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장 가족생활
▣ 학습목표
1. . 조선 전기 가족생활의 변천에 대하여 알아본다
2. . 조전 후기 가족 변화에 대한 특징을 알아본다
3. . 한국가족의 근대적 변형과 그 특징을 알아본다
▣ 주요용어
- 서옥제, 양계적 방계가족, 서류부가혼, 윤회봉사, 분할봉사, 가묘제, 처가살이, 양자제도
삼종지도 열녀관 장자봉사 압축적 산업화
1.1. 17세기 중엽 이전 가족생활의 변천
1. 고대 사회의 한국가족
- 한국의 고대사회 : 고구려 백제 통일신라시대
→ 이 시대의 가족에 관한 자료는 매우 소수이나 몇몇 고고학적 발굴 자료와 신라시대의 촌락문
서 등을 통하여 가족생활을 고찰함.
◎ 고대 사회의 성
(1) 암각화에 나타난 고대의 성
- 울주 반구대 암각화 바위그림 : 경상남도 울산시 언양면 대곡리 위치 『 』
- 지모신의 풍요다산과 남성 성기의 심벌 동물을 사육하는 울타리의 정착생활 흔적을 통해 그
당시의 가족생활을 발견할 수 있음.
→ 이러한 바위그림은 문자가 없는 사회에서 최초로 쓰인 역사 기록이며, 생동감 넘치는 역사
의 현장을 보여줌 바위그림을 통해 기록이 없는 고대의 가족과 사회생활을 해독해 볼 수 .
있음.
◎ 고고학 자료에 나타난 고대의 성
- 고고학계의 보고 : 남녀의 성기를 과장하여 표현한 인물상이나 남녀 성적 결합을 표현한 작품
들이 유라시아 대륙 전역에서 다수 확인됨 이것은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는 종교 주술적 도구 .
로 사용됨 한국의 선사 및 고대사회에서도 성은 다산과 풍요를 보장해주는 숭배의 대상으로 여겨짐.
- 농경문 청동기 : 농경에서 차지하는 남성 노동력의 비중을 보여줌 청동기시대 의례용 도구로
추정됨 농토 위에 남근을 드러낸 채 일을 하는 남성이 새겨져 있음 . .
→ 이 시대의 가족생활 자연에 대한 생존 위협을 극복하기 위하여 남녀가 분업생활을 하다 :
점차 금속이 발명되면서 남성의 노동력이 보다 강조되는 형태로 변모함.
2) 삼국시대의 가족
◎ 자유로운 만남, 사랑 그리고 혼인 ,
- 남녀의 자유로운 만남의 기회가 공개적으로 제공되었지만 혼전 성에 대한 규범이 있었으므로
이를 어기면 그에 상응한 규제가 있음 그러나 규제의 강도는 신분에 따라 차이 . .
- . ( : , , 혼인 결정에서 부모보다 당사자의 선택이 관철됨 (예 : 탑돌이 서동과 선화공주이야기 김서
현과 만명의 이야기 등)
→ 이 시대의 가족 관련 자료는 워낙 제한되어 있어서 확인하기가 어렵지만 삼국시대에는 신분이
나 지위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젊은 남녀가 만나고 맺어졌던 것으로 추정함.
◎ 고구려 서옥제( 壻屋制)
①오래된 장가들기 와 처가살이의 전통 ' '
- 삼국지 위지동이전 에 고구려 풍습에 대한 기록 三國志
- 서옥제의 풍습 : 사위가 처가에 머무는 풍습 이라는 뜻에서 서류부가혼 이라고도 壻留婦家婚
함 이러한 혼인 풍습은 남자가 여자 집에 들어가 사는 것을 전제로 하였는데 아예 처가에 . ,
사위가 체류할 집을 지어 놓음.
