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가정생활사

건강가정사, 가정복지사, 가정복지학과 등 한국가정생활사 요점 요약 정리 2. 친족생활

반응형

제 2 장 친족생활  

▣ 학습목표
1. ( ) . 우리나라에서 성 의 사용이 시작되고 확산된 과정을 알아본다
2. . 족보 발간과정의 시대적 변천을 살펴본다
3. . 씨족집단의 형성과 친족조직에 대해 살펴본다
4. . 친족집단의 기능에 대해 알아본다
▣ 주요용어
- , , ‘ ’ ‘ ’, , , 족보 씨족 골 과 족 항렬 문중 촌수법

 

2.1. ( 姓) 성 사용의 시작과 확산 
1) ( ) 삼국시대 지배층부터 사용하시 시작한 성 姓
- . 성이 우리나라에서 처음 사용된 것은 삼국시대임
- , , , 고구려의 주몽은 고씨 백제의 시조 온조는 부여씨였고 신라의 시조인 혁거세는 박씨 탈해는 석
씨 알지는 김씨를 각기 성씨로 삼았다는 이야기가 있음 , .
- . 우리나라에서는 중국문화의 영향으로 성을 쓰기 시작
- . 일반인들은 함부로 성을 칭할 수 없었음

 

2) 신라 말부터 확산되기 시작한 성의 사용
- , 10 . 성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한 것은 신라 말 고려 초의 세기 전반
- ' ( )' 지역 명칭 본관 은 신라 말과 고려 초 이후 전국의 각 지역마다 여러 개의 성씨가 있게 되 本貫
면서 성씨는 지역과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되었고 신라 말의 혼란기를 거치고 전국을 통합한 고려
정부는 수많은 지방 세력들의 성을 국가적 차원에서 파악하고 정리하였음.
- . 시간이 흐를수록 성의 사용은 보편화됨

 

2.2. 족보와 친족
1)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족보의 기능
- ( ) ( ) ( 내외 조상의 세계 와 족파를 증빙하는 자료로서 호적과 호구단자씨족세계도족도 內外 世系 族 ․ ․ ․
圖 政案 ) ( ) . 정안 가보가첩가승 등으로 불리는 고문서 형태의 족보들이 있었음 ․ ․ ․

- 고려시대의 족보의 기능 : 고려시대의 종실과 귀족 공신 그리고 고급관원의 내외 자손들은 과거
와 벼슬살이를 위해 자신의 가계와 신분을 증빙하는 근거로 족보를 만듦 양변의 혈통과 재산의 .
유래를 소급하고 추적하는 데에서 세계도 팔고조도 족도 등을 작성함 ' ' ' ( )' ' ' . 八高祖圖
- , 고려시대는 친손 외손을 구별하지 않았고 조선전기의 가족과 상속제도 역시 서류부가혼 자녀균

분제자녀윤회봉사를 특징으로 함 .

 

2) 족보 편찬의 목적
- 17 . 족보편찬이 급증한 것은 세기 후반임
- 17세기 후반에 임진왜란병자호란으로 인해 신분질서가 해이해지는 반면 문벌의식은 더 높아졌

고 새로운 족보가 쏟아져 나왔음 , .
- . 상민과 천민들에게는 양반이 되는 방법의 하나가 바로 족보를 가지는 것임
- . 당시에 족보를 가진다는 것은 그 자체가 양반임을 의미함
- 조선후기에는 족보가 없으면 상민으로 전락하여 군역을 부담해야 하기에 상민들은 양반이 되려고
관직을 사기도 하였으며 호적이나 족보를 위조하여 새 양반이 되는 경우가 많았음 , .

 

3) 조선시대 족보편찬 체제의 변화
- , 15 , , 우리나라의 족보는 편찬체제는 첫째, 15세기 전반 이전의 보첩류 둘째 조선전기 족보류이며 셋
째 세기 후반 이후의 조선후기 족보류임 , 17 .

