적으로 인식함 조선 초기 중앙의 성리학자나 재지사족들에
게 향도는 그다지 환영받지 못하는 조직임.
- 16세기에 이르면 향도는 종래의 불교신앙조직의 성격을 완전히 상실하여 이념적인 측면보다
는 기층 촌락민의 생활문화 전반에 걸친 공동체조직으로 기능함.
- ' ' ' ' ' . 그 결과 향도들의 모임을 동계 또는 동약 과 유사한 개념으로 인식

 

(2) 동계동약과 촌계
- : . 동계 마을 구성원 사이의 조직 규약으로 족계동약이라고도 함
- , 고려 말 조선 초 사족을 중심으로 시작된 동계류 조직은 본격적으로는 사족 중심의 신분제적
질서가 강화되고 지주제가 발전을 보이기 시작하는 세기의 산물임 16 .
- , 사족들의 동계류 조직은 촌락을 관념적으로 지배하는 상위조직이며 그들보다는 신분과 사회
경제적인 측면에서 하위에 있던 촌락민들을 그들 아래에 두고자 함.
- 동계의 성격상 구성원의 자격과 가입 규정절차규약이 엄격한 편이었고 이들은 새롭게 재지
․ ․
기반을 마련하여 가는 유식층의 결사적 성격이 강하여 이웃간의 유대와 학문적 성향이나 동문
의식 그리고 연령이나 지역적인 연결을 도모함 , .

 

3) 양란 후 조선후기 상하합계 마을조직의 변화
- : . 상하합계 사족 층이 촌락사회 내에서의 상하민 질서를 재확립하고자 만듦

- . 양란 이후 기존의 촌락과 촌락민들은 거의가 상하합계 형태의 동계조직으로 변화함
- , 이앙법 과 직파법 뿐만 아니라 광작 을 통하여 생산량이 증가되고 그로 인하여 확보된 경제적

- ' ' . 시간적 여유는 두레 와 같은 공동노동조직의 운영을 충실하게 할 수 있게 함
- . 또한 이것은 곧 지주층의 참여와 간섭을 배제하여 자작소작 농민들의 지위를 강화시킴

 

4) 촌락의 분화와 촌계 두레 조직의 분화
- 조선후기 촌락 분화의 특징은 촌락의 수량적 증가와 더불어 그들이 지녔던 공동체적 기반과 촌
락 주도 세력의 변모임.
- , 사족들의 지배조직인 동계와 촌계 두레조직 및 기타 목적계 조직들도 각기 가지는 역할과 기능
을 변화시킴.
- 촌락의 분화과정에서 사족들의 동계동약 조직은 관념적인 형태로 남고 영향력의 범위는 소위

- 본동본리에 한정되고 나머지의 경우는 오히려 촌계류의 조직들이 보다 실제적으로 자연촌 단위
의 운영을 주도함.

 

3.5. 두레로 상징되는 마을문화
1) 두레의 조직과 조직력
(1) 두레의 조직
- : , 두레조직의 범위 큰 마을은 몇 개의 두레가 결성된 경우도 있고 작은 경우는 아예 없거나 이
웃 마을과 합두레를 짜는 경우도 있으나 대개 명의 두레꾼이 확보되면 조직은 가능 10 50 . ~
- 두레는 마을에 거주하는 청장년으로 일정한 노동력을 가지고 이를 공인받으면 간략한 신입 절차
만으로 두레에 참여함.
- 두레의 조직 구성
① 영상과 좌상 노령의 감독 및 지도 고문 :
② 우상 문서잽이 공원 유사 영상과 좌상을 보좌하거나 각종의 보조역을 함 , , ( ) :
㉠ 보조역인 우상 좌상을 보좌 :
㉡ 공원 밥공원과 논공원으로 구분 :
㉢ 밥공원 식사조달 :
㉣ 논공원 두레패가 동원되는 대상 농지의 조건 구분 :
③ 총각대장 총각대방 실제적인 두레패의 지휘자 = :

 

(2) : ' ' ' ' 입사식 두레 가입례 와 신입례
① 두레의 가입례

- 두레는 노동력을 단위로 결성되는 공동체 조직이었던 관계로 가입 과정에서 노동력의 수준을 점검하는 일정한 심사 절차가 있음.
- ( ) : 두레의 대표적인 가입례 들돌 들기 加入禮
② 두레의 신입례
- : 두레의 신입례 신입자들이 주로 술이나 가벼운 안주로 대접하는 것으로 이를 진세턱이라고
함 이 신입례는 두레에서 한 사람의 동등한 노동력으로 인정받는 절차이자 성년식 의 통과의례 . ' ' .
- , 들돌들기와 신입례는 두레 조직의 세대교체를 겸하여 생산력을 고양시키고 구성원 사이의 연대
를 목적으로 함.