- 서옥제壻屋制 : 고구려 때 사위를 머무르게 한 제도
- 서류부가혼壻留婦家婚 : 사위가 결혼해서 처가에 머무는 혼인풍습
< 비교>
- 솔서제 : 아들이 없는 집에서 양자를 두지 않고 사위를 맞이하여 아들 역할을 대신하게 하는
것으로 데릴사위제임 , .
- 예서제 : 민며느리제에 대응하는 것으로 빈곤한 집 출신의 어린 사위를 미리 맞이하여 여자
집에서 필요로 하는 노동력을 보충하는 제도.
→ 솔서제나 예서제는 특별한 경우에 취하는 것이고, 남귀여가하는 서옥제의 서류부가혼은 보
편적인 혼인풍습임.
2. 고려 시대의 가족
- 고려의 신분제는 신라의 골품제보다 융통성이 있었으며 공음전시 특권은 당연히 처가나 외가의
상벌에 함께 연결됨.
- 따라서 고려의 가족생활은 어느 시대보다도 혼인에서 정략적인 성격을 띠고 혼사를 통해 자신의
특권과 지위를 유지 확대시켜 나감 , .
1) 고려시대의 가족형태 : 양계적 방계가족
- 양계적 방계가족 : 사위를 포함하는 가족을 의미
- 고구려 서옥제壻屋制 는 국보 제 131 호 조선태조 호적원본 을 통하여 추정할 수 있음 『 』
이 호적원본은 고려후기 일반호적의 일부로 작성된 연대는 1391년 (공양왕 3년) 으로 추측됨 .
- 조선 태조 호적원본 에 포함되어 있는 가구의 호수는 양인 19호 천민 13호로 합계 32호임
- 다음은 양인 中 가족유형 중 일부임
① 부부와 미성년자녀로 이루어진 가족 6호 : 6
② 부부와 배우자 없는 성인자녀 세 이상 로 이루어진 가족 3호 (30 ) : 3
③ 처부 처모 를 포함하는 가족 호 ( ), ( ) : 3 妻父 妻母
④ 사위를 포함하는 가족 5호 :
⑤ 연로한 자매를 포함하는 가족 1호 :
⑥ 처와 전남편의 자식을 포함하는 가족 1호 :
- : . 고려시대 가족구성상의 특징 서류부가 혼인제도의 영항을 받음
- - - , 이밖에도 아들 사위 조카의 순서로 공음전을 상속하였으며 자녀의 출생순위에 따라 호적을 기
재함.
→ 고려시대의 가족유형 양계적 방계가족 또는 쌍계적 방계가족 : ( ) ( 兩系的 傍系家族 雙系的 傍系
家族) , , 으로 규정할 수 있고 양계적 방계가족은 아들과 며느리는 물론 서류부가하여 함께 살게
된 기혼의 딸과 사위를 포함하는 가족을 의미함.
2) 고려시대의 혼인
(1) : 처가살이 서류부가하는 가족생활의 특징
- : 고려의 혼인 풍속 서류부가혼으로 일반적으로 딸은 혼인을 하고도 친정에서 계속 살다가
나중에 시집에 가는 모처부처제 임 ( , Matri-Patrilocal) . 母處父妻制
- . 처가에 머무는 기간은 다양
- . 지속적으로 친정에서 사는 모처제도 다수 존재함
- . 처계나 모계쪽 친척들도 부계쪽 친척들만큼이나 중요시됨
- . 시집 간 딸에게 아들과 같은 상속을 받음
(2) 일부일처제의 붕괴
- , 고려 후기에 조혼이 성행하였고 정부에서는 공녀에 대한 대책으로 일부다처제를 법제화하려
는 움직임을 보임.
- . 공녀를 막기 위한 현실적인 자구책의 하나로 다처가 많이 행함
- . 원의 공녀 징발로 조혼과 일부다처제 등이 성행하는 등 혼인제도가 파행적으로 변화함
- , 조혼은 적령기의 혼인보다 더욱 정략적 성격을 띨 가능성이 높아 졌으며 일부다처제 역시
일부일처제에 비해 처의 지위가 낮아짐.