 

(1) 15세기 전반 이전의 보첩류
- : , , 보첩류 본인을 중심으로 부계와 함께 모계 조모계 증조모계와 그들의 외조모계 및 처내외조
계 등을 추적 계보화한 것 , .
- . , 보첩류는 후기의 족보와 이질적임 다만 직계 내외조상의 세계 그리고 부족모족처족의 삼족과
․ ․
본인을 중심으로 주로 내외 양계조상의 세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옆으로 방계의 족파는 제외 ,
됨.
- : 세계도와 족도 가첩류로써 어디까지나 본인의 혈통 유래를 추적한 것으로 당시 자녀균분 상속
제와 관련한 내외조업의 상속범위와 대체로 일치함.
① 세계도 본인을 기준으로 하여 종적인 조상세계를 계보화한 가계보 형태 : .
② 족도 본인을 기준으로 하여 횡적으로 자녀와 내외손의 파계를 정리한 것 : .

 

(2) 조선 전기의 족보류
- 2 15 16 조선전기를 대표하는 대족보는 세기의 안동권씨성화보 와 세기의 문화유씨보 『 』 『 』
- : , 『 』 안동권씨성화보 의 특징 조선 전기의 족보에는 아들과 딸 친손과 외손이 동일하게 수록되
- , . 고 친손과 마찬가지로 외손의 외손 또 그 외손까지도 차별하지 않고 기재함

- 이 시기의 족보는 조선후기의 족보나 오늘날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족보와는 내용이 크게
다름.

 

(3) 조선후기 족보의 체제
- , 아버지의 혈통을 중심으로 하는 친족제도가 확립되었고 여성의 시집살이가 일반화되면서 후손이
없으면 반드시 양자를 들이고 장남을 중심으로 재산과 제사의 상속이 이루어짐 , .
- , 2, 3 , 양자가 일반화되고 아들이 중심이 되면서 외손은 점차 소략하게 취급되어 대에 그치거나
아예 사위만이 족보에 오를 수 있게 축소됨.
- , , 아들을 앞세우는 선남후녀 방식으로 족보에 기재하고 처계 및 조상의 제삿날 묘소의 위치 등이
덧붙여짐.

 

4) : , 조선후기 족보의 왜곡상 성과 본관 고치기 가짜족보
- 조선후기에 이르러서는 성이 없는 천민 층이 양인화
되면서 성을 새로 갖게 되는 층이 더욱 증가함.
- 족보는 성과 본관의 역사를 기록하고 정리한 것이
아니라 변화된 최종적인 결과만을 수록하고 있을 뿐임 , .
- : 가짜 족보 상당수의 족보는 시조를 오히려 조작윤색

하거나 성과 본관을 고치고 바꾸어 동성동본의 사람들 ,
을 혈연적인 사실관계로 계보화하고 있음

 

5) 일제시대 이후의 족보의 변화
- 명문 가족들의 족보발간이 더 활발해졌고 또한 북한지방과 신흥세력들에 의한 족보 창간도 많았
음.
- , 일제 때 간행된 족보는 각 성관이 성을 얻게 된 유래와 조상세계 관직 등이 사실의 고증 없이
조작되어 사실과 어긋남.
- 광복 이후에 간행된 족보들은 각 시도의 공공도서관 족보실에 소장되어 있는데 대부분의 족보는

충분한 고증을 하지 않고 원형이 변질된 것과 성관과 조상세계를 조작한 것들이 많음.

 

2.3. 친족원의 종류와 친족용어의 변천
- 친족 : 혈족을 주축으로 하여 인척 중에서 긴밀한 접촉을 유지하고 있는 사람들을 지칭함 즉 부
계의 친족만이 친척은 아니며 어머니로 이어지는 모계도 친척이고 결혼하였을 경우 남편이나 부인으로 이어지는 사람들도 친척임.


1) 친족원의 종류
- ( ) : ( ), , . 삼족 친족 종족 모족 처족을 합하여 일컬음 三族
- ( ) : , 사족 삼족에 아버지의 모족 즉 아버지의 외가 진외척을 추가하거나 인척의 인척이 포함되 四足
며 삼족에 진외척 인척의 인척을 모두 포함하였을 때 오족 이라고 함 , , ( ) . 五族
- , , . 친척은 친족 외척 인척을 합한 것
- ( ) : , , 일족이당제 우리나라의 친족제도는 일족이당제로 친족을 종족 모당 처당으로 구분 一族二黨制
하여 일컫는 것으로 삼족을 동등한 위치에 놓는 것이 아니라 부계친족
을 중심으로 한 친족제도를 표시한 것.

