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독법과 전염병학

공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56. 직업병 관리

반응형

56. 직업병 관리

1. 직업병의 정의


직업병(occupa tiona l disea se)은 근로자들이 그 직종이 가지고 있는 특정한
요인으로 그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에게만 발생하는 특정 질환을 말한다.

 

2. 직업병의 원인

 

1) 물리적 원인
작업환경의 온도, 소음과 진동, 유해광선, 전리방사선, 이상기압, 기계적 손상 등의
물리적 원인에 의하여 생기는 것


2) 분진에 의한 것
무기분진, 유기분진, 금속분진에 의한 폐질환


3) 화학적 원인
유해가스, 중금속, 유기용제, 살충제 등 화학적 유해 물질에 의해서 생기는 중독성


4) 생물학적 원인
세균, 곰팡이 등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것과 취급하는 동물 또는 식물에 의한 것

 

3. 직업병의 종류


1) 감압증(잠수병, 잠함병)


(1) 발생원인
- 고압환경에서는 질소가 혈액에 용해되어 인체조직에 확산, 흡수되며, 지방 조직에
많이 축적되고, 용해된 질소는 감압과 동시에 체외로 배출되나 감압이 급격하면,
조직 중의 질소는 완전히 체외로 배출되지 못하고 기포상태로 혈관이나 조직에
남아 혈액순환저해 및 조직을 압박하여 여러 가지 증상을 일으킨다.


(2) 예방대책
- 작업시간을 제한하고, 단계적 감압을 실시하도록 교육하며, 반복 잠수를 금지한다.

 

2) 산소결핍증(저산소증)


(1) 발생원인
- 고공비행을 하거나 높은 산에 오를 때, 또는 산소 탱크 청소 시에 산소 결핍증을
초래할 수 있으며, 귓속의 내압이 외압보다 커져서 고막이 외이도 쪽으로 밀려
통증이나 항공성 중이염, 난청 등을 수반하기도 한다.


(2) 예방대책
- 작업장에서 자주 산소 농도를 측정하고 환기를 시키며, 필요할 때에는 보호구를
착용한다.

 

3) 직업성 난청


(1) 발생원인
- 감음계의 장애현상으로 일반적으로 90 데시벨(dB) 이상의 작업장에서 1일
수 시간씩 작업할 때 발병한다.
- 자각증상은 이명, 두통, 현기증, 초조감, 불면증 등이 나타난다.


(2) 예방대책
- 난청의 치료방법은 없으므로 소음 발생원인을 차단, 보호기구 착용(귀마개) 및
소음의 발생을 줄이도록 한다.

 

4) 레이노 현상(Raynaud’s phenomenon)


(1) 발생원인
- 진동작업자에게 잘 발생되는 직업병으로 손, 발의 간헐적인 창백, 청색증, 동통,
저림, 냉감 등의 증상이 있다.


(2) 예방대책
- 작업시간의 단축, 완충장치, 공구 개선 등이 있으며 특히 국소진동의 대책으로는
작업시간을 1일 2시간 이하로 단축시켜야 한다.

 

5) 분진


(1) 진폐증
- 분진이 흡입되어 폐에 축적되면 특유한 생체반응을 일으켜 폐포 내에 병적인
상태가 발생하여 폐결핵과 유사한 증상을 일으킨다.
- 호발 직업으로는 광산, 채석장, 벽돌 제조공이다.
- 증상은 보통 먼지흡입으로 폐의 이물반응에 의한 결절이 형성되고 광범위한
섬유증식(fibropla sia )이 나타난다.


(2) 규폐증
- 유리규산의 분진 흡입으로 폐에 만성 섬유증식을 일으키는 질환이며, 결정형이
가장 문제가 된다. 증상은 호흡곤란, 기침, 흉통 등이다.

 

(3) 석면폐증
- 석면섬유가 세기관지에 부착되어 그 부위의 섬유증식이 생기는 것으로 기계적인
자극에 의해 형성된다.
-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흉통, 전신쇠약, 기침, 가래 등이 나타나고 합병증으로 폐암이
발생한다.

 

(4) 예방대책
- 분진 발생 작업 시 유리규산의 노출을 줄이기 위해 건식에서 습식방법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 의학적 관리로는 작업 전 폐결핵에 대한 스크리닝과 과거 분진노출 작업력이나
폐질환 조사, 채용 시에 폐활량 측정 등이 필요하다.

 

6) VDT 증후군(Visua l Disp la y Term ina l)


(1) 발생원인
- 컴퓨터를 비롯한 영상단말기를 장시간 사용하는 직업에 나타나는 증상들을 일컫는
것으로써 주로 근골격계 통증, 즉 목과 어깨, 손목과 손가락에 나타난다.
- 심하면 거북목(일자목), 목 디스크 등을 유발한다.


(2) 예방대책
- 시간 당 15분 정도의 적절한 휴식을 취하여야 하며 적합한 조명, 적정거리의 유지
및 화면과의 적절한 각도가 중요하다.

 

7) 미용종사자의 직업병


(1) 직업성 요통 및 근육통
(2)산업피로
(3)화학물질에 의한 접촉 피부염
(4)하지정맥류 등

 

4. 작업환경관리의 원칙


작업환경관리의 기본원리는 대치, 격리, 환기이다. 이는 직업병 예방대책 중
일차예방에 해당한다.


1) 대치(substitution)
(1) 공정의 변경
- 공정과정 중 유해한 과정을 안전하고 효율적인 공정과정으로 변경하는 것으로,
페인트의 비산방지를 위하여 페인트 분무방법 대신에 전기흡착식 방법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2) 시설의 변경
- 공정 변경이 안될 경우 사용하고 있는 위험시설이나 기구를 바꿈으로써 효과를
보는 것을 말한다.


(3) 물질의 변경
- 물질의 변경은 가장 흔히 사용하는 대책으로 유사한 화학구조를 갖고 있는 다른
물질로 대치하는 경우를 말한다.

 

2) 격리(isola tion)
작업자와 유해요인 사이에 장벽이 놓여 있는 것으로, 장벽이란 물체, 거리,
시간이다.
예를 들면 방사선동위원소 취급 근로자의 보호대책으로 많이 사용한다.
격리대상은 저장물질, 시설, 공정 및 작업자이다.
방법으로는 격리저장, 위험시설의 격리, 공정과정의 격리 등이 있다.


3) 환기(ventilation)
작업자의 호흡기로부터 유해증기를 포착하여 배출하기 위해 또는 쾌적한 온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국소배기와 전체환기가 있다.

 

5. 작업환경관리를 위한 교육


1) 관리자에게 작업환경관리의 필요성을 교육한다.
2) 기술자에게 안전보건문제를 계획하고 처리할 것인가에 대해 교육한다.
3) 감독자에게 공정이나 환경, 작업자 등을 감독하도록 교육한다.
4) 작업자에게는 작업자 자신이 다루는 시설이나 기구, 물질에 대해 미리 교육을 시행한다.

 

<산업보건 정리>

 

산업보건의 목적은 작업환경에서 생기는 직업병 발생을 막거나, 줄이고 근로자가
가진 질병이 작업환경에 의해 악화되지 않도록 하여 생산성 향상이라는 산업목표에
도달하는데 있다.
직업병이란 근로자들이 그 직종이 가지고 있는 특정한 요인으로 그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에게만 발생하는 특정 질환을 말한다.
작업환경관리의 기본 원리는 대치, 격리, 환기이다. 이는 직업병 예방대책 중
일차예방에 해당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