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보호기사

농업직, 식물 원예 등 핵심만 모은 식물보호기사 정리 파트 5. 식물병리학

반응형

5. 식물병리학

분류

균류의 분류

전통적 균류의 분류는 형태적 특징과 유성번식체의 발육을 기준으로 하였다.

균류분자계통분류는 핵산의 염기배열에 기준을 둔다.

균류의 분류는 계통진화 연구로 다른 생물군에 비하여 유동적이라 할 수 있다.

형태적 특징에 의한 균류의 분류는 변할 수 있다.

<진균>

진핵생물이다.

타급영양(heterotrophy)을 한다.

주로 실모양이다. (균사)

균사로 양분을 흡수하고, 균사가 모인 덩어리는 균핵이라 한다.

핵은 1개의 세포에 1개 이상 있다.

대부분 세포벽은 있으나 엽록소는 없다.

세포벽은 키틴으로 구성되었다. (섬유소 X)

영양기관: ★균사체, 균사속, 균핵, 자좌, 후벽포자, 흡기

번식기관: 포자, 포자퇴, 포자낭, 분생자병, 분생자좌, 병자각, 자낭각, 자낭구, 자낭반, 버섯, 담자포자, 난포자 등

균류의 영양섭취방법: 기생 부생, 공생 등 (항생 X)

감자 역병의 병원균이 곰팡이라는 것을 처음으로 증명한 사람은 De Bary이다.

고구마무름병은 사상균에 의한 병이다. (진균)

사과 겹무늬썩음병의 병원균은 진균(곰팡이)이다.

토마토 시들음병, 감자 역병 등

곰팡이의 분화형을 뜻하는 용어는 forma specialis (for.)

<진균-자낭균류>

복숭아 잎오갈병의 병원균은 진균(자낭균)이다.

★★벚나무 빗자루병은 진균(자낭균류)에 의한 병이다.

벼 깨씨무늬병은 자낭균류에 의한 병이다.

보리 흰가루병균에서 자낭포자를 볼 수 있다. (자낭각, 균사)

배나무 검은별무늬병

<진균-담자균류>

녹병균(rust)이나 깜부기병(smut)균처럼 후막의 휴면포자인 겨울포자가 발아해서 전균사(promycelium)을 만드는 균이 소속된 분류군은 담자균류. (기주교대균류 대부분 담자균류)

담자균에 의한 병은 화곡류 녹병, 보리 줄기녹병, 보리 겉깜부기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등이 있다.

보리 겉깜부기병은 담자기와 담자 포자를 형성한다.

★★수목 뿌리에 많이 발생하여 목재생산에 피해를 주는 과수 자주날개무늬병이 속하는 진균류는 담자균이다.

담자균류에는 녹포자, 여름포자, 겨울포자 등이 존재한다.

(유주포자 X)

배나무 붉은별무늬병

<진균-불완전균류>

★유성번식을 하지 않거나 매우 드물게 하는 것은 불완전균류이다. 유성세대가 알려져 있지 않다.

무성포자를 형성하나 유성포자를 형성하지 않는다.

불완전균류에 의한 병: 토마토 잎곰팡이병

<원생생물류> (분류 복잡함.. 현재는 진균으로 분류하지 않음)

- 조균류, 난균류, 접합균류, 유주자균류, 점균류(끈적균류)

식물에 병을 일으키는 원핵생물로 곰팡이의 균사체와 비슷한 형태를 갖는 미생물은 끈적균

난균, 접합균은 균사에 격막이 없다. (자낭균, 담자균은 있다.)

유주자를 생성하여 병을 전염시치는 균은 난균류이다.

고추 역병균은 유주자낭을 형성하는 병원균이다. (역병, 노균병 등)

오이 노균병은 난균류이다.

Pythium은 난균류이다.

[참고] 난균류는 격벽(격막)이없는 균사로 이루어져 있어 한때 접합균류와 함께 진균으로 분류되기도 하였으나, 규조류, 갈조류와 유연관계가 있어 원생생물계로 분류하게 되었다. 난균류의 세포벽에는 셀룰로오스가 포함되어 있는 반면에 균류의 세포벽에는 키틴이 포함 되어 있다.

<세균>

★세균이 식물에 병을 일으킬 수 있음을 처음으로 밝힌 사람은 Burrill이다. (미국, 배나무 불마름병; 화상병)

★세균은 원핵생물이다.

★유사분열을 하지 않는다.

★핵막이 없다.

미토콘드리아가 없다.

세포질에 소포체와 같은 막구조물이 없다.

