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교육학의 이해
2. 교육학의 이해1)
1) 교육학의 개념
-교육 현상을 설명하는 여러 이론들, 원리와 법칙의 체계
-교육의 현상과 행위에 관한 학문적 탐구과정과 그 과정을 통해 획득된 지식의 체
계를 통칭
2) 교육학의 유형
-최초의 교육학 강의 개설: 칸트가 1776년 겨울 학기 이후 네 차례에 걸쳐 개설
(1) 사변적 교육학
-교육학을 학문적으로 체계화: Herbart(1776-1841)
-그의 저서 『일반교육학(1806)』에서 처음으로 하나의 학문으로서 교육학을 체계
화 시도. 교육의 목적은 실천철학(윤리학)에서 그 방법은 심리학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교육의 목적은 “견고한 도덕적 품성의 도야”라고 제시. 이를 위
해 관리, 수업, 훈육이라는 방법을 제시
-교육의 일반적 목적으로부터 교육의 방법을 연역해내는 규범적 교육학 입장 대변
(2) 경험(과학)적 교육학
-이런 사변적 교육학에 반기를 들고 일어난 것이 Durkheim(1858-1917)
-교육현상을 가치중립적으로 기술, 분류하여 그 법칙을 포착. 이를 위해 객관적ㆍ실
증적 방법 -관찰, 실험, 통계 등 계량적 방법- 을 동원하여 교육학을 교육의 과학
으로 정립하려 함
(3) 비판적 교육학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비판 이론을 토대로, 교육을 사회전체 속에서 이해하려 함.
-교육의 역사적ㆍ사회적 성격 강조. 교육체제 속에 들어있는 사회적 모순을 분석하
고, 이를 극복하려는 이론적 노력 시도.
-교육체제와 사회구조 사이의 의존관계 -교육을 통한 사회적 불평등 재생산 등-
중점 연구
1) 고려대 교육문제연구소(2009),『교육학특강』, 서울: 원미사, pp. 23-24
교육철학
1. 교육철학의 개념2)
-Phenix: 철학적 방법과 견해를 교육이라고 하는 분야에 적용
-Rein: 교육 작용의 네 가지 전제를 바탕으로 교육현상을 체계화하는 것:
1. 인간은 인간에 의해 인간이 된다, 2. 교육은 미성숙자에 가해진다, 3. 교육은 계
획적인 작용, 영향, 감화, 4. 교육은 지속적 활동
-Brown: 교육학에서 쓰는 여러 언어의 뜻을 명확하게 밝히며, 교육학자들이 당연시하는
전제들을 검증함으로써 교육학을 논리적으로 체계화하는 것
-오사다: 여러 교육 현상을 꿰뚫고 있는 교육의 본질을 파악하는 것
-김정환: 철학의 여러 기능을 구사하여 교육현상 일반 및 교육학을 체계적으로 분석, 연
구, 구축하는 학문
-교육철학이란:
2. 교육철학의 기능3)
1) 교육적 현상 탐구 방식
-과학적 접근방법과 철학적 접근 방법
*과학적 접근법: 기술/서술 - 설명 -예측 -통제
*철학적 접근법: 분석, 평가, 사변, 종합
2) 교육철학의 기능
(1) 분석적 기능
-교육의 이론적 탐구나 실천적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개념을 명확히 하고, 명제들
의 논리적 모순이나 모호성을 밝히는 기능
-불분명한 개념, 용어, 명제의 의미를 분명히 하고 논리적 모순을 제거하는 일련의 분석,
검토과정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능가할 수 없다"
-“똑똑하다”
2) 김정환ㆍ강선보(2005), 『교육철학』, 서울: 박영사, pp. 23-26
3) 신득렬 외(2004), 『쉽게 풀어 쓴 교육철학 및 교육사』, 서울: 양서원, pp. 292-298
(2) 평가적/ 규범적 기능
-교육현상이나 교육적 사태에 대해 가치판단이나 평가
-교육에 관한 주장이나 이론, 명제, 원리, 실천 활동을 어떤 기준이나 준거에 의해 판단하
는 기능
-분석적 기능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경우가 많음
*“교직의 자율성은 이루어지고 있는가?”
(3) 사변적 기능
-교육의 이론과 실천에 있어서 문제 해결의 새로운 방향이나 가치를 제언하는 기능. 새로
운 가설을 제시하거나 전망하는 활동
->문제 해결의 새로운 방향 모색을 위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사고행위
-사변적 기능은 그 자체로서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평가적ㆍ분석적 기능을 기초로 가능
*“바람직한 인간교육의 방향‘: 인간교육
바람직한
(4) 종합적/통합적 기능
-교육이론이나 실천에서 제각기 따로 분리되어 있는 개별적이고 단편적인 여러 사실들을
하나의 유기적인 체계로 조직하고 통합하는 일
주요 교육사상가들
1. Socrates(B.C. 470-399)4)
1)생애
2)교육사상
-교육방법은 문답/대화법 = +
-소피스트들의 상대주의 비판. 절대적 가치 및 진리 확신. 인간이 만물의 척도라면
인간의 첫 번째 임무는 자기 자신을 아는 일
-무엇이 옳은지를 아는 사람은 그 지식으로 인해 옳은 것을 행할 것이며, 무지한
사람이라면 모르기 때문에 잘못된 일을 행할 것
->앎과 삶의 일치 추구(知行合一)
4) 고려대 교육문제연구소 편(2009),『교육학특강』, 서울: 원미사, p. 51
'교육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직 공무원, 임용고시 등 시험 대비 교육학개론 핵심 요약 요점 정리 1. 교육과 교육학의 이해 (0) | 2021.10.2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