 

2) 친족용어의 역사적 변천
(1) ' ' ' ' 신라시대의 골 과 족
- , ( ) 『 』 『 』 삼국사기 삼국유사 등의 사료와 각종 금석문 등에 나타난 친족용어에서 족 이란 용어가 族
대체로 골 과 동의어이거나 골품에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음 ‘ ( )’ . 骨
① 아들친손딸사위외손이 모두 왕위를 계승할 수 있음
․ ․ ․ ․ .
② 왕위를 계승한 사람은 아들딸사위친손외손의 차별이 거의 없이 성골 또는 진골이라고 함
․ ․ ․ ․ .
③ 왕과 왕비 및 이들이 낳은 자손이면 친손외손의 구별 없이 모두 골이 될 수 있음
.
- . 족은 왕의 아들딸사위친손외손의 범위와 동의어이거나 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
․ ․ ․ ․
- ' ' . , 족 은 동성친이성친을 구별하지 않고 사용됨 즉 조상의 입장에서 보아 친손과 외손을 모두 지칭
하는 용어임.

 

(2) ' ' 고려시대의 족
- ( ) : , ( ) 족 에 관한 용어 고려사 고려사절요 그리고 각종 묘지 등의 자료에서 사용된 친 族 墓誌 『 』 『 』
족용어는 족 이 이성 의 친족을 의미하는 경우와 동성 의 친족을 지칭하는 경우 모두 ( ) ( ) ( ) 族 異姓 同姓
에 사용됨.
- ( ) : ( ) 종 에 관한 용어 종족이 동성친과 이성친을 구별하지 않은 채 사용되었고 동종 은 동성 宗 同宗
친을 가리키는 용어와 사손 또는 본손 을 의미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사손에는 남자뿐 ( ) ( ) 使孫 本孫
만 아니라 여자도 포함되었음 그리고 친친족친속친척속 등의 용어는 어느 것이나 가족 내지 동 .
․ ․ ․ ․
성친이나 이성친을 구별하지 않는 친척의 개념과 일치함.

 

(3) 조선시대의 부계친족
- 18 : 세기 이전 혈연관계나 인척관계에 있으면 모두 족이라고 지칭함 조선시대의 친족용어 중 →
족은 남편 쪽이거나 처 쪽을 불문하고 친족관계에 있으면 동성친이나 이성친을 구별하지 않고 모
두 족 으로 표현함 ' ' .

- 18 : 18 ( ) 세기 이후 부계친과 모계친에 대한 용어를 구별함 세기 이후에 나타나는 제족 의 → 諸族
족이나 문족 은 부계친만을 의미하고 세기 이후의 일반 입양 대상자는 이미 부계친만으로 ( ) 18 門族
한정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입양 협의 대상자인 친족 이나 문족 은 부계친 만을 가리키는 것임 , ' ' ' ' ' ' .

 

2.4. 씨족 집단의 형성과 친족조직
1) 족보의 발간과 씨족의 형성
(1) 씨족의 형성
- 고려시대와 조선전기의 특징
① 족보 기재
- 아들딸을 출생순서대로 남녀 차별 없이 모두 기재

- . 친손과 외손 모두 기재 외손에 대한 인적사항도 친손과 마찬가지로 상세히 기록
- 서류부가
② 양자 아들이 없어도 양자를 들이지 않음 :
③ 상속 자녀균분상속제 아들과 딸 사위 또는 부계의 조상 혹은 친손 과 모계의 조상 : . ( ), ( )
( ) 혹은 외손 의 차별이 없음
④ 묘지명 친손과 외손을 모두 기재 :

 

- 조선후기의 특징
① 족보 기재
- ( ) 자녀의 출생순위별로 기재하던 것이 선남후녀 의 순위로 남녀의 서열차별화 先男後女
- 외손의 기록 범위 축소
② 양자 아들이 없는 경우 가계 계승을 위한 양자 증가 :
③ 종가사상 대두에 따른 항렬자 사용범위 확대 ( ) 宗家思想
④ 상속 장남 우선 :
⑤ 제사 외손봉사 감소 :

 

(2) 대동항렬자의 사용
- : . 항렬자 같은 세대인 사람의 이름 두 글자 중 한 글자는 같은 자를 사용하는 것
- , 항렬자의 사용은 종족내의 세대를 표시함으로써 종족인에 있어서 동배 또는 존속 비속을 뚜렷하
게 하려는 취지에서 나온 것이며 종족내의 질서와 깊은 관련이 있음 , .
- ( 고려시대의 항렬자 사용은 가족보다 넓은 범위의 부계혈연친이 지속적으로 공통의 항렬자 대동항
렬자 를 사용하게끔 변화함 ) .