(3) 성리학의 수용과 혼인규제의 강화
① 동성불혼제의 성립
- 1308 , 고려 후기에는 혼인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어 년 충선왕 즉위년에 동성혼이 금지되었고
이에 대한 처벌도 강력해짐 이러한 동성불혼제의 성립은 부계적 관념의 강화를 의미 . . →
- 6 . 외종형제간이나 이성 촌 자매간에도 혼인을 금지
- . . 이성근친혼도 금지 고려의 제도는 동성이성 근친 금혼제임 →
②가부장권의 강화
- , 처첩의 구분이 엄격해져 이유 없이 처를 버리거나 소박하면 처벌하였는데 이것은 본처의 지
위를 더 확고하게 한다는 의미.
- . 또한 가묘제를 설치하고 친영제를 실시하자는 주장
- . 고려 말로 갈수록 조혼과 다처가 증가하여 혼인에서 가부장의 권한이 강화됨
3. 조선 전기의 가족
1) 과부 재가 금지
- : . 조선시대 가족생활의 특징 가부장권의 강화에 따라 여성이 종속됨 또한 여성을 종속시킨 가
장 대표적인 제도가 여성의 재가금지법.
- " 성종 8년(1477) 경국대전 에 재가하거나 실절한 부녀의 아들 및 손자서얼 자손은 문과 『 』 ․ ․
생원진사시에 응시하지 못한다 라는 조항을 만듦 ․ ." .
- : . 재가금지법의 제도화 성리학으로 가족 질서를 공고히 하고자 하는 국가적인 요청에 기인함
- 1984 이후 과부재가금지법은 년 갑오개혁까지 여성들을 억압하고 가부장질서를 강화하는 법으
로 유지됨.
2) 남녀 균분 재산상속
- . 조선 중기까지도 상속에서 아들딸 차별이 없는 자녀균분 ․
- : 혼인 후 여성의 상속 재산 자녀 균분상속제에 따라 상속된 여성의 재산은 혼인 후에도 여성
이 개별적으로 관리함 남편이나 시가의 재산으로 흡수되지 않고 부인의 재산으로 존속됨 . .
3) 외손봉사
- . ' 딸이나 외손이 제사를 받드는 예는 조선 중기까지도 사대부 층에서 실행됨 이와 같이 윤회봉
사 와 분할봉사 도 시행됨 ' ' ' .
- . 조선 전기까지는 양자보다 외손에게 상속하는 것을 더 선호하는 태도가 분명하게 밝혀져 있음
4) 윤회봉사
- : . 윤회봉사 제사를 자손들이 해마다 돌아가면서 지내는 방법
- . 조선전기에는 재산이 남녀균분 상속이므로 제사 또한 자녀가 공평하게 나누어 시행함
5) 분할봉사
- : 분할봉사 아들딸손자 등의 자손들이 선조의 제사 가운데 특정 제사를 맡아 제사준비와 그 ․ ․
밖의 제반사항을 전담하는 것.
- , . 특정인의 제사를 분할하여 맡으면 그 사람은 평생 그 제사를 지내는 게 일반적임
- . 윤회봉사나 분할봉사는 조선후기 부계적인 가족질서가 확고하게 잡히기 이전까지 지속됨
1.2. 조선 후기 가족의 변화
1. 조선후기 가족의 변화
1) 직계가족형태
- : . 직계가족 조선후기 이후의 이상적인 가족유형 직계로 구성된 가족으로 가구주 부부와 가구
주의 직계비속 중 장남 장손 등의 가계계승자와 이들의 배우자로 구성되는 가족 , .
- 1600 : 4 5 년대 이후의 호당 인원 노비 등 비가족원을 포함한 호당 인원은 대체로 인과 인
사이.