 

2) ' ' ' ( )' 호미씻이 와 두레 기 旗
(1) 호미모듬
- : . 호미모듬 두레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에 하는 의식
- 두레꾼들이 농청에 모여 역원을 선출하고 공동의 조직을 민주적으로 결정하고 작업을 준비하는
날 각각 자기의 호미를 한 개씩 농청에 모아 거두는 대동 의식임 , ( ) . 大同
- , 2 , 2 ' 대개 호미는 첫 두레일까지 걸어두는 것이 관례였고 그 시기는 대개 월 초하루 혹은 월의
머슴날 임 ' .

 

(2) 호미걸이호미씻이
- : 1 7 15 호미걸이 년 농사가 실제로 마무리되는 월 일을 전후하여 행해지는 두레 최고의 축제로
호남지역에서는 호미씻이 라고도 하는데 이는 농사가 끝나 호미를 씻는다는 의미임 ' ' , .

 

(3) 두레기
- : , , , , , , 두레기 농기의 일종으로 지역별로는 용당기 용덕기 덕석기 용술기 서낭기 대장기 농상기
등으로 다양하게 부르며 농자천하지대본 신농유업 등의 글자와 용 ' ( )', ' ( )' 農者天下之大本 神農遺業
의 그림이 그려짐.
- , 두레의 움직임이 있기 전 풍물을 올려 먼저 고사를 지내고 일터에도 기를 세워 두며 두레일을
옮길 때도 기를 앞세우고 길군악을 침.

 

3) 두레에서 배우는 모듬살이 지혜
- ' ' ' ' . 두레회의 는 두레굿 의 제의와 결부된 대동 회의로써 제를 끝낸 후 보통 음복과 함께 이뤄짐
- 2 1 , 두레회의는 월경에 농사 준비회의를 하여 회의를 통해 년 농사의 대소사를 결정하였는데 그
내용은 두레의 재조직 역원 선출 신입례와 신참례 농사 순서 결정 두레 셈의 기본원칙 합의 , , , , ,
품앗이와 품삯 결정 호미 모듬 의례준비 등임 , .
- , , , ( , ) 두레 농사 후의 회의는 한 해의 결산 상호부조 마을 살림 마을의 대소사 공사 길닦기 풀베기
해결 등임.

- . 의사결정은 민주적인 방법으로 진행함
- ' ' 특히 전통 마을생활의 지혜 중에서 가장 큰 덕목은 두레 조직이 모두가 함께 살아가는 모듬살
이의 지혜이자 공생 의 지혜라는 것임 ( ) . 共生

 

3.6. ( 制裁) 마을의 협동과 제재 
1) 마을의 협동
(1) 동성마을과 혈연관계
- , 동성마을의 인간관계는 동성조직 내부에서는 종손문장유사 등의 조직 질서와 항렬의 높낮이
․ ․
대소가 관계 연령의 위계질서를 이루면서도 각 집의 독립성은 강하여 수평적이고 대등한 성격 ,
이 유지됨.
- 씨족성원의 통혼관계를 세심하게 따져서 조상의 관직이나 학벌 등 지체가 대등한 타성을 찾아
통혼함 이른바 혼반 을 형성하여 서로 혼인관계를 맺음 . ' ( ) . 婚班

- 결과적으로 부계씨족의 거주권과 인척들의 거주권이 중복되는 경향이어서 이러한 혼인의 그물망
은 지역사회에 커다란 힘으로 작용함.

 

(2) 각성마을과 이웃관계
- , 각성마을은 신분을 과시하는 문물이나 씨족조직과 같은 제도적 조직이 마을 안에 없었고 선조
가 점유했던 농토를 계승하지 못한 그들은 적어도 해방 전까지는 지주나 자작농보다 소작농 아 ,
니면 자소작농이 많았음.
- 각성마을은 연령이나 거주기간 그리고 경제적 능력 등이 한 마을 안에서 더 많은 영향력을 발
휘.
- 각성마을은 개인적인 능력이나 봉사정신 등이 마을을 규제하는 힘이 되고 리더십이 되는 경향이
높음 기능주의적 . →
- . 각성마을은 동내혼면내혼군내혼등 인접지역과의 통혼이 압도적으로 많아 자기중심적
․ ․
- . 각성마을은 근린협동에 비중을 두고 있음

