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노인복지의 역사
1. 노년학의 발달
∙ 인간의 장수에 대한 관심은 인류의 태동과 같이한다고 볼 수 있을 것임
∙ 그러나 노년학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초반이라고 할 수 있음
∙ 19세기 초반 생물학적인 연구로 시작하여 20세기 초반에는 심리학을 기반으로 발전하였음
∙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노인의학 분야에서 노년기 만성 질병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노년학에 대한 다양한 개념들이 정리되기 시작하였음
∙ 즉, 노년학은 다양한 학계 간의 연구가 요구됨
∙ 특히 생물학적인 특성과 주위 환경 간의 상호작용의 과정을 이해한다는 것을 주문하였음
∙ 노화에 대한 최초의 연구가는 벨기에의 케틀레(Lambert A. Quetelet)가 인정되고 있으며 그의 저서
「인간의 본질과 그 능력의 발달(On the Nature of Man and Development of the His Faculties,
1835)」에서는 인간의 신체기관의 특성과 변화를 연령대별로 구분하여 노화의 진행 상태를 진술하였음
∙ 그 이후 영국의 갈톤(Galton, 1884)은 5세에서 80세까지 9,337명의 일곱 가지 신체적인 특성을
조사하여 인간의 신체적 특성은 연령의 증가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여 발표하였음
∙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노화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전개되었음
∙ 의학계에서는 나스처(Nascher, 1909)에 의하여 노인의학(geriatric)의 개념이 도입되었고 심리학계에서는
헐(Hall)에 의하여 노화(senescence)의 개념을 도입하였음(고수현 외, 2003)
∙ 1945년에는 미국노년학회 그리고 1950년에는 국제노년학회가 설립되어 1950~1970년대를 거치면서
노년학은 장족의 발전성과를 이루게 됨
∙ 정부 차원의 연구와 대학에 노년학 관련 연구소가 설립되었음
∙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매년 10월 1일을 노인의 날로 지정하여 노인문제 해결을 위하여 노력하였음
∙ 한국에서는 1968년 한국노인병리학회가 설립된 이후 노인병리에 관한 개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다가
1978년 한국노년학회가 창립되었음
∙ 노년학회 학회지인 「한국노년학」은 1980년 창간호가 발행된 이래, 2020년 현재 40년째 꾸준히 발행되고
있음
2. 노인복지의 역사
1) 일제시대
∙ 1910년 한일합방 이후 조선총독부에 양반, 유생의 기노, 효자, 효부, 환과고독의 궁핍한 사람에게
은사금을 지급하였음
∙ 1916년에는 60세 이상 노인 은사진휼자금을 지급(식민지 지배 전략 일부)함
∙ 『조선사회사업개요』에 따르면 전국 6개 양로시설, 수용인원 58명이었다고 기록되어 있음
∙ 1944년 조선구호령이 공포 실시됨으로써 국가차원의 생활보장의 기초 마련되었음
2) 해방이후 ~1950년대
∙ 미군정기(1945~1948)인 6·25전쟁 이후에는 전재민, 피난민, 고아, 부녀자등 요구호 대상자 급증으로
임시적 구호 수준에 불과하였음
∙ 1969년에는 아동보호시설 98개소, 양로시설 12개 불과하여 상대적 경시됨
3) 1960년대
∙ 4·19혁명, 5·16군사쿠데타 등 정치, 사회적 변동 경제개발정책이 국가정책의 핵심이었음
∙ 1961년 : 생활보호법, 아동복리법, 윤락행위등방지법, 군사원호보호법
∙ 1962년 : 공무원연금법, 재해구호법
∙ 1963년 : 군인연금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의료보험법, 사회보장에 관한 법률제정
4) 1970년대
∙ 산업화, 도시화, 핵가족화, 인구의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어 노인문제가 객관적인 사회문제로
인식되었음
∙ 1979년에는 노인복지법 초안이 만들어졌으며 연금보험부문에는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사립학교교직원연금, 의료보험제도가 공공부조제도에는 생활보호, 의료보호, 군사원호보상이 만들어짐
3. 노인복지법의 제정
1) 1980년대
∙ 제5공화국 출범으로 5대국정지표는 ‘복지사회의 건설’이었음
∙ 1981년 6월 5일 노인복지법(법률 제3453호) 제정, 공포되었으며 노인복지의 욕구도 다양함에 따라
1984년, 1989년 각각 개정되었음(강제규정보다는 임의규정, 노력 의무규정)
∙ 국가 재정을 요구하지 않는 상징적 성격이 강함(요보호노인 대상)
2) 1990년대
∙ 1991년 고령자고용촉진법 제정되었음
∙ 신자유주의 세계적 추세와 고령화로 인해 노인복지정책 복잡화함
∙ 김영삼 정권에서는 1993년 0.22%에서 1996년 0.12%로 복지예산 축소하였으며, 1992년
재가복지의 제도화가 되었음
∙ 1993년 실버산업의 도입으로 시설복지의 축소와 신자유의적 정책의 변화로 복지주체의 민영화가
되었음
3) 2000년대
∙ IMF 경제 위기로 인한 구조조정의 여파로 복지와 생산의 절충적 산물인 생산적 복지가 등장하게 됨
∙ 재가복지, 실버산업, 무갹출 경로연금, 노인고용정책 등 다양한 복지정책이 행하여짐
∙ 2001년 : 지역사회시니어클럽 5개소 지정 사업 시작 이듬해 20개소로 확대
∙ 2003년 12월 : 노인복지법 부분 개정되어 부양의무자 규정강화
∙ 노인학대 예방 및 사후 치료에 관한 조항 신설
∙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 시행
4) 2010년대
∙ 2014년 기초연금 시행은 일정 소득 이하인 65세 이상 노인에게 연금을 지급하여 안정적인 소득기반을
제공함으로써 노인의 생활안정을 지원하고 복지를 증진함을 목적으로 하는 제도임
∙ 이것은 가입자가 내는 보험료가 아닌 조세로 재원을 충당하고 있음
∙ 국민기초생활보장에 2015년부터 맞춤형급여를 도입
