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의 이해

한능검, 공무원, 한국사 시험 대비 한국사의 이해 핵심요약정리 VI. 조선

반응형

VI. 조선


1. 조선의 건국과 국가운영
1) 건국과정
- 권문세족 지배층 내부 갈등 심화
- 명(明, 1368) 건국, 원 지배력 약화
- 신진사대부 세력 성장
- 이성계 등 신흥무장 세력 성장
- 명(明)의 철령 이북땅 요구, 요동정벌 추진, 이성계 위화도회군(1388), 사전개혁(과전법)
- 조선(朝鮮) 건국(1392), 한양 천도(1394)
2) 정치동향
- 태종(정안대군 이방원,1400-1418) : 무인정사(왕자의 난, 1398), 왕권강화, 사병혁파
- ★세종(이도,1418-1450) : 의정부의 권한 강화, 문물제도정비, 전분6등법/연분9등법, 4군6진 개척/대마도공격/왜관설치, 집현전, 훈민정음 창제, 농사직설 편찬
- 문종(1450-1452) : 고명대신
- 단종(1452-1455)
- 세조(수양대군,1455-1468) : 계유정난(1453), 강력한 왕권강화, 공신/종친들을 중용
- 성종(1469-1494) : 훈척세력견제 소장학 사림을 중용, 경국대전 완성
3) 행정
- 중앙 : 의정부(議政府, 최고의결기구-영의정/좌우정/우의정), 6조(정책수립,집행), 삼사(규찰-사헌부/사간원/홍문관), 승정원(왕명출납), 의금부
- 지방 :
모든 군현에 지방관을 파견
8도(관찰사), 주군/주현
속군/속현을 없애고 330개 고을-수령(수령칠사(守令七事): 농업,인구,학교,군대,부역/세금,재판,치안), 향리(행정),
면리제(권농관,면임,이정)
- 민본정치 : 신문고, 구언, 사관제(춘추관의 사관, 실록작성)
- 군사 : 5위(오위도총부), 진관체제(鎭管體制, 병영-주진/거진/제진, 수영-포진/포)

2. 조선초기 사회경제
1) 과전법과 전세제도
- 과전법(1391) :
  사전개혁으로 시행한 토지분급제도, 전/현직 관리에게 수조권 지급
공전(기관), 사전(개인, 18등급, 수조율1/10)
실질적 소유권은 따로 있어 농민의 소유권 보호
- 직전제(1466,세조) : 현직자에게만 분급
- 관수관급제 : 수탈 폐단으로 인해 관에서 수급하여 배급
- 공법(貢法) : 전세를 결정하던 답험손실법 폐단을 방지, 양전(토지조사), 전분6등법, 연분9등법(풍흉,세종)


2) 역역과 공물
- 부세 : 국정운영의 재정적 토대, 토지/인신/호에 따라 부과, 신역제를 토대로 노동력 징발
- 군역 : 천인을 제외한 16-60세, 정군/봉족, 2정 1군호 보법(세조), 16C 방군수포(放軍收布制)가 확산
- 요역 : 토지8결마다 1부(夫)를 내어 1년에 6일이내의 일을 하는 것이나 실제 폐단
- 공물 : 공물대장에 등록되면 생산여부에 상관없이 납부, 방납(防納,공물대납)의 폐단, 17C 대동법
- 황정(荒政) : 흉년/재해시 부세감면, 진제장(賑濟場), 의창(곡식 대여)
3) 신분과 직역(직업)
- 호적 : 인구/직역을 3년마다 작성, 오가작통법, 호패법(16세 이상 남자)
- 법제적으로는 양천제(양인: 국역/군역참여, 천인: 국가/사적으로 예속)
- 양반 : 동반/서반, 소과(생원시,진사시)/대과 - 초시/복시/전시
- 기술관 : 잡과로 선출, 아전/향리(행정 실무)
- 양인 농민 : 대부분 자영농/전호농, 조세/공물/군역/요역 부담
- 천민 : 공노비(납공/선상)/사노비(솔거/외거), 노비문서, 매매와 상속
- 조졸(선원), 수능군, 목자, 봉수군, 염간 : 천시

