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장 자연환경과 주민인식
1. 생활공간 : 그를 둘러싼 외부적 객체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사람과 연결되어 있고 일상생활의 실천행위를 통해 새롭게 규정하고 형성해 가는 삶터
1) 생활공간의 예
. 대숲, 묘역, 논, 밭, 길, 우물, 집, 담장, 다리 등은 배치에서부터 하나하나 사물에 이르기까지
-> 사람들이 자연환경에 어떻게 적응하여 삶터를 조성하였는지를 말해준다.
. 서남해 지방 어촌마을 앞의 ‘우실’이라 불리는 숲
-> 방풍림 구실, 마을의 경계를 표시, 공공적인 성소-> 종교적 의미
2) 사람의 생활공간과 사물은 실용주의적, 기술주의적 합리성에 의해 자연으로부터 전유된 것 이지만
-> 사람들이 사회적 경험에서 터득한 의미들이 생활공간과 사물에서 나타난다.
3) 인류학자 마살살린스 : 사람은 물질세계 속에서 효용적. 공리주의적 목적만 갖고 살지 않고
-> 그 세계를 의미 있게 만들면서 사는 것이라고 하였다.
2. 자연의 구성 :
1) 자연 : 지형적. 물리적 공간속에 -> 동식물. 무생물 등 자연물로 구성
그 일부가 사람의 생활공간과 사물을 이룸
2) 사람이 만나는 자연의 의미 - 사람의 의미세계 속으로 들어와 존재하는 자연이다.
- 사람이 살고 있는 시대와 사회 문화에 따라 달리 규정. 가치 매김하고,
자연에 의미를 부여하고 자연을 재해석 한다.
3) 환경론자 데이비드 페퍼
. 문화적 여과장치(cultural filter) : 사람이 자연에 의미부여. 재해석할 때 개재시키는 한사회의 문화적 가정들
-> 개인이나 한세대 전체의 사고에 영향 미치는 일련의 가정들, 토속적 가정이나 지적인 습관들
. 자연환경변화 위한 행위 문화적 여과장치 거침 -> 문화적 여과장치를 거쳐 인식하며 행위 반응
3. 자연을 대하는 문화적 관념
. 어머니 대지 : 북미 북서부 원주민들에게 있는 구체적인 자연물들을 한데 묶은 표현으로서
원주민들에게 어머니 대지는 자신들을 품는 존재인 동시에 먹을 것을 주는 존재이다.
. 겨울의식 : 스똘로 원주민들은 겨울철 첫 연어가 강을 거슬러올 때에 첫 번째 잡은 연어를 구성원들이 모두
나누어 먹고 그 뼈를 강으로 다시 돌려보내는 의식을 통해 자신들이 의존하는
자연적 품을 유지 시키려 하였다
. 박서스(Baxus) : 인간이 다른 짐승들과 물고기의 포식자가 되는 시기로서 동물들이 인간과 동류였으면서도
이를 잡아먹어야 한다는 갈등적 사실들을 의례적으로 해결한 것이다.
4. 자연물과 인간의 연속적 관계에 대한 관념
. 원주민들은 자신들을 둘러싼 존재들을 자신들과 결연적인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 아마존 상류의 아쳐지바로족 : 대부분의 동식물을 자기 사회 속에 살아가는 사람들로 취급한다.
- 아마존 상류지역의 마쿠나족 -> 인간을 살아 있는 모든 존재들로 이루어진 광범한 공동체 속에
살아가는 한 구성원으로 본다.
- 말레이 반도 열대우림지역의 취옹 족 -> 인간, 동물, 식물들을 구분하지 않는다.
5. 생태학적 원주민에 대한 비판
. 원주민들을 지나치게 낭만적인 존재로 규정하고 주체가 아닌 객체화한다는 주장이다 (*)
. 지식인의 일각에서는 환경론자들이 원주민과 자연환경 간에 자연적인 연속성이 있다고 규정하고,
이 관계를 마치 본질적인 것처럼 이미지로 만들어 유포시켜 진실을 왜곡한다고 비판한다.
. 인류학자 밀턴 -> 부족사회, 원초사회에서는 자연-인간 통일성에 대한 가정을 환경론자들이 추구하고자 하는
이상을 내포한 신화에 불과하다고 보았으며 생태중심주의와 근본생태론 들은 실제로
서구적 산물에 불과하고 최근의 사고에서 비롯된 것에 불과하다고 보았다.
. 생태학적 인디언 -> 인디언을 문명파괴를 자행한 서구인과 달리 생태학적 세계에 살고 생태학적 사고를 하는 인간의 표상처럼 취급하는 것을 비꼬는 말로써 자기 문명에 대하여 비판적 의식을 가진 서구인이 서구에 대비되는 생태학적 세계의 표상인 것처럼 인디언을 자의적으로 규정했다
6. 주민들의 ‘어머니 대지 : 전통 표방으로 현대적 갈등 해결하기
. 환경운동단체들에 의해 낭만적으로 규정되는 측면이 있어도,
인디언들은 개의치 않고 환경운동단체들과 연합하면서 독자적 방향을 취한다.
. 환경운동단체들이 부여한 생태학적 인디언의 개념은 자신들의 주권확립에 도움이 될 이념적
자원과 명분의 계기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인디언들은 이를 그대로 수용. 부정하지도 않는다.
. 문화동화정책이 1980년대까지 남아 있다가 폐기되고, 다원주의 문화 정책 및 시류, 인디언 인권의 신장 등이
이루어짐에 따라 인디언들이 자기 주권을 강화시키는 시도를 하게 되었다.
7. 환경운동과 사생아 : 클라요쿠오트 해협의 사례
. 클라요쿠오트 해협 : 삼림벌채로 수많은 저항운동을 야기 시켜 왔으며, 1993년에는 대기업의 삼림벌채에
저항하는 주민과 운동가 900명을 연행함으로써 세계 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들이 환경운동 때문에
체포당하는 역사적 사건을 남겼다.
. 기업에서 행하는 삼림벌채는 해당지역의 숲을 모조리 베어 버리는 벌채로서
생태학적 연계를 끊고 원시림을 희생시킨다.
. 주민의 자연에 대한 인식과 자연-인간관계에 대한 관념, 영성 등의 정신적 사항들에 대한 관심이
활성화되고 있다.
. 인디언 백인들의 환경운동단체와 대학의 학술기관 등이 이미 주민들의 토착적 자연인자와 영성 등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생명과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통대, 생물, 생명공학 등 생명과환경 핵심 요점 요약 정리 15. 환경과 생활양식 (0) | 2022.06.23 |
---|---|
방통대, 생물, 생명공학 등 생명과환경 핵심 요점 요약 정리 14. 환경운동 (0) | 2022.06.22 |
방통대, 생물, 생명공학 등 생명과환경 핵심 요점 요약 정리 13. 환경호르몬 (0) | 2022.06.21 |
방통대, 생물, 생명공학 등 생명과환경 핵심 요점 요약 정리 12. 기후변화 (0) | 2022.06.20 |
방통대, 생물, 생명공학 등 생명과환경 핵심 요점 요약 정리 11. 현대 환경문제의 특징 (0) | 2022.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