2) 부계 친족조직
(1) ( ) 당내 집안
- : ( ) . 당내 고조 할아버지를 정점으로 그 자손을 구성원으로 하는 집단을 부를 때 쓰임 高祖
- : . ( ) 8 당내친 당내에 포함되는 친족 부계의 계통으로 이어지는 형제들이 동고조 촌의 범위 同高祖
를 정하여 집단을 이룩함.
- ( ) 당내는 동족조직 중에서도 특수한 집단성을 가지며 제사를 함께 모시고 이른바 본종 유복 本宗
친의 범위에 속함.
- 당내의 하위집단
① 부종 아버지의 제사를 위하여 그의 자식들이 모이는 집단 ( ) : 父宗
② 조종 할아버지의 제사를 위하여 자손들이 모이는 집단 ( ) : 祖宗
③ 증조종 증조부의 제사를 위해 모이는 집단 ( ) : 曾祖宗
④ 당내 고조할아버지의 후손이 모이는 집단 :

 

(2) ( ) 문중 종중
- : 5 문중 당내가 오세즉천을 하면 대조의 제사는 시제로 모셔지게 되는데 이 시제를 하여금 조직
된 집단.
- : 문중의 구성원 당내와 달리 원칙상 성과 본을 같이하면 누구나 구성원이 될 수 있으나 대체로
- ( ) . 문중은 유명한 선조를 정점으로 하여 그 자손들이 일단의 파 를 형성함 派
- 문중의 구분
① 대문중 동성동본집단의 씨족 전체 :
② 종 족 혈연지연의 집합체를 의미하는 중시조를 중심으로 하는 집단 :

③ 소문중 파시조를 중심으로 하는 집단 :

 

(3) 친족집단의 기능
- : 조상의 제사 조상의 제사는 조선시대의 문중이 담당한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숭조사상의 고취
를 목적으로 함.
- : 유교적 혈연질서의 수립과 유지 유교적 혈연질서를 수립하고 유지하기 위한 내용에는 항렬
과 연령의 존중 종손과 문장에 대한 존경과 예의 동종간의 , ,
화목 덕업상권 과실상규 등이 포함됨 , ( ), ( ) . 德業相勸 過失相規
- . 길흉사에 상호 협조하는 경제적 기능
- : 흉사 질병수재화재장례 등
․ ․ ․
- : 길사 과거급제나 혼인 등
- 특히 장례에 있어서의 협동은 씨족 고유의 기능으로 동족이 갖고 있는 많은 공동재산은 대부분
조상의 제사에만 소비하였음.
- 우리나라의 동족은 대부분의 상호 교류가 형제집단이나 당내집단까지의 범위에 한정된 것으로 볼 수 있음.
- . 조상의 사회적 지위가 세습됨

 

2.5. 친족범위와 친족호칭
- , , , , 친족의 범위는 같은 민족 같은 시대에 있어서도 가문이나 사는 지역 거주지의 거리 나이와 계층
전통적인 가족주의 사상의 보유도 사회적 지위 성별 등의 여러 요인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음 , , .