3. 조선초기 대외관계 :
- 사대교린(事大交隣, 큰나라는 섬기고 이웃나라와는 화평한다)
- 명(明) : 천자-제후관계, 조공/책봉을 통해 체제안정을 도모, 4군6진 개척(세종)
- 왜구 : 이종무 대마도 공격(1419, 세종), 계해약조를 통해 내이포(웅천)/부산포(동래)/염포(울산) 개항 및 왜관 설치(1443, 세종), 왜구 침략 억제가 중요 목적
- 여진족 : 무역소(함경도 경성,경원) 설치, 최윤덕 4군(1433), 김종서 6진(종성,온성,회령,경원,경흥,부령) 개척
- 유구(오키나와), 타이, 인도네시아 : 진상/조공
-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1402, 태종) : 동아시아/아라비아반도/아프리카/유럽이 표시

4. 조선초기 문화와 기술
- 훈민정음(1443, 세종) : 정음청, 천지인 삼재와 주역 팔괘의 원리,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든 독창적인 문자
-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삼강행실도 언해본
- 천문기상학 발달 : 천문도(태조), 간의대(세종), 혼천의, 앙부일구, 자격루, 측우기, 정흠지 칠정산내외편(달력,1442)
- 노중례 향약집성방(1443), 김순지 의방유치(1445)
- 시비법/파종법 개선으로 다모작, 수리시설 개선으로 상경전/수전비율 확대
- 정초 농사직설(1429, 세종) : 경작법(수사미, 건사미, 모내기), 밭농사(근경, 간종), 상경농법, 강희맹 금양잡록(성종)


5. 훈구/사림의 대립과 사화
1) 훈구와 사림
- 훈구파 : 건국공신/왕실외척들이 주축, 고위관직, 성종초기까지, 방대한 토지/노비소유, 공물방납/대외무역으로 재산 확장
- 사림파 : 재지사족(在地士族)들의 후예, 성종때부터 정계진출, 중소지주적/성리학 중심, 김종직/조광조, 언관직/도덕정치, 향촌사회의 지배층(유향소,사창제,향사례,향음주례 주장)
2) 사대 사화(士禍)
"반대파끼리 싸움인데 갑자 을싸안을리 없잖아!"
- 무오사화(1498,연산군) : 김일손의 사초 ‘조의제문’을 빌미 : 유자광/연산군 → 김종직,김일손,표연말 등 영남 사림파
- 갑자사화(1504,연산군) : 연산군 생모 폐비윤씨 사건, 연산군 왕권강화 계획 : 연산군 → 윤필상,이극균,김굉필,한명회 등 훈구파
- 기묘사화(1519,중종) : 중종반정(中宗反正,1506)이후 조광조의 개혁정치에 반발 : 중종,남곤,심정 훈구파 → 조광조 일파
- 을사사화(1545,명종) : 소윤과 대윤의 권력 다툼 : 윤원형(소윤) → 윤임(대윤) 일파
3) 서원
- 백운동서원 건립(1543,소수서원)후 서원 확산, 사액서원은 토지/노비/서적/면세/면역의 특권, 사림파의 기반, 교육기구로써 훈구파로부터의 탄압 회피
4) 임꺽정의 난(1559-1562)
- 경기 양주 백정출신 임꺽정, 황해도 구월산, 관청습격/공물을 빼앗으며 위협

6. 도성과 향촌사회
1) 도성의 운영
- 한양 :
계획도시, 4개의 산(북악산/인왕산/목멱산/낙산)을 포함하여 도성을 축조
4개의 대문(흥인지문/숭례문/돈의문/숙정문)과 소문(혜화문/광희문/소의문/창의문)
경복궁 앞 육조거리
- 종로/남대문의 시전, 좌상/행상 허용
- 수공업 : 군기시, 상의원, 사옹원, 선공감
- 행정 :
한성부 - 5부(部), 방(坊)/계(契)/동(洞)
신분/직업에 따라 거주지역이 고정되는 경향 - 양반층(북촌), 아전(관청주변), 상인/군인(종로/개천), 남촌
성저십리(城底十里) : 한성부에 속한 성외 외곽지역, 숲을 보호하기위한 금표(그린벨트), 땔감/채소류 공급, 전세/공물/소작료 실은 배의 종착지
2) 향촌사회의 운영
- 사족이 거주, 토지개발과 농지확대로 면으로 편제, 동계/동약 등으로 촌락지배를 강화, 농장 운영
- 향안 작성, 향회 개최, ★유향소(留鄕所) 설치 - 수령 보좌/향리 감독/지방 풍속 교화, 향약으로 고을 지배
- 향약(鄕約) :
사림파가 중심, 사족과 농민간 차별적 적용, 농민들에게 도덕적 규범을 설교하여 지주 전호의 대립을 무마하려는 목적
"덕이 있는 일은 서로 권하고, 잘못은 서로 고쳐주며, 어려운 일은 서로 돕고, 예의로써 서로 사귄다."

