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 현장실습

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복지직 등 사회복지 현장실습 요점 정리 47. 정신보건사회복지

반응형

47. 정신보건사회복지

1. 정신보건사회복지의 개념
Ÿ 정신보건사회복지는 정신의학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사회복지 활동을 의미
Ÿ 즉, 다양한 사회복지의 실천영역 중의 한 영역으로 정신의학에는 없는 사회복지의 이론 및
실천체계를 기초로 하면서 정신의학에 대한 전문지식을 요구하는 사회복지의 실천분야
Ÿ 정신보건전문요원 팀 구성 하에 협력적인 실천. 즉, 정신과 의사, 정신보건 임상심리사, 정신보건
간호사와 협동을 하여 개인 및 가족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을 취급하는 데 주된 관심을

 

2. 정신보건사회복지 국가별 정의
1) 영국
Ÿ ‘정신보건’의 뜻을 두 가지 면에서 해석을 하는데, 하나는 심리학적 혹은 정신분석학적 이해에
기초한다는 견해이고 다른 하나는 사회사업실천의 장을 의미

 

2) 미국
Ÿ 1920년대 이래로 정신보건사회사업에 대한 두 가지 다른 정의가 제시되고 있음
Ÿ 정신병원에서의 의료프로그램의 필수적인 서비스 형태로서 정신병원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사업.
정신장애인과 그 장애인의 가족을 위하여 정신의학과의 협동관계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강조
Ÿ 실천의 장과는 관계없이 실천의 본질을 강조하는 정의. 즉, 정신의학에 관한 지식으로부터 이들
지식을 사회사업과정에 적용하는 능력으로부터 도출한 특성을 소유하고 있는 실천이라는 것
Ÿ 사회사업이라는 단어 앞에 정신의학 혹은 정신보건이라는 단어를 더 붙이는 것은 정신병리에 관한
지식을 보다 깊이 그리고 실천에서 역동적인 특성을 나타낸다는 것

 

3) 한국
Ÿ 1962년 국립정신병원의 개설과 더불어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정신과의 치료진으로서 채용된
것에서 시작함
Ÿ 금일까지 정신보건사회사업의 개념 규정에 대해서는 각 사회복지사의 입장이 다른 탓도 있겠지만
반드시 통일적인 견해를 보이지는 않음

 

3. 목적과 대상
∙ 목적 : 정신적, 정서적 장애로 고통의 받고 있는 개인의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
∙ 대상 : 정신적, 정서적 장애가 있는 환자와 그의 가족들

 

4. 주요역할
Ÿ 질환에 영향을 주는 가정, 환경, 사회적 요소에 대한 평가 및 사정, 치료계획 수립에 대한 협조,
개별 또는 집단상담 및 가족상담을 통한 접근, 재활 및 지역사회와의 관계성을 유지하는 것

 

5. 장소
Ÿ 정신병, 의원을 포함하는 정신보건의료기관,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직업재활시설 등
정신보건관련기관

 

6. 접근방법
Ÿ 사회사업의 방법론을 모두 동원하며 여기에는 개별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조직을
포함하여, 사회조사, 사회복지행정, 사회행동이 포함

 

7. 정신보건사회복지사
1) 수행직무
Ÿ 환자 개인, 가족력 예후, 사회환경 등 관련 의료정보에 대해 의사들과 협의
Ÿ 복귀시설의 경우 환자의 약물복용 상태를 확인ㆍ관리하고 분기별로 환자의 상태를 의사에게 보고
Ÿ 불치병 환자 및 그 가족의 정서적 안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담
Ÿ 질병예방, 건강증진 등 보건 및 의료분야의 정책과 시설에 관하여 자문하고 참여

 

2) 필수 기술 및 지식
Ÿ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사 1급 자격 소지자가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한
전문요원수련기관에서 1년 이상의 수련을 마치고 자격시험에 통과하여야 함. 이때
정신보건사회복지사 2급 자격을 취득할 수 있음
Ÿ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을 전공한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가 전문요원수련기관에서 3년 이상의
수련을 마치면 정신보건사회복지사 1급 자격을 취득할 수 있음

 

3) 일자리전망
Ÿ 향후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고용은 증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됨
Ÿ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주요 요양시설, 종합병원 및 정신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근무
Ÿ 요양시설과 병원은 계속해서 확충되고 있고 정신적 문제가 있는 사람들의 복지를 다루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