 

1) 친족의 범위
(1) 친족의 구분과 촌수법
- : . 촌수법 친족 간의 원근을 정하는 계산법
- 친족계산법은 자기를 기준으로 수직선상에 부조부증조부고조부 등 존속을 위에 자손자증손자
․ ․ ․ ․ ․ ․
현손자 등 비속을 아래에 놓고 부와 자를 일등친 으로하여 촌 이라고 함 ( ) 1 ( ) . 一等親 一寸

 

(2) 현대의 친족간의 관계와 법적 친족범위
- 17 , . 우리나라는 세기 이후 인위적인 족보를 과신하고 부계혈족부계친만을 지나치게 중시함

- , , 현실생활에 있어서는 자기를 중심으로 하여 친족 인척 외척의 세 방향으로 폭넓은 교섭이 이
루어지고 있으며 근래에는 이른바 핵가족화의 경향으로 외친 이른바 인척과의 교섭범위는 , ( ) 外親
더욱 확대됨.
- , 1991 이와 같은 전통문화의 맥락에서 남녀의 평등 자유사상이 보편화되어 감에 따라 년에 이루
어진 가족법 개정에서는 친족범위의 규정에서 부계친 과 모계친 의 차등이 철폐되 ( ) ( ) 父系親 母系親
었고 동시에 부계친 과 처계친 의 친족범위에서의 차등도 철폐됨 ( ) ( ) . 夫系親 妻系親
- 8 ( ) 4 ( ) , 그 결과 개정된 친족범위는 촌 이내의 혈족 과 촌 이내의 인척 으로서 부계 모계는 血族 姻戚
물론 남편 쪽과 부인 쪽의 친족범위를 평등한 관계로 규정함.

 

2) 친족호칭
(1) 직접면접호칭관계지시호칭
- : . . 직접면접호칭 직접 대면하여 부를 때 사용하는 호칭 친족호칭으로 형에게 형이라고 부르는것
- : . , , 관계지시호칭 그 친족원과 관계를 나타내 주는 호칭 관계호칭 간접호칭 친족명칭으로 다른
- ‘ ' ' ’ . 사람에게 이 사람이 저의 형 입니다 라고 하는 것
- . 특정 친족원에 대한 직접호칭은 몇 개 되지 않는 데 반하여 관계호칭은 각양각색임

 

(2) 우리나라 친족호칭의 특징
- , . 한국인의 친족호칭은 주로 공식성이나 권위 존경의 표시로서의 기능을 함

- . 연령이 아래인 사람에게는 친족호칭이 없는 대신 보조호칭이 있음
- , 친족호칭을 선택할 때에 세대나 연령의 요인 이외에 계보상의 지위 즉 종손이냐 자손이냐가 중
요한 결정요인.
- ( ) , 또한 일반적으로 근친자에 대해서는 세대 의 요인이 중요하고 원친자에 이를수록 연령의 요 世代
인이 중요시됨


 

< 확인문제>

 

1. ? 다음 중 족보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0‘ ) 출제
① 족보는 삼국시대부터 혈연관계를 나타내기 위해서 발간되었다.
② 조선 전기의 족보에는 아들과 딸 친손과 외손이 동일하게 수록되어 있으며 기재 순서도 출생 , ,
순위 순서이다.
③ 오늘날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족보는 고려 중기에 제작된 형태이다.
④ 고려 후기의 족보에는 광범위한 항렬자 사용의 예가 보인다.
2. ? 다음에서 설명하는 족보 기재 양식은 어느 시대인가 (07‘ ) 출제

양자가 보편적으로 등장
선남후녀식 기재 ( ) 先男後女式
광범위한 항렬자 사용

① 삼국시대 ② 고려시대
③ 조선 전기 ④ 조선 후기
3. 다음 중 당내 와 문중 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 ) ( ) 堂內 門中 ? (09‘ ) 출제
① 당내는 본종 무복친의 범위에 해당된다 ( ) . 本宗
② 문중은 시제를 위해 조직된 부계친족집단이다.
③ 당내는 증조 를 같이 하는 촌 범위의 부계친족집단이다 ( ) 8
曾祖 .
④ 문중은 친소관계의 척도인 촌수를 알 수 있는 부계친족집단이다.
5. ( ) ? 다음 중 우리나라의 성 의 사용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08‘ ) 출제
① 성 이 우리나라에 사용된 시기는 고려전기이다 ( ) .
② 일부 특권층에 한정되었던 성 이 양민에게까지 확산된 시기는 고려중기이다 ( ) .
③ 일부 특권층에 한정되었던 성 이 천민에게까지 확대되어 사용된 것은 조선전기다 ( ) .
④ 1945 ( ) . 년 민적법이 제정된 이래 누구나 법적으로 성 을 갖게 되었다.

 

정답 : 1. 2. 3. 4. ② ④ ② ②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