∙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15년 교육급여, 18년 주거급여, 20년 생계급여)
학습정리 |
1. 노인복지의 개념과 기능
1) 노인복지의 정의
∙ 협의적 정의 : 노인의 고통과 빈곤을 완화시키기 위한 공공 및 민간의 사회복지활동임
∙ 광의적 정의 : 노인의 사회적·경제적·교육적·보건의료적 욕구가 충족되도록 돕는 국가의 프로그램, 급여
및 서비스체계로서 노인의 무지, 질병, 장애, 실업, 빈곤 등과 같은 고통으로부터 노인을 보호하는 데
목적을 둔 제반 사회제도를 포괄함
2) 노인복지의 관점
∙ 보수주의 : 보수주의자는 노인복지를 관료화된 중앙정부보다는 민간부문과 지방정부가 운영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생각하며, 노인복지정책의 의사결정에서 분권화의 필요성과 전통적인 개인, 가족,
지역사회의 책임을 강조함
∙ 자유주의 : 자유주의자는 노인의 기본적 권리 보장을 위해서는 중앙정부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고,
민간부문이 운영하는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정부의 감독과 규제가 반드시 필요하며, 노인복지정책과
프로그램의 개선과 노인복지의 향상을 위해 노인집단의 정치적 로비가 필요하다고 생각함
∙ 진보주의 : 급진주의자는 사회복지의 민영화와 영리화에 반대하며, 노인을 포함한 모든 국민을 위한
사회복지의 확대에 대해 우호적이고, 노인계층 스스로 자신의 복지향상을 위한 의사결정에
집단적·자조적으로 참여하기를 바람
2. 노인복지의 역사
1) 노년학의 발달
∙ 노년학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초반이라고 할 수 있음
∙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노화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전개되었음
의학계에서는 나스처(Nascher, 1909)에 의하여 노인의학(geriatric)의 개념이 도입되었고 심리학계에서는
헐(Hall)에 의하여 노화(senescence)의 개념을 도입하였음(고수현 외, 2003)
∙ 1945년에는 미국노년학회 그리고 1950년에는 국제노년학회가 설립되어 1950~1970년대를 거치면서
노년학은 장족의 발전성과를 이루게 됨
∙ 한국에서는 1968년 한국노인병리학회가 설립된 이후 노인병리에 관한 개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다가
1978년 한국노년학회가 창립되었음
2) 노인복지의 역사
(1) 일제시대
∙ 1910년 한일합방 이후 조선총독부에 궁핍한 사람에게 은사금 지급하였음
∙ 1916년에는 60세 이상 노인 은사진휼자금 지급(식민지 지배 전략 일부) 함
∙ 1944년 조선구호령이 공포 실시
(2) 해방이후 ~1950년대
∙ 미군정기(1945~1948)인 6·25전쟁이후에는 전재민, 피난민, 고아, 부녀자등 요구호 대상자 급증으로
임시적 구호 수준에 불과하였음
(3) 1960년대
∙ 4·19혁명, 5·16군사쿠데타 등 정치, 사회적 변동 경제개발정책이 국가정책의 핵심이었음
(4) 1970년대
∙ 산업화, 도시화, 핵가족화, 인구의 고령화 급속히 진행되어 노인문제가 객관적인 사회문제로 인식되었음
∙ 1979년에는 노인복지법 초안 만들어짐
3) 노인복지법의 제정
(1) 1980년대
∙ 제5공화국 출범으로 5대국정지표는 ‘복지사회의 건설’이었음.
∙ 1981년 6월 5일 노인복지법(법률 제3453호) 제정, 공포되었으며 노인복지의 욕구도 다양함에 따라
1984년,1989년 각각 개정되었음(강제규정보다는 임의규정, 노력 의무규정).
∙ 국가 재정을 요구하지 않는 상징적 성격이 강함(요보호노인 대상).
(2) 1990년대
∙ 1991년 고령자고용촉진법 제정되었음.
∙ 1993년 실버산업의 도입으로 시설복지의 축소와 신자유의적 정책의 변화로 복지주체의 민영화가 되었음
(3) 2000년대
∙ IMF 경제 위기로 인한 구조조정의 여파로 복지와 생산의 절충적 산물인 생산적 복지가 등장하게 됨
∙ 2001년 : 지역사회시니어클럽 5개소 지정 사업 시작 이듬해 20개소로 확대
∙ 노인학대 예방 및 사후 치료에 관한 조항 신설
∙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 시행
(4) 2010년대
∙ 2014년 기초연금 시행
∙ 국민기초생활보장에 2015년부터 맞춤형급여를 도입
∙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15년 교육급여, 18년 주거급여, 20년 생계급여)
'노인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복지직 등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16. 노인복지정책 (0) | 2022.08.20 |
---|---|
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복지직 등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15. 노인복지의 원칙과 주요내용 (0) | 2022.08.19 |
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복지직 등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14. 노인복지의 개념과 기능 (0) | 2022.08.18 |
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복지직 등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13. 연령통합사회 (0) | 2022.08.18 |
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복지직 등 노인복지론 요점 정리 12. 활동적 노화와 건강화 노화 (0) | 2022.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