7. 조선의 중심사상, 성리학
1) 성리학의 발전
- 성리학(性理學) :
남송의 주자, 고려말 소개, 이기론(우주 자연의 원리, 인간사회의 질서를 설명)
신진사대부층이 적극 수용
- 조광조(지치주의(至治主義), 왕도정치, 개혁정치를 주도)
- 서경덕(주기론), 이언적(주리론), 조식(경/의, 실천적 학풍), 기대승, 김인후
- 이황 : 주리론, 영남학파, 류성룡/김성일 (남인계열)
- 이이 : 만언봉사 등 사회문제 개혁에 관심, 기호학파, 성혼/김장생 (서인계열)
2) 성리학과 문화
- 가족/친족 제도의 변화 : 서류부가혼, 균분상속, 윤회봉사 → 17C 이후 친영례(親迎禮,시집살이), 자녀차등상속, 장자봉사제
- 부계중심 종법질서의 확립 : 장자입양, 문중/동족촌락, 동성동본 혼인금지, 문집/족보 발간, 재실/서원/사우 건립, 적서차별
- 삼강오륜이 사회의 기본 규범
- 성리학 서적 편찬 : 소학, 이황 성학십도, 이이 성학집요, 박세무 동몽선습, 이이 격몽요결, 주자대전 전래, 이황 주자서절요
- 고려사, 고려사절요(節要), 동국통감, 박상 동국사략(주자의 강목법, 유교적 가치기준, 개국공신 비판, 이색/정몽주 칭송)
- 이황 도산십이곡, 정철 관동별곡/사미인곡
- 방외인(方外人)문학 : 김시습, 전우치, 정희량, 양사언, 어무적, 임제 원생몽유록/서옥설, 송순 면앙정가, 어숙권 패관잡기

8. 동아시아 정세와 왜란과 호란
1) 일본의 침략
- 삼포에서 왜구가 난동을 부린 사건(1510) 이후 긴장
- 임진왜란(1592, 선조) : 일본의 토요토미 히데요시, 세력 갈등과 교역문제를 침략으로 해결하고자 조선을 침략
- 왜군 부산진/동래성 함락, 상주(이일)/충주 탄금대(신립) 전투 패배
- 옥포/당포/한산도 해전(이순신) 승리
- 의병활동(경기도 김천일/우성전/홍계남, 경상도 곽재우/정인홍, 함경도 정문부, 충청도 조헌, 전라도 고경명) (북인계열)
- 명이 참전(1593)하여 동아시아 국제전쟁으로 확대, 평양/벽제 전투후 소강 상태
- 정유재란(1597) : 일본의 2차 침략, 충청도 일대까지 점령, 칠천량해전/명량해전
- 일본은 도요토미가 죽고 도쿠가와 정권 등장(에도시대), 명의 세력 약화로 여진의 성장
2) 청의 침략
- 건주여진의 누르하치, 후금(後金) 건국(1616)
- 중립외교 → 인조반정뒤 후금배척
- 정묘호란(1627, 인조) : 명 모문룡의 가도 주둔/광해군 보복을 명분, 후금이 조선을 침략(1627), 강홍립의 중재
- 병자호란(1636) : 군신관계와 세폐 증가 요구 거절을 빌미로 청(淸,후금의 국호변경) 태종 침략, 인조 남한산성 피난, 삼전도 항복(1637)