 

(3) 마을내 자생적 협동체계
① 농촌사회에서 이루어지는 마을 단위의 협동
- 마을가기와 같은 부담 없는 일상적 교제
- 현금용구 등을 빌려 주기

- 잉아엮기재해방지질병시의 문병 등 생산 외의 여러 가지 생활면의 협동 ․ ․
- 금품혹은 몸 부조 등 혼상 때의 부조와 그 운영
- ( ) ( ) 세시의 운영동제 동회 공동오락기우제 등의 운영과 참여 洞祭 洞會 ․ ․ ․
- ( ) 혼인장례회갑 등을 위한 계 등의 특수 관심사에 관한 협동 ․ ․

부역품앗이두레보 등 생산을 위한 협력 활동 ․ ․ ․ ( ) 洑
② 두레와 품앗이
- : . 두레 농민들이 농번기에 농사일을 공동으로 하기 위해서 부락이나 마을단위로 만든 조직
- : 1:1 품앗이 개인들이 로 하루하루를 단위로 하여 노동을 교환하는 것으로 노동의 대가로는
현물이나 화폐로써 임금을 지불하지 않고 받은 품 노동 에 대하여 다시 품으로써 ' ( )'
갚는 일종의 호혜적인 노동의 교환임.
③ 두레와 품앗이 차이점
- , 두레의 경우 마을의 공동체적인 구속력이 가입을 강제하는 데 반하여 품앗이의 경우에는 개
인적인 자의에 따라 자유롭게 조직됨 두레가 공동체적인 것이라 한다면 품앗이는 개인적이거 .
나 소집단이어서 주로 친지간이나 이웃간에 짜여지는 게 보통임.
- 1 두레가 년을 통하여 볼 때 농번기 중에서도 가장 바쁜 모심기와 김매기를 중심으로 하여 비
교적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지는 데 반하여 품앗이는 그 시기와 계절을 가리지 않고 거의 모든 ,
일에 일시적으로 행해짐.
- 작업의 종류를 비교해 볼 때 일반적으로 두레는 논벼를 재배하기 위하여 관개수리모심기김매
․ ․ ․
기 등의 벼농사지역에서 주로 관행되는 데 비하여 품앗이는 논농사나 밭농사를 가리지 않고 ,
자가 노동력이 부족한 모든 일에 걸쳐 행해짐.
- , 두레에는 대개 조직의 임무를 맡아보는 역원이 있고 농기와 농악이 있으며 식사를 공동으로
할뿐만 아니라 공동의 잔치를 가짐으로써 마을공동체의 연대의식과 결속력을 더욱 강화함 이 .
에 반하여 품앗이는 그러한 조직이나 기능은 물론 농악도 수반하지 않 음.
④ 부조관행
- ' ' ' ' : . 우리 마을의 일 은 나의 일 부조는 사회적경제적인 교환수단이며 협동의 한 방법임 마을

주민들은 개인에 우선하여 집단으로서의 마을 을 먼저 생각하며 그 집단의 관습에 적극적으 뺳 뺴 ,
로 순응하려는 경향이 두드러짐.
- ' ( )' : ' 들여다보는 예 현물부조현금부조 부조는 큰 일 에 소요되는 쓰임새를 충족시켜 주 禮 →
․ 뺴
는 수요 공급의 한 수단 오늘날에도 이웃들이 부조를 하는 들여다 보는 예 는 여전하지만 . 뺳 뺴
한국전쟁 년 월 일 년 이후에 농촌 마을의 부조는 현물부조와 현금부조를 병행하 (1950 6 25 - 1953 )
였고 년대 이후 현물부조는 줄고 현금부조가 늘고 있음 이러한 현상은 시장이 발달하여 , 1960 .
현금으로 제수나 일반 물품을 언제나 구입할 수 있게 된 데 그 원인이 있음.
- : . 호혜성시혜성 부조 마을에서는 받은 만큼 갚는다는 호혜성의 원리가 작용함

 

2) 마을의 제재
(1) 주먹다드미멍석말이화지개 ․ ․

- : 향약 향약은 마을내의 형사 사건에 대하여 수령의 재판을 거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질서를
유지하고 교화하기 위한 자치제도임.
- , : 멍석말이 덕석몰이 짚으로 엮어 만든 멍석에 말아서 노인들의 지시에 따라 물을 끼얹으면서
태 질 함 ( ) . 笞
- : 화지개 부녀자가 간통을 하거나 남자가 부녀자를 겁탈하거나 강간했을 때 적용시켰던 제재 방
법.
- , 창피와 수치감을 줌으로써 죄를 뉘우치게 할 뿐 아니라 마을의 다른 사람들에게도 감히 그런
범행을 하지 못하도록 경고하고 예방하였음.