식물병원세균의 학명도 2명법을 사용한다.

식물세균의 종류에 따라서는 아종(subspecies)로 나누기도 한다.

병원형(pathovar)의 기재가 필요한 경우에는 종명 뒤에 pv.를 붙여 사용한다.

식물병원 세균의 종 이하의 분류단위에서 pv.(pathovar)가 의미하는 것은 기주에 대한 병원성이 다른 균이다.

식물병원세균의 분류와 동정에서 분자생물학적 성질은 기준이 될 수 있다.

세균의 변이 기작: 접합, 형질전환, 형질도입 (이핵현상 X - 진균에서 나타남)

★★그람양성 세균[보라색]

★감자 둘레썩음병
Clavibacter
감자 더뎅이병
Streptomyces
토마토 궤양병
 

그람염색 반응은 세균의 세포벽 구조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람 음성 세균[분홍색]: 대부분의 세균 (Bacillus X)

★벼 흰잎마름병, 복숭아 세균성구멍병
Xanthomonas
콩 세균성점무늬병, 담배 불마름병
Pseudomonas
★벼 세균성알마름병 = 벼알마름병
Burkholderia
★가지과 풋마름병
Ralstonia
오이류 풋마름병, ★채소 세균성무름병,
배나무 화상병
Erwinia
뿌리혹병(근두암종병)
Agrobacterium

기타: 사과나무 불마름병

일반적으로 세균의 플라스미드(Plasmid)에 의해 지배되는 형질은 항생제에 대한 내성, 기주에 대한 병원성, Bacteriocin 생성 등이다. (편모의 구조 결정 X)

★★★식물체에 암종(Gall)=혹=증생병을 형성하며, 유전공학연구에 많이 쓰이는 식물병원 세균은 Agrobacterium tumefaciens이다.

무 검은썩음병은 세균에 의한 병이다.

<바이러스>

담배의 모자이크병은 미생물에 의한 것이 아니라 살아있는 감염성 액체에 의한 것이라고 결론짓고 그 원인을 바이러스라고 처음으로 부른 사람은 Martinus Beijerinck이다.

바이러스는 절대기생체(순활물기생체)이다.

핵산은 RNA 또는 DNA이다.

★주요 구성성분은 핵산과 단백질이다. (RNA와 Coat Protein)

기타 성분으로는 미량 탄수화물, 금속 이온 등이 있다.

핵단백질은 외막으로 둘러싸여있지 않다. (핵, 핵막 없음)

세포를 가지고 있지 않다. (원생동물, 원핵생물, 진핵생물 X)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는 세균에 기생하는 바이러스이다.

콩괴저병의 병원은 바이러스이다.

벼 오갈병은 바이러스에 의해서 일어나는 병이다.

벼 오갈병 바이러스의 핵산은 이중 쇄상의 RNA(dsRNA)

식물바이러스는 감자한천배지에서 배양할 수 없다.

핵산 단독으로도 감염 및 증식이 가능한 식물바이러스가 있다.

식물 바이러스의 전염은 매개충을 비롯한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식물바이러스는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으나, 광학현미경으로는 관찰할 수 없다.

★식물바이러스의 분류 기준이 되는 특성: 핵산의 종류, 매개체의 종류, 입자의 형태적 특성 (세포벽의 구조 X - 세포벽 없음)

식물바이러스의 형태는 막대모양, 둥근 막대모양, 실모양, 공모양, 바실리모양으로 구분된다. (올챙이모양 X)

길이: Closterovirus > Potyvirus > Carlavirus > Rhabdovirus

<파이토플라즈마>

★★세포벽이 없고, 원형질막은 있다.

원핵생물로 ★인공배지에 배양이 되지 않는다.

기생체이고, ★곤충에 의해 매개되는 특성이 있다.

세균과 바이러스의 중간형태로 알려진 식물병원 미생물이다.

병원체의 크기가 일반적으로 매우 작아 관찰을 위해서는 전자현미경을 사용해야만 한다.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물질에 의해 억제된다. (감수성이다)

★★파이토플라즈마(Phytoplasma)에 의해 발생하는 병: 오동나무 빗자루병, 대추나무 빗자루병, 뽕나무 오갈병, 양파 누른오갈병, 붉나무 빗자루병 등

<바이로이드>

★★Viroid라는 병원체가 처음 밝혀지게 된 식물의 병은 감자 걀쭉병이다.

처음 발견한 사람: Diener

★현재 알려진 식물병원체 중 크기가 제일 작다.