9. 붕당의 확대와 당쟁
1) 붕당정치의 전개
- 붕당(朋黨) : 특정한 학문적/정치적 입장을 공유하는 양반들이 모여 구성한 정치집단
- 사림의 붕당이 상대당을 인정하지 않아 갈등, 관직수에 비해 과거 합격자가 많아(직전법) 권력다툼
- 선조시기(1567-1608) :
  이조전랑직 논쟁으로 서인(기성사림,신의겸,이이,성혼)/동인(신진사림,김효원,이황/조식계열) 양분
→ 기축옥사(정여립 사건)이후 정철 처벌 문제로, 동인이 남인(온건파,유성룡/이황계열)/북인(급진파,이산해,조식/서경덕계열) 양분
- 왜란이후 북인 집권, 광해군(1608-1623) 지지
- 인조반정(1623)이후 서인 집권
- 효종(1649-1659)
- 현종(1659-1674) 즉위후 서인/남인의 예송(상복을 입는 기간)논쟁 : 갑인환국
- 숙종(1674-1720) 붕당을 교체하는 환국(換局) : 경신환국(서인) → 기사환국(희빈장씨,남인) → 갑술환국(폐비민씨,서인)
- 기사환국으로 서인은 노론(송시열)/소론(윤증/박세채) 양분, 노론중심의 벌열정치(閥閱政治,소수가문의 실권독점/지위세습)
2) 영/정조의 왕권강화
- 영조(1724-1776) :
노론 재기, 이인좌의 무신난(1728,소론/남인은 경종의 독살주장하며 무장반란)
탕평책(蕩平策) : 당파를 고루 등용하여 왕권의 권위를 세우려는 목적
균역법(1750, 일반 군정의 군포 절감, 선무군관포와 토지의 결작으로 부담 경감)
군영정비(훈련도감,금위영,어영청이 도성을 나누어 방위)
- ★정조(1776-1800)의 개혁 :
정조 자신의 국정운영에 부합하는 세력(남인 청남계, 노론 청명당계) 등용, 준론탕평(峻論蕩平), 노론은 시파(時派)/벽파(僻派)-(장헌세자의 죽음 논쟁)
비변사에서 의정부 중심, 규장각 설치
병권을 일원화하여 왕권강화(병조 아래 장용영(壯勇營,호위군대) 배치)
서얼/노비 차별 완화, 육의전을 제외한 일반 시전의 금난전권(禁亂廛權)을 폐지(도고상업/도매권을 불허, 신해통공,1791)
수원화성, 소원제도-격쟁(擊錚,임금행차시 억울한 사연을 호소)/상언(上言,개인적인 사정을 글로 고함)/구언교(농촌대책)
- 탕평책의 한계 : 탕평당에게 권력집중, 정치의 보수화, 외척가문의 벌열정치, 이후 세도정치로 붕당정치 종말
- 문예부흥기 :
속대전, 대전통편
동국문헌비고, 증정동국문헌비고
여지도서, 해동지도
호조 탁지지, 예조 춘관통고, 형조 추관지
일성록(日省錄) : 영조28-순종4의 동정과 국정의 제반사항을 기록한 일기체 연대기, 2329책, 강목체(주제별기록), 세계기록유산등재)
무예도보통지, 동문휘고

10. 조선후기 사회경제적 변동
1) 농업 발전과 지주전호제
- 농업기술의 발달 : 이앙법으로 이모작(그루갈이), 견종법(고랑에 작물을 심는 밭농사)
- 상업적 농업 발달 : 의류작물(목화/모시), 특용작물(인삼/담배/약재), 가내수공업/지역특산품 형성(개성 인삼, 한산 모시, 안동 왕골돗자리)
- 농업/상업의 발달로 부유한 상민 지주 탄생
- 지주전호제 : 예속관계에서 계약관계(소작농)으로 변화, 임노동자층 형성
2) 수공업과 광업의 발달
- 공인(관청물품을 납품), 장인
- 점촌(수철점, 옹점, 유기점), 매점매석 발생
- 은광개발(구리, 은 수요) 촉진, 관영광업쇠퇴, 잠채/허가제 광산 성행
- 물주(자본가)와 덕대(경영자) 출현
3) 상업의 발전
- 고을마다 5일장, 전국 1천여개 장시, 상업도시(원산,강경,마산) 형성
- 전국구 상인 등장 : 경강상인(쌀), 개성상인(인삼), 의주상인(대청무역), 동래상인(대일무역)
- 보부상단 조직
- 새로운 시장 생성 : 종로시전 이외 서울 남대문밖 칠패시장, 동대문 부근 이현시장 생성
- 새로운 유통거점 장시 생성 : 고양 누원점, 광주 송파장시(산대놀이)
- 화폐 : 상평통보(숙종), 화폐부족(전황/불법사주) 현상 발생
4) 자본 임노동 관계의 형성
- 다양한 임노동자층 형성 : 조창/경강 주변 물자하역, 도회 주변 토목공사/잡역
- 모군(고용일꾼) : 각종 공사/역사에 적용, 작업종류/위치/기간/품삯/지급방법 미리 제시
- 화고(고용합의), 쟁고(생존권 투쟁), 고가(화폐지급)