- 직계가족을 이상으로 하는 호적상에 나타난 가족의 평균 인원수는 4인 미만임
- 전체적으로 직계가족보다 부부가족이 높은 비율을 보임
- 신분이 높은 양반층에서는 직계가족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음
- 세대별 유형은 천민이나 상민에 비해 양반의 위세가 높을수록 세대구성이 복잡
2) 계급내혼제와 혼인연령
- : . 노비 소유 대부분 양반층에서 소유함
- : , , . 혼인형태 양반은 양반끼리 상민은 상민끼리 천민은 천민끼리 혼인은 계급내혼제가 행해짐
- , 그러나 양반 남자와 상민 처 상민 남자와 천민 처 처럼 자기 신분보다 한 계급 낮은 신분의
여자와 결혼하는 경우도 다수 존재.
- . 다만 천민에 있어서는 반대로 천민 남자와 상민 여자와 결혼하는 경우도 있음
- . 무배우의 가구주는 상민이나 천민층에 많이 나타남
- ' ' . 남편과 부인 사이의 연령차는 대체로 어느 신분을 막론하고 남편연상형 의 부부가 많음
3) 서류부가 기간의 변화와 마을 내 혼인
(1) 친영례의 주장과 서류부가의 지속
- ( ) 서류부가의 기간은 고구려시대에는 자녀가 장대 할 때까지 처가에 체류하다가 점차로 그 長大
기간이 단축되어 년 또는 몇 년 간으로 단축됨 1 , .
- . 조선시대에 사회제도가 점차 유교적으로 개편되면서 서류부가의 풍속이 문제시됨
- 16 3 세기 명종 때에는 신랑이 신부 집에 머무르는 기간을 일간으로 대폭 단축시킨다는 반친영
( ) . 半親迎 안이 채택됨
- . 그러나 일반 백성들 사이에서는 이 규정이 잘 지켜지지 않음
(2) 마을 내 혼인
- : . 『 』 호적원본 고려 말에 마을 안에서 서로 혼인한 사례가 상당히 많았음
- . 조선후기에 특히 마을 내 혼인이 보편적임
4) 조선시대 동성동본불혼의 실상
- . 동성이본간의 혼인은 흔히 행하여졌음을 알 수 있음
- 1606 1630 1600 년과 년의 산음장적에 적힌 년대 초의 경향
① 동족인 동성동본의 혼인도 적은 숫자이긴 하지만 실제로 행해진 것은 사실이다.
② 동성이본혼은 동성동본혼보다는 많다 하더라도 그 비율이 실제로는 그다지 많지 않다.
③ 동성동본을 포함하는 동성혼은 실제 약 에 불과하였고 이성혼이 약 이다 6% , 94% .
④ 동성동본 혼인자는 모두 상민이다.
⑤ 동성이본 혼인자는 주로 상민이지만 양반도 포함되어 있다.
⑥ 동성이본 혼인자는 희성 은 적고 대부분이 김씨 이씨 등의 대성 이 대부분이다
5) 양자제도의 확산
- . 양자 결정시에 남편 쪽의 친족과 동일하게 처 쪽의 친족도 그 의논에 참여함
- , 그러나 점차 양자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처 쪽의 참여는 없어지고 남편 쪽 친족의 참여만으로
양자를 결정함으로써 이는 세기가 부계모계의 양쪽을 존중하던 것에서 부계 한쪽만을 존중 17 ․
하는 경향으로 기울어져 가는 것을 알 수 있음.
6) 조선후기의 장자봉사
- 17세기 후반 이후가 되면 윤회봉사와 분할봉사는 점차 사라지게 되고 장자 중심의 제사상속
관행이 일반화됨.
- . 제사의 의무를 장남이 떠 맞는 것과 장남을 재산상속에서 우대하게 됨
- , . 조상숭배 사상의 강화는 장남 차남의 구별은 물론 남녀의 차별을 초래함
7) , 조선후기의 여자 제외한 장남 차남 차별의 재산상속
- 17 . 세기를 지나면서 조선사회에서 여성의 재산권이 축소됨
- 시집간 자녀는 윤회봉사의 의무를 함께 맡기 어려우므로 제사에 대한 의무를 다할 수 없는 만
큼 재산상속에서도 차등을 둘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됨.