핵산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타>

생물성 병은 전염성이고, 비생물성 병은 비전염성이다.

세균, 파이토플라즈마 등은 생물성 병원체이다.

순활물기생균(절대기생균)은 인공배양은 어려우나 일부 녹병균에서 성공한 사례는 있다. (맥류 줄기녹병균, 목화 녹병균)

다른 생물의 사체나 죽은 조직에서만 영양분을 섭취하는 것은 부생균(순사물기생체)이다.

표징(Sign)은 관찰되지만, 배양이 어려운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는 병해는 흰가루병, 노균병 등이 있다. (순활물기생체)

토양 내에서 생존하는 부생성 선충에는 없으나 수목의 뿌리를 가해하는 식물기생성 선충에는 있는 특징적인 구조는 구침이다. (즙액을 흡즙)

Spiroplasma(스피로플라즈마): 세포벽이 없어 다형성 세포(Pleomorphic Cell)이며, 액체배지에서는 나선형을 나타내나, 고체배지에서는 'Fried Egg' 형태의 균총을 형성하며,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에는 감수성인 균이다.

유사균류(Fungal-like Organisms): Plasmodiophoromycota, Myxomycota, Acrasiomycota, Dictyosteliomycota 등

생활사

무성포자: 분생포자, 난포자, 휴면포자, 후벽포자 등

유성포자: 접합포자, 유주자, 자낭포자, 담자포자

제1차 전염원: 균핵, 균사, 자낭포자, 담자포자 등 (유주자 X)

제2차 전염원: 분생포자, 유주자 등 (담자포자 X)

영양섭취법에 따른 균 분류

★★절대기생체
(순활물기생체)
녹병, ★흰가루병, 노균병, 무사마귀병, 붉은별무늬병, (인공배양 가능: 목화 녹병, 맥류 줄기녹병)
임의기생체
★고구마 무름병, 잿빛곰팡이병, 모잘록병
임의부생체
★감자 역병, 배나무 검은별무늬병, ★깜부기병
절대부생체
(순사물기생체)
목재 심부썩음병

푸사리움균(Fusarium) 등에서 알려진 하나의 세포 내에 유전적으로 다른 2개 이상의 반수체핵이 존재하는 현상은 이질다핵현상이다.(Heterokaryosis: 녹병균, Fusarium균, Bipolaris균 등에서 발생)

균사나 분생포자의 세포가 비대해져서 생성되는 것은 후벽포자이다.

후벽포자로 월동하는 병원균은 Fusarium oxysporum이다.

플라스크 모양의 자낭과 머리 부분에 공구(Ostiole)가 있는 것은 자낭각이다.

[ 참고 ] 자낭의 형태

흰가루병균이 갖고 있는 흡기(haustorim)란 기주 세포로부터 영양분의 흡수를 담당하는 균사이다. (세포벽 분해, 침입, 산소 흡수, 표면 흡착 X)

사과나무 부란병균의 월동처는 병든 줄기 및 가지이다. (자낭포자)

감자 둘레썩음병균이 월동하는 곳은 덩이줄기이다.

벼 흰잎마름병균은 주로 겨풀 뿌리(잡초)에서 월동하여 제1차 전염원이 된다.

사과나무 부란병의 월동처는 병환부의 주지이다.

벼 깨씨무늬병은 짚 또는 종자에서 월동한다.

맥류 흰가루병은 자낭각, 균사의 형태로 병든 낙엽 또는 가지에서 월동한다.

배추 노균병이 만드는 유성포자는 난포자이다.

포도나무 노균병의 월동 형태는 난포자이다.

Rhizoctonia속의 균은 일반적으로 포자를 만들지 않고 균사의 형태로 존재한다.

주요 기주교대 병(이종기생균, 순활물기생체, 절대기생체)

기주
중간기주
★사과/배나무 붉은별무늬병
★향나무
★맥류(밀) 줄기녹병
★매자나무
밀 붉은녹병
좀꿩의다리
★소나무 혹병(혹녹병)
졸참/신갈/떡갈/굴참나무 (참나무류)
소나무류 잎녹병
(소나무, 해송, 곰솔)
황벽나무, 참취, 잔대 등
★잣나무 털녹병
송이풀, 까치밥나무
향나무 녹병
배나무
포플러 잎녹병
낙엽송, 현호색, 줄꽃주머니

★보리 겉깜부기병은 현재 중간기주가 발견되지 않아 이종기생(기주교대)하지 않는 것으로 분류되는 녹병이다.

