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물과학

(15)
수능, 농업직, 농학과, 축산기사, 종자기사 등 대비 생물과학 요약 - 7. DNA와 유전정보 7. DNA와 유전정보 1. 유전자의 실체 DNA 가. 유전물질이 DNA임을 밝힌 실험 1) 박테리아를 이용한 실험 ① ‌1828년 그리피스(Griffith, F.)는 폐렴을 일으키는 박테리아(폐렴쌍구균)에 병원성이 있는 것(S형)과 없는 것(R형)이 있다는 사실을 알았고, 그 병원성 박테리아(S형)를 끓여서 죽인 다음 살아 있는 비병원성 박테리아(R형)와 섞어서 쥐에 주사하였는데 그 쥐가 죽었다. ② ‌1944년 에이버리(Avery, O.T.)와 매카르티(McCarty)가 그리피스와 똑같이 실험을 하였고, 그 결과 죽은 병원성 박테리아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처리한 후 살아 있는 비병원성 박테리아와 함께 쥐에 주사하면 쥐가 죽었으나, 죽은 병원성 박테리아를 DNA분해효소로 처리한 경우는 쥐가 죽지 않았다...
수능, 농업직, 농학과, 축산기사, 종자기사 등 대비 생물과학 요약 - 6. 유전자와 형질유전 6. 유전자와 형질유전 1. 유전자와 유전법칙 가. 멘델의 교배실험 ① ‌멘델은 완두(Pisum sativum)의 자가수정을 통하여 순계(pure line, 부모세대와 똑같은 자손을 생산하는 계통)를 육성한 다음, 7가지 형질에 대해 각 형질마다 뚜렷이 구별되는 2가지 표현형(대립형질)을 택하여 교배실험을 하였다. ② ‌멘델이 단성잡종교배에서 얻은 F1(first filial generation)들은 모두 양친 중 어느 한쪽 친의 형질만 나타났으며, F2에서는 F1에서 나타난 형질과 나타나지 않은 형질이 3:1로 분리되었다. ③ ‌F1에서 나타나는 형질을 우성(dominance)이라 하고, 나타나지 않는 형질을 열성(recessive)이라 불렀다. 나. 멘델의 제1법칙 : 분리의 법칙 1) ‌멘델은 단성..
수능, 농업직, 농학과, 축산기사, 종자기사 등 대비 생물과학 요약 - 5. 물질대사와 에너지 획득 5. 물질대사와 에너지 획득 1. 물질대사와 에너지 가. 물질대사가 필요한 이유 ① ‌생명체를 구성하고 있는 물질(분자)들은 물질대사를 통해 계속 새로운 것으로 바뀐다. ② ‌사람 몸을 이루는 분자들은 약 7%가 매일 바뀐다. ③ ‌물질대사는 생명체의 몸 안에 필요한 유기물의 양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해 준다. 나. 생명체가 필요로 하는 에너지 ① ‌자연에서 일어나는 변화(일)에는 반드시 에너지(energy)의 출입이 따른다. ② ‌생명체의 생명활동도 운동·소화·호흡·혈액공급·체온유지, 세포막의 물질수송, 세포 분열 시 염색체이동, 세포질유동 등의 일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③ ‌생명활동을 위해 사람(성인)은 하루에 평균 2,200kcal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며, 특히 체온유지에 많은 양의 에너..
농업직, 농학과, 축산기사, 종자기사 등 대비 생물과학 요약 - 4. 광합성에의한 유기물 생산 4. 광합성에의한 유기물 생산 1. 광합성 빛에너지(686kcal) 6CO2 + 6H2O C6H12O6 + 6O2 1) ‌식물은 무기물인 이산화탄소(CO2)와 물(H2O)로부터 유기물인 당을 생산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잎의 엽록체에서 수행되는 대사계이며 빛에너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광합성(photosynthesis)이라 한다. 2) ‌광합성은 빛이 참여하는 명반응(light reaction, 광화학반응)과 빛의 직접 참여 없이 진행되는 탄소반응(carbon reaction, 칼빈회로)의 2단계를 거쳐 일어난다. 3) ‌명반응은 물과 빛에너지가 참여하여 산소·NADPH·ATP를 생성하고, 탄소반응은 명반응에서 생성된 NADPH와 ATP로 이산화탄소를 고정하여 당으로 환원한다. 4) ‌탄소반응은 ..
농업직, 농학과, 축산기사, 종자기사 등 대비 생물과학 요약 - 3. 세포의 구조와 기능 및 세포증식 3. 세포의 구조와 기능 및 세포증식 1. 세포설의 발달가. 세포설① ‌1665년 훅(Hooke, R.)이 처음 발견하였고, 그는 자신이 만든 현미경으로 떡갈나무의 코르크조직을 관찰하여 많은 ‘작은 상자’들을 보았으며, 그것을 ‘세포(cell, 라틴어 ‘cellula’에서 유래됨)’라 불렀다.② ‌1831년 브라운(Brown, R.)이 식물세포에서 핵을 발견하였다.③ ‌1839년 푸르키녜(Purkinje, J.)는 살아 있는 세포의 내용물을 가리켜 원형질(지금은 세포질이라고 함)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④ ‌1839년에 식물학자 슐라이덴(Schleiden, M.J.)과 동물학자 슈반(Schwann, T.)은 각각 식물세포와 동물세포를 관찰하고, “모든 생명체는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는 세포설(cell 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