- , , 부계 우선 장남 우선으로 바뀌어 여자는 제외되고 차남 이하의 아들 또한 차별 받는 가부장
적 전통이 이루어지게 됨.
1.3. 한국가족의 근대적 변형
1) 조선후기의 가부장제와 여성
(1) 체제 유지를 위한 가부장제
- : . 가부장제 사회제도와 문화적인 장치를 통해 남성이 여성을 지배한다는 것을 뜻함
- : 가부장제의 성격 여성에 대한 지배억압불평등 즉 가부장제의 확고한 질서 위에 기존의 신분 ․ ․
체계와 정치경제의 지배구조를 유지시키고 강화시키고자 함 ․ .
(2) , , , 열녀관 출가외인 삼종지도 칠거지악
- . 여성의 삶에 대한 통제가 심화되면서 더욱 비인간적이 됨
- 열녀관과 출가외인의 이데올로기가 가장 대표적인 예로 여성은 남편을 위하여 수절을 하고 그
를 따라 죽으면 열녀 로 표창될 만큼 장려됨 , ' ' .
- 또한 여성은 남편 가문의 혈통을 잇는 것을 지상의 과제로 삼고 시집에 충성하는 것 이외에는
다른 어떤 가능성도 없는 삶을 살게 됨.
- : 삼종지도 유교적 가부장제의 핵심적 이데올로기로 여성이 남성과 관계를 맺지 못하면 사회적
존재가 될 수 없음을 명백히 하고 있으며 내훈에서 역시 며느리로서 아내로서 어머니로서의 도리를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길만이 여자의 도리로 제시됨.
- 또한 자신의 모든 욕망을 억제하고 시집살이를 견디어 나갈 것에만 관심을 기울여야 했던 당시
의 사회조건은 칠거지악 의 처벌조항에도 그대로 반영됨 뺳 뺴 .
(3) ' ' 효 의 절대가치화와 남아선호
- 시집살이하는 여성들은 결혼 초기의 굴종적인 삶을 이겨 나가기만 하면 자녀를 통하여 응분의
보상을 누릴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려 있었음.
- 노후의 보상은 여성으로 하여금 억압을 자발적으로 받아들이게 하여 시집 온 여성은 일생을 통
하여 남편과 자식을 위하여 노력하는 성취적 삶을 살아가게 됨.
- . 특히 조선시대는 효를 절대 가치화하였고 효에 있어서는 여성도 남성과 평등함
- , 여성들은 열심히 일하고 참기만 하면 언젠가는 어머니로서 보상을 받게 되며 또한 남편 집안
의 당당한 조상이 된다는 확신을 갖음.
(4) 모자관계의 수단적 성격
- 남아선호사상은 공식적 가족윤리에서 파생된 것이라고 하기보다는 여성들의 생존과 성취와 직
결된 것임.
- , 딸은 자신의 삶에 아무 소용이 없으며 아들만이 생전의 행복과 평안을 약속하는 자식이므로
여성 스스로가 아들을 소중하게 여기는 태도를 강화시켰을 가능성이 높음.
- ‘ .’ 아들이 없으면 죽어서도 물 한 모금 못 받아먹고 객귀가 되어 떠돈다 는 말에서도 아들에게
절대적으로 의존해 온 전통적 여성의 삶을 알 수 있음.
2) 전통가족의 근대적 변화 양상
(1) 압축적 산업화
- 우리의 산업화는 짧은 시간 동안 제국주의의 팽창이라는 환경 속에서 그것도 위로부터 국가 주
도로 압축적으로 진행되었음.
- 그 결과 한국의 근대화는 전통적 요소와 근대적 요소가 유기적으로 혼합되는 특수한 모습을 나
타내며 전통성 중에서도 산업화에 기능적인 것은 선별되어 지속되고 있음.