11. 대외관계의 변화
1) 대청관계
- 효종/서인의 북벌론
- 화이론(華夷論, 존화양이(尊華攘夷), 중국을 존중하고 오랑캐를 물리친다) :
  대보단(大報壇)(숙종), 청주 만동묘(萬東廟) 등 명(明) 태조/신종/의종의 제사 → 조선중화의식 심화
- 실학자 : 성리학적 소중화의식 비판하고 청을 긍정적으로 인식, 연행사(燕行使)를 통해 학자 교류, 경제/문화교류, 고증학
2) 대일관계
- 쇄환사 파견(1607), 기유약조(1609), 통신사(通信使) 파견(1636) :1607-1811 총12회 파견
- 문화사절단의 면모를 갖추어 예능/생활문화/기술문화 교류
- 신유한 해유록, 강홍중 동차록, 조엄 해사일기
3) 서양문화의 수용
- 허균, 정두원, 소현세자, 박연/하멜 등이 서양문물 소개 - 천주실의, 천문략
- 과학(지구구형론, 지구회전설)과 역법(시헌력 채택), 수학(유클리드 기하학 기하원본 전래)
- 지도(마테오리치 곤여만국전도, 베르비스트 곤여전도)
- 천주교(서학西學) : 종교가 아닌 학문적 접근으로 시작(이익), 황사영 백서사건(신유박해 기록 및 매국모의,1801)이후 반국가종교로 박해

12. 실학과 사회개혁론
1) 실학사상의 흐름
- 조선후기 대두된 일련의 현실개혁적 유학의 새로운 학풍
- 허목(성리학과 실학의 과도기적), 윤휴/박세당(주자해석을 부정), 양명학, 유형원 반계수록
- 성호학파 : 이익 성호사설/곽우록, 이가환, 이중환, 정약용(경세유표, 목민심서, 흠흠신서)
- 북학파 : 노론, 홍대용 의산문답(고정관념)/박지원 열하일기/박제가 북학의/유득공/이덕무, 청 문물/상공업을 높이 평가
- 서유구 임원경제지, 최한기 논정회요/육해법/신기통/지구전요, 이규경 오주연문장전산고(백과사전)
2) 실학의 사회개혁론
- 토지개혁론 :
유형원 반계수록(균전제: 토지를 농민들에게 균등하게 배분)
이익 곽우록 (한전론: 토지소유의 상한을 정해 겸병을 방지)
정약용 (급진적 여전제/정전제: 농지를 공동으로 소유/경작하여 노동일수에 따라 분배)
- 정치제도개혁론 : 정약용 경세유표, 과거를 줄이고 실용학문과목 시험 주장
- 상품화폐경제 발전, 대외무역 필요성 주장
3) 국학의 발달
- 조선 역사에 대한 독자적 인식이 강화 :
- 역사서 편찬 :
한백겸 동국지리지(고대지명을 새롭게 고증), 허목 동사(붕당정치 비판), 홍여하 동국통감제강
이긍익 연려실기술, 안정복 동사강목, 신경준 강계고, 유득공 발해고
- 지도 : 정상기 동국지도, 해동지도, 김정호 청구도/대동여지도
- 지리지 : 여지도서, 유형원 동국여지지, 이중환 택리지, 신경준 도로고/산수경, 산경표
- 조회룡 호산외기, 유재건 이향견문록, 이경민 희조질사
- 정선 진경산수화 화법, 김홍도, 신윤복, 김정희 추사체