보리 속깜부기병과 겉깜부기병 구분: ★후벽포자의 비산 유무

여름포자를 형성하지 않고 겨울포자를 형성하는 녹병균: 향나무 녹병균, ★★배나무 붉은별무늬병균

여름포자 형성: 소나무 혹병균, 포플러 잎녹병균, 잣나무 털녹병균

향나무에 형성된 배나무 붉은별무늬병균의 포자는 겨울포자

맥류의 줄기녹병의 병반에서 녹과 같은 붉은 가루의 표징을 나타내는 포자는 여름포자

포플러 잎녹병의 잎 뒷면 노란가루: 하포자

발생

★★식물병 발생에 필요한 3대 요인은 기주, 병원, 환경이다. (매개충X)

식물병의 발병조건: 병원(病原), 소인(素因), 유인(誘因) (주인X)

소인: 장기간에 걸쳐 피해를 받게 하는 인자

유인: 단기간에 피해를 크게 주는 인자, 환경적 요인

식물이 병에 걸리기 쉬운 성질은 감수성이다.

병 발생이 용이한 환경에서 병원력이 강한 병원균이 존재하는 토양에 저항성이 강한 작물을 재배하였을 때의 병 발생 정도: 감수성 작물 재배 시보다 적게 발생한다.

병원성의 생리적 분화는 영양요구성의 차이로 발생한다.

발병도(Severity): 식물병을 측정할 때 병든 식물체 조직의 면적 또는 양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주로 식물체의 전체면적당 발병 면적을 기준으로 하는 것

[참고] 발병률(Incidence): 조사한 총 식물체 단위에 대한 병든 식물의 단위의 수 또는 비율

[참고] 병진전 곡선(Disease-Progress Curve): 시기별로 병의 진전 상황을 조사하여 곡선으로 나타낸 것

병의 대발생 역사

★19세기 스리랑카는 커피 녹병으로 관련 산업이 황폐화되었고, 커피문화가 차(茶)문화로 바뀌었다.

★★★★19세기 아일랜드 지방에 감자 역병이 크게 발생하여 100만명 이상이 굶어 죽었다.

★20세기 미국 동부지방 주요 수종인 밤나무는 밤나무 줄기마름병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동양에서 미국으로 옮겨가 큰 피해를 끼침)

★20세기 미국 전역에서 옥수수 깨씨무늬병이 크게 발생하여 관련 제품 생산에 큰 차질을 가져왔다.

발병 환경 각론

★못자리나 기계이앙을 위한 상자육묘에서 문제가 되는 벼의 주요 병은 모잘록병이다.

무가온 시설재배에서 발생하는 병해 중 가장 낮은 온도에서 발생하는 병은 균핵병이다.

하우스에 재배하는 채소에서 과습과 저온에서 많이 발생하는 병은 딸기 잿빛곰팡이병이다.

[참고] 시설재배 환경과 주요 병

저온다습
노균병, 잿빛곰팡이병, 탄저병 등
고온건조
시들음병
고온다습
무름병, 탄저병, 흰잎마름병, 풋마름병 등
건조
흰가루병

사과탄저병의 발병에 알맞은 기상 조건은 고온다습

★벼 흰잎마름병 발생과 전파요인은 태풍과 침수이다.

고추 역병의 발병요인은 침수이다.

장마철 계속되는 강우 조건에서 발생하기 쉬운 맥류의 병은 붉은곰팡이병이다.

4~5월 강우일수와 강우량이 병의 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병해는 배나무 붉은별무늬병이다.

병의 발생이 전염기의 강우일수와 강우량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는 것은 벼 오갈병

벼 도열병이 다발하는 조건: 비가 자주 오고 일조가 부족하며 다습한 일기일 때 (저온 다습)

★★벼 잎집무늬마름병의 발병 최성기는 고온 다습한 시기이다. (발생조건: 고온다습, 밀식, 비료과다, 이른 이앙) (늦은 파종 X)

토양습도가 작물이 생육하기에 적합한 상태보다 건조할 때 오이 덩굴쪼김병이 잘 발생한다.

오이 세균성점무늬병균이 증식하기 가장 적합한 식물체 내 부위는 유조직의 세포간극이다.

