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통신시스템

정보통신공학과 통신학과, 정보처리기사 등 정보통신시스템 요약정리 33. 패킷데이터 통신의 개요

반응형

33. 패킷데이터 통신의 개요

가. 데이터 통신의 개요
일반적으로 데이터 통신은 멀리 떨어진 컴퓨터나 각종 정보처리 기기들을 통신 회
선으로 연결하여 2진 부호로 표시된 데이터(정보)를 송수신하거나 처리하는 통신을 말
하며, 전화 이외의 모든 비음성 통신을 데이터 통신으로 보기도 한다. 음성 통신이 보
통 사람과 사람 사이에 하는 의사 전달의 수단인 반면에, 데이터 통신은 기계(컴퓨터)
를 상대로 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즉, 데이터 통신은 컴퓨터와 컴퓨터, 또는 컴퓨터와
단말장치 간의 통신이며, 여기서 취급되는 정보는 컴퓨터로 처리 가능해야 할 뿐만 아
니라, 통신 속도가 고속이면서 대량의 데이터를 취급할 수 있어야 한다.
데이터 통신은 전기통신이 제공하는 통신 기능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전기통신과 같
은 방식이지만, 데이터 통신에서의 통신 채널은 전기통신을 이용하여 정보 공급자(제
공자)와 정보 수신자가 소유하는 컴퓨터와 데이터 처리 능력을 가지는 단말기를 연결
하는 것이기 때문에, 데이터 통신은 단말, 전송로, 컴퓨터의 3개 구성요소로 나눌 수
있고, 기능 및 역할로 보아서는 데이터 전송과 데이터 처리로 구분할 수 있으며, 양쪽
의 기능을 하나로 종합한 것이 데이터 통신이라고 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은 정보 공급자인 중앙 컴퓨터와 정보 수요자인 단말기 사이의 통신뿐
만 아니라 개인과 개인 사이의 통신도 가능하다. 은행의 온라인 시스템이나 기업의 재
고 관리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컴퓨터 네트워크인 LAN을 비롯해서 부가가치통신망
(VAN : Value Added Network), 종합정보통신망 등의 통신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이제는 금융, 유통, 행정 분야를 넘어, PC의 대중화와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개인 간의 전자우편 등 다양한 정보서비스의 제공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한편, 전화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와 단말이 전화
망에 접속될 때 2진 데이터를 전화망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모
뎀이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데이터 통신의 초창기에 하이텔(Hitel)과 천리안
등의 PC통신 서비스가 이에 해당된다.


나. 패킷데이터 통신
전화망에서의 교환기는 스위치를 접속하여 상대방과의 회선이 연결되면 통신이 끝
날 때까지 연결 상태를 지속하고 있다.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는 통화 상태의 유지 여
부에 관계없이 회선이 연결되어 있어 전화요금은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즉, 통화
를 하지 않고 있는 중에도 통화회선이 연결되어 있어, 이 회선을 다른 사람이 이용할
수 없으므로 회선의 이용효율이 낮다. 다만, 장시간 통화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통화
를 완료하여 다른 사람이 회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선을 사용하지 못하는
시간은 적은 편이다.
그러나, 컴퓨터를 상대하는 데이터 통신의 경우에는 회선의 이용률이 현저히 떨어
진다. 예를 들면, 여행사 창구에서 항공기 티켓을 예약하는 경우, 고객이 희망하는 비
행기편을 단말로부터 입력해서 통신회선을 통해 중앙의 컴퓨터에 보내고, 중앙의 컴퓨
터는 보내온 내용을 체크해서 그 결과를 예약 손님의 단말에 보내게 된다. 이와 같은
내용의 통신을 몇 회 반복한다고 할 때, 회선이 연결되어 있는 시간은 몇 분이 되지만,
실제 목적을 이루기까지의 데이터 통신 시간은 불과 몇 초에 지나지 않는다. 이러한
대화형 데이터 통신은 통신 빈도가 낮고 정보가 간헐적으로 보내지기 때문에, 회선 이
용률이 매우 낮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 패킷데이터 통신이며, 메시지를 패킷(packet)으로 나누어
보내면서 패킷이 전달될 때에만 회선을 사용할 수 있고, 패킷이 전달되지 않을 때에는 다른 단말이 그 회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패킷이란 원래 소포
또는 소화물이란 뜻이며, 데이터 통신에서는 메시지를 일정한 크기로 나누어 그 곳에
수신처의 주소를 붙여서 보내는 것을 일컫는다. 즉, 각 패킷에는 수신처, 주소, 성명,
내용의 종류 등을 기입한 꼬리표에 해당하는 패킷의 헤더(header)를 부착한다. 일반
적으로 128바이트 또는 256바이트가 표준적인 패킷의 크기이며, 1,024바이트 또는
2,048바이트의 긴 패킷도 있다.
패킷데이터 통신은 송신측에서 전송할 메시지를 일정 길이의 패킷으로 분할하고,
여기에 수신자 정보 등이 포함된 헤더를 부착하여 보내고, 수신측에서는 수신된 패킷
을 다시 조합하여 원래의 메시지로 복원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패킷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통신망 내에 패킷 교환 처리를 수행하는 패킷교환기를 구비해야 하
며, 패킷교환방식에 대해서는 제2장 제3절에서 이미 기술하였다.
패킷데이터 통신은 군사용 음성통신회선의 도청방지를 위해 창안되었으나, 처리과
정과 경로 및 제어방식의 복잡성으로 인한 기술적 어려움으로 초기에는 실용화에 어려
움이 있었다. 그 이후에 광범위한 지역에 설치된 컴퓨터간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자원을 공유할 필요가 있었고 컴퓨터 간에 고속의 대용량 전송능력이 요구되었는데,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전용회선의 비용이 너무 비싸서 교환
기술을 통한 통신망의 구성이 필요하였다. 또한 대형 컴퓨터 뿐만 아니라 소형 컴퓨터
의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컴퓨터 자원이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있으므로, 교환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의 요구가 더욱 커져서 패킷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운용하게 되었으며, 이
러한 환경은 컴퓨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에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