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복지직 등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요점 정리 11. 제도적 사회복지 실천의 개입기술

반응형

11. 제도적 사회복지 실천의 개입기술

11.1 급진적 사회복지 실천의 개입기술: (Fook)의 경우

 

- 사회교육을 실천기술로 제시 한다: 다양한 선택, 통제력을 발휘

- 원조를 받는 과정을 교육시켜 독립적으로 원조를 구할 수 있도록 개입

- 공감은 사회적 경험으로 확장됨

- 새로운 경험을 시도하도록 격려하기 위해 사회적 지지를 이용한다.

- 사회 환경과 그 영향에 대한 비판적 자각에 이르게 할 수 있다.(통제력, 역량 강화)

- 사회적 지지와 낙인 감의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옹호자 역할 수행

 

11.2 반억압적 실천이론의 개입기술

 

- 자기 자신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고한다.

- 서비스 이용자의 억압경험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정한다.

- 사회복지사는 서비스 이용자의 역량을 강화한다.

- 사회복지사와 참여자(클라이언트, 시민)가 함께 일하는 것이다.

- 반억압적 관점은 개입을 최소화한다. (최소개입의 원칙)

 

11.3 비판이론의 개입기술: 권력비판과 대항헤게모니 (그람시)

 

- 비판적 교육을 통해 대항헤게모니를 갖게 된다.

- 교육은 헤게모니를 전파하고 학습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 애플(Apple)교육은 갈등의 장, 투기의 장, 중립적이지 않으며, 상식을 생산하거나 상식의 전복을 위해 사용된다.

- 비판이론의 개입은 권력비판이고, 개입기술은 대항헤게모니의 생산이다.

 

11.4 프레이리와 알린스키의 개입기술: 시민교육과 조직화

 

1) 프레이리와 두 개의 교육학 (은행저축식 교육, 문제제기식 교육)

- 은행저축식 교육:

· 학생들은 그릇’, 교사가 채우는 빈 그릇으로 간주한다.

· 현실인식: 숙명적으로 인식

· 목적: 침묵의 문화의 지속, 지배의 영속

· 잘 교육받은 인간: 순응, 적응된 인간

- 문제제기식 교육:

· 교사는 학생들을 위해서 생각을 대신할 수 없고 자기 생각을 그들에게 강요할 수도 없다.

· 교사는 가르치는 자가 아니라 학생들과의 대화 속에서 자신도 배우는 자가 된다.

- 교육의 목적

· 세계에 주체적으로 개입하는 인간을 형성하는 데 있다.

· 인간답게 존재하는 것은 곧 세계를 이름 짓는(naming) 것이고 세계를 변혁하는 것이다.

 

2) 알린스키의 조직화

- 여론형성을 통해 스스로 깨닫게 하라

- 그들의 경험에서 시작하라

- 그들의 이익에서 말하라

- 믿음을 주어라: 믿음은 권력과 상관관계에 있다고 하면서 권력과 공포가 믿음의 원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