사질토양의 논에서 벼 깨씨무늬병의 발생이 심하다. (추락답)

붕소가 부족하여 사과나무에서 발생하는 병은 축과병이다. (붕소결핍: 무/배추 속썩음병, 사과 축과병, 갈색 속썩음병, 담배 윗마름병 등)

철분 결핍에 의해 수목에 나타나는 전형적인 이상증상은 황화

묘포장에서 어린 묘목에 피해를 입히는 원인은 과습, 모잘록병균, 뿌리썩이선충 등이다. (균근균 X)

산불 발생 직후에 특히 많이 발생되는 수목병해는 리지나뿌리썩음병(Rizina Root Rot)

2~3년생의 소나무 가지가 죽고, 죽은 가지 수피에 농갈색의 자낭반이 나오는 병은 소나무 피목지고병(가지마름병)

전반, 전염

병원체가 기주에 접촉하여 실제 감염으로 이어지는 것을 유효전반이라고 한다.

★★★벼에 발생하는 병으로서 병원균이 종자전염하는 것은 키다리병이다.

바이러스의 종자전염이 가장 문제가 되는 식물은 콩

보리 겉깜부기병은 화기전염된다. (주로 꽃을 통해 침입)

사과 탄저병균 전반에 가장 효과적인 전파수단은 비바람이다.

벼 흰잎마름병은 물을 매개로 전염하는 세균성 식물병이다.

물에 의하여 주로 전염되는 병은 벼 잎집무늬마름병

병원균이 점질물에 싸여있기 때문에 수매전반을 주로 하는 식물병은 사과 탄저병이다.

주로 토양 전염되는 병은 고추 역병

토양전염을 할 수 있는 바이러스는 potato mop-top virus

오이 덩굴쪼김병은 주로 토양에서 전반된다. (균사, 후막포자로 월동, 사질토양에서 피해가 큼)

잣나무/소나무 잎떨림병의 1차 전염원은 ★자낭포자이다.

봄의 배롱나무 흰가루병의 전염원: 낙엽에서 자낭포자가 비산하여 1차 전염원이 된다.

★잣나무 털녹병의 전염경로: 잣나무 녹포자 > 송이풀 여름포자(하포자) > 송이풀 겨울포자(동포자) > 송이풀 담자포자(소생자) > 잣나무에 침입

주로 풍매전반을 하는 병은 배나무 붉은별무늬병이다.

배나무 붉은별무늬병: 바람에 의한 병원균의 유효 전반거리가 1.5km정도이고 향나무가 가까이 있을수록 감염율이 높다.

중간기주인 배나무에서 향나무로 날아와 향나무 녹병을 발생시키는 포자는 수포자(녹포자)이다.

소나무류 잎떨림병, 복숭아 잎오갈병은 한 해에 1차 감염만 일어나고 2차 감염은 일어나지 않는다.

★★주요 매개충과 병

병명
병원
매개충
★벼 줄무늬잎마름병
바이러스
애멸구
★보리
줄무늬모자이크병
바이러스
? (경란전염)
★벼 오갈병
바이러스
끝동매미충, 번개매미충
(경란전염)
★★순무/오이/배추
모자이크병
바이러스
진딧물
Nepovirus
바이러스
토양 선충
Geminivirus
바이러스
담배가루이
★대추나무 빗자루병,
뽕나무 오갈병,
붉나무 빗자루병
파이토플라즈마
마름무늬매미충
오동나무 빗자루병
파이토플라즈마
★담배장님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오동나무애매미충
(오동나무이 X)
양파 누른오갈병
파이토플라즈마
 
★참나무 시들음병
 
★광릉긴나무좀
느릅나무 시들음병
진균
느릅나무좀

진딧물에 의해 바이러스가 전염되어 발생하는 병은 배추 모자이크병이다. (=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MV], 순무 모자이크 바이러스[TuMV])

배추에 모자이크 병징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인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MV)와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TuMV)의 전염 방식은 충매 전염.

바이러스의 비영속적 전염: 구침형 바이러스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의 전염경로: 오염토양, 담배 피우던 손, 도염된 농구 (담배나방 X)

침입

일반적인 세균의 침입처: 상처, 밀선, 수공 (각피 X)

식물병원성 세균이 식물의 세포벽을 붕괴시키기 위해 생성하는 효소는 펙틴분해효소, 단백질분해효소, 셀룰로오스분해효소 등이 있다. (타닌 분해효소 X)

[참고] 병원균의 식물세포벽 분해효소 (Phosphatase X)

★Cutinase
큐틴 분해효소
잿빛곰팡이병, 모잘록병, 보리 줄무늬병, 보리 흰가루병
★Pectinase
펙틴 분해효소
자주빛날개무늬병, 채소 세균성 무름병, 모잘록병, 고구마 무름병, Fusarium균
★Cellulase
셀룰로오스 분해효소
 
★Ligniase
리그닌 분해