- 가족의 근대적 변형은 한국가족의 전통적 요소를 활용하여 달성되면서 전통 가족문화에서 근대
적 사회질서 체계에 기능적이지 않은 것은 해체되거나 약화되었고 기능적인 것은 그대로 지속 ,
되어 오늘날 한국가족의 뼈대로 활용되고 있음.
(2) 이동의 증가와 핵가족화
- . 전통적 가족문화에서 해체되거나 약화된 것은 다산주의 가치와 대가족형태임
- , 산업사회에서는 소인수 가족화는 필연적이 되었고 부부와 미혼자녀로 이루어진 핵가족화는 불가피 됨.
- 핵가족사회는 전통가족에서 가치 있게 여겼던 효에 대한 가치와 노부모 세대가 주변으로 밀려
나면서 전통사회와 달리 노인 세대의 경험과 지식이 점점 주변화됨.
(3) 사랑과 결혼 각본의 대두
- 전통적 가족문화도 해체되어 남녀가 사랑해서 결혼하고 성적으로 화합해야 한다는 사랑과 결혼
각본이 대두됨.
- , 이러한 일부일처제의 결혼은 개인의 자유의지에 따라 이루어지고 또한 불만스러운 결혼은 이혼
이 자유로워지면서 가족해체로 연결됨.
(4) 산업화에 기능적인 전통 가족문화 요소
- 오늘날까지 기능적으로 지속되는 전통적인 가족의 특징
① 가족주의
②부계제와 장남 우선의 원리
③전통적인 부부유별의 원리 와 모성역할 ' ' ' '
- . 한국의 근대가족은 핵가족이 전형을 이룸
- ' 동등하고 인격적인 만남을 강조하는 부부애와 자녀에 대한 애정과 보살핌을 중시하는 사랑의
보금자리 라는 이미지를 만듦 ' .
- , 사랑하므로 결혼한다는 근대적 사랑과 결혼 각본은 경제적 이해타산으로 변질되기도 하고 이는
결혼에서도 부부관계를 평등하게 만들지 못하는 원인이 됨.
(5) 근대가족의 문제점
- , . 근대는 사회를 공사 영역으로 분리하며 가족을 애정적인 사적 집단으로 봄 ․
- 경제적정서적인 개인의 복지를 개별 가족에게 일임하며 그것은 결과적으로 가족주의를 부추기 ․
- , . 게 되고 가족주의는 사회적 측면에서 집단적 이기주의로 나타날 수 있음
- 정서관계가 강조되는 부부중심의 핵가족사회가 되면서 부부는 서로 간에 정서적 기대치가 높아
지게 되었으나 이러한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었을 때 그 가족은 쉽사리 해체 위기에 직 ,
면하게 될 가능성이 있음.
① 사랑과 결혼의 도구화
- , . 진정한 결혼의 자유가 없다는 것은 전통가족의 결혼 강제 규범의 또 다른 근대적 변형임
- . 또 결혼이 생존과 생활의 방편이 되는 만큼 사랑과 결혼이 도구화될 가능성이 있음
② 부부관계의 도구화
- , 한국의 산업화는 남성부양자에 기초한 근대적 핵가족을 바탕으로 추진되었고 돈벌어 오는 남편
과 가정을 꾸려가는 아내로 부부의 역할 분담은 부부관계를 도구화하는 측면을 갖게 되면서 감정과 의사소통의 교류가 자칫 상실되기 쉬움.
- 서로 친밀하지 않아도 상호 보완적인 역할분담을 통해 서로 필요로 하며 살아가는 존재며 사회
적 지위와 재산을 공유하는 물질적 의미로서의 단위임.
③ 효의 약화와 모성의 강화
- , 상대적으로 모성 역할은 어머니인 여성의 개인적인 욕망을 억압하게 만들며 자녀를 극도로 의
존적인 존재로 만듦.