 

(2) 출보출향
- : ( ) ( 출보와 출향 어떤 마을은 패륜행위를 저질렀을 경우 훼가출향 또는 훼가출송 毁家出鄕 毁家
出送) . 이라 하여 그 사람의 집을 헐어 없애고 마을 밖으로 내쫓음 마을의 공동이익에 위배되는
행위를 하거나 죄 없는 마을 사람들을 때렸을 경우에는 일체의 친교와 교환관계를 단절시킴으
로써 제재를 가함.
- 이러한 마을공동체의 집단 제재는 마을 사람들이 동일한 사회의식에 의하여 상호규제하는 관계
임.
- 마을의 공동체 규범이 구속력을 가지는 근거
① 개인의 규범과 공동체 규범이 미분화된 상태로 남아 있기 때문
② 마을의 공동체 규범이 가족의 유교적 규범과 미분화된 채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
③ 행동과 의식의 개인적 영역과 공동 영역이 아직 미분화된 채로 남아 있기 때문
④ 마을사람들의 우리 라는 의식 때문 ' '
⑤ 개인의 다양성이나 이탈이 허용되는 범위가 매우 적기 때문
⑥ 전통사회의 수치문화가 마을 사람들에게 가하는 심리적 압박이 국가의 형벌보다 오히려
더 무섭게 느껴지기 때문
⑦ 마을 공동체의 규범을 지지하는 상호 의존성이 강하기 때문

 

3.7. 산업화와 마을 생활의 변화
- , 산업화의 여러 요인들은 전통적인 마을사회의 조직이나 주민들의 생활태도 가치관념 등에 변화를
요구함 씨족집단이나 동성마을은 산업구조의 변화 인구의 도시집중현상 등으로 부계혈연 중심의 . ,
지연 집단적 성격을 그대로 지탱하기 어렵게 되고 있음.
- , 오늘날 이촌자 탈농자의 증가에 따른 농촌사회의 변동에 따라 동성마을 주민들의 선조에 대한 감
정은 물론 각성마을 주민의 농토에 대한 애착도 퇴색됨 , .
- 특히 도시로 이주한 동성마을의 성원들은 과거 선조중심의 부계혈연적 결속보다 자기중심의 친족
관계로 결속되는 경향까지 띰.

 

<확인문제>

 

1. ? 다음 중 품앗이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08‘ ) 출제
① 개인들이 노동의 대가를 노동으로 갚는 일종의 호혜적인 노동 교환을 뜻한다.
② 삼국시대부터 있었던 불교신앙의 결사체를 말한다.
③ 상부상조하면서 공동으로 농사를 짓던 농민들의 대표적인 개방적이고 민주적인 조직을 뜻한다.
④ 노동력 수준을 점검하는 일정한 심사 절차가 있다.
2. ? 전통사회의 마을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0‘ ) 기출
① 조선 후기에 보이는 공동납제는 향촌사회 질서를 사족 중심으로 재편시키는 기능을 하였다.
② 동성마을은 근린협동이라는 기능적인 통제에 의해서 생활이 체계화 되었다.
③ 동계는 양란 이후 사족층이 마을사회 내에서의 상하민 질서를 재확립하려는 의도로 조직한 것

이다.
④ 각성마을은 폐쇄성 평동성을 특징으로 한다 , .
3. ?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용어는 (09' ) 기출
㉠ 상부상조하면서 공동으로 농사를 짓던 농민들의 대표적인 조직
㉡ 가입과정에서 노동력 수준을 점검하는 일정한 심사 절차가 있음
① 계 ② 향도
③ 품앗이 ④ 두레
4. ? 우리나라 마을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07‘ ) 기출
① 각성마을은 대체로 이동이 없고 폐쇄적인 것이 특징이다.
② 조선 초기 마을들이 본격적으로 발달하게 되는 것은 세기 이후 농경지역이 평야와 저지대로 16
확산되면서부터이다.
③ 촌계류로 불리는 마을 조직은 사족지배체제의 발전과정에서 정착된 지배층 중심의 조직이다.
④ 동성마을은 근린협동이라는 기능적인 통제에 의해서 생활이 체계화 되었다.

 

정답 : 1. 2. 3. 4. ① ③ ④ ②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