13. 세도정권과 지방사회의 실태
1) ★세도정치
- 왕의 척족관계에 있는 양반관료가 정치권력을 장악하는 것
- 순조(1800-1834) : 외척 김조순과 안동 김씨, 헌종(1834-1849) : 풍양 조씨
- 왜란이후 비변사(備邊司) 강화 - 의정부/6조 약화
- 부정부패, 매관매직, 재정위기
2) 지방사회의 실태
- 신향(新鄕)의 성장 : 사족의 지배력 약화, 고을 지배층이 구향과 신향으로 갈리고 다툼으로 수령이 주도권, 부민층이 성장한 신향은 사족층에 대항, 경제적 이익을 위해 향청에 관여
- 농업생산력, 상품화폐경제 발달로 토지매매가 활발해지며 권세가/부호들에게 토지가 집중
- 향리의 조세관련 비중 증가
- 농민들의 항조투쟁 발생

14. 사회모순의 심화
1) 삼정체제
- 국가의 중요 재정 수입원 : 삼정(전정, 군정, 환곡)
- 전정 : 전세 + 다양한 부가세(대동세,결작,삼수미)등 수십종류의 세를 부과 - 결당 조100두
- 환곡 : 진휼기능을 상실, 고리대 형태로 변질
- 수령/서리들의 포흠(逋欠)/농간으로 전결세/도결에서 농민 수탈 심각
- 최종 군현단위로 탈세자로 인한 나머지 빈농층의 부담 증가, 갈등 심화
- 재정조달 및 개인적 착복을 위한 수탈, 삼정 문란, 각종 잡세, 고리대 증가
- 농민층 붕괴되고 대부분 소작/병작반수(1/2)
- 삼정수탈에 대한 농민의 합법적 정소운동(呈訴運動) 탄압
- 농민의 계급적 이익 자각과 조직화 : 촌계, 두레

15. 농민항쟁
1) 다양항 민중운동
- 농촌이탈
- 와언(訛言,요언妖言: 관리나 지주의 비리를 폭로/규탄하는 유언비어(소문))
  괘서(掛書,벽서壁書,익명서匿名書: 글로써 여론을 선동하는 저항방식)
상언, 격쟁
- 명화적(明火賊, 지배층/부호의 집을 습격하던 도적), 쌀폭동 등 집단적 저항운동
2) 홍경래의 난
- 평안도(광산/금속가공업 발달), 부민층/임노동자들의 수탈과 지역차별 불만
- 홍경래를 평서대원수로 하여 다복동에서 농민군 봉기(1811), 가산/정주/박천/곽산/선천/태천/철산/용천 점령, 정주성에서 토벌부대에 패배
- 이후 농민항쟁에 영향
3) 농민항쟁
- 전국 70여개 고을에서 항쟁 발생(1862)
- 경상우도 진주 : 환곡/재정 부족분 부과에 불만, 봉기
- 경상/전라/충청까지 전파되어 여러계층이 참여하는 큰 규모의 농민항쟁이 발생
- 삼정이정청(三政釐整廳)을 설치 부세개혁 약속/미시행하자, 농민항쟁(반봉건운동) 재발

16. 서민생활과 문화
- 도시의 상업도시화, 부민층 형성, 서민들의 의식성장/신분제 동요/사회저항으로 서민문화의 향상
- 소설 : 허균 홍길동전, 김만중 사씨남정기/구운몽, 춘향전, 장화홍련전, 콩쥐팥쥐전, 심청전, 흥부전, 임진록, 임경업전
- 장시의 놀이문화/집회 장소화
- 황해도 봉산탈춤, 강령탈춤, 안동 하회탈춤, 통영 오광대놀이, 양주 산대놀이
- 판소리 12마당 : 춘향가, 박타령, 가루지기타령, 심청가
- 민간신앙 : 반유교적 - 동제, 장승제, 성황제, 삼신신앙, 가을고사
- 정감록(후천개벽, 화덕(火德)을 가진 왕조가 도래한다), 미륵신앙, 무속신앙, 천주교 등 유행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