- 이는 노부모세대를 밀려나게 하며 이러한 실정에서 효라는 이름의 노부모부양은 세대간 갈등의
쟁점이 됨.
- , 현행 가족법으로 규정된 재산상속에서도 법적으로는 남녀의 차별과 장남 차남의 차별이 철폐되
었으나 실제로는 여전히 장남과 아들 중심으로 상속관행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조상제사 의례는
오늘날에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 채 장남에 의해 지속되고 있음.
- 4대 봉사는 오늘날 대체로 2대조까지만 제사지내는 것이 일반적이며 제사의 절차도 간소화되는
경향이 있음.
<확인문제>
1. ( ) ? 다음 중 양계적 방계가족 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兩系的 傍系家族 (10‘ ) 출제
① 고려 전기에 한시적으로 나타난 가족 생태이다.
② 기혼 딸에게는 출가외인 사상을 적용한다.
③ 모계가족을 말한다.
④ 아들 며느리는 물론 서류부가하여 함께 살게 된 기혼의 딸과 그의 배우자를 포함하는 가족을 , ,
의미한다.
2. 다음 중 조선 전기 여성의 재산권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08‘ ) 출제
① 출가외인 사상 때문에 여성의 재산권은 없었다.
② 여성 명의로 되어 있는 재산은 혼인 후에도 여성 자신의 재산으로 존속되었다.
③ 결혼을 하면 부부합산제가 적용되어 여성이 개별적으로 본인 명의의 재산을 소유할 수 없었다.
④ 여성 명의의 재산은 가질 수 있었으나 처분권이나 매매권은 없었다.
3. ? 다음 중 조선 전기 재산상속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0‘ ) 출제
① 부인 명의의 소유재산은 혼인 후에도 부인의 재산으로 존속되었다.
② 장자( ) 長子 를 우대하고 차자 와 딸은 장자의 에 해당되는 몫을 상속하였다 ( ) 1/4 . 次子
③ 재산상속에 있어 적자와 서자는 차별하지 않았다.
④ 토지의 영세화를 막기 위해 장자( ) . 長子 가 단독 상속을 하였다
4. ( ) ? 서류부가혼 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壻留婦家婚 (08‘ ) 출제
① 모처부처제 거주유형을 갖는다 (matri-patrilocal) .
② 처갓집의 경제력이 좋거나 아들이 없는 경우에 이루어진 혼인풍속이다.
③ 서류부가 기간은 동일하여 첫 자녀가 출생하면 시집으로 간다 , .
④ 친영제가 시행되면서 우리나라 혼인풍속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5. ? 다음 중 과부의 재가금지법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08‘ ) 출제
① 가부장권 강화에 따른 여성 종속의 가장 대표적인 예가 된다.
② 과부의 재가 금지는 우리나라 고유의 풍속으로 조선 성종때 법제화하였다.
③ 1905 . 년 을사보호조약 때 철폐되었다
④ 법전에는 과부가 제가할 경우 장 대 형에 처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 ) 50 . 丈
정답 : 1. 2. ④ ② 3. 4. 5. ① ① ①
'한국가정생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가정사, 가정복지사, 가정복지학과 등 한국가정생활사 요점 요약 정리 6. 혼례 (2) | 2022.12.25 |
---|---|
건강가정사, 가정복지사, 가정복지학과 등 한국가정생활사 요점 요약 정리 5. 관례 (1) | 2022.12.25 |
건강가정사, 가정복지사, 가정복지학과 등 한국가정생활사 요점 요약 정리 4. 출산의례와 백일 돌 생일 (2) | 2022.12.24 |
건강가정사, 가정복지사, 가정복지학과 등 한국가정생활사 요점 요약 정리 3. 마을생활 (2) | 2022.12.24 |
건강가정사, 가정복지사, 가정복지학과 등 한국가정생활사 요점 요약 정리 2. 친족생활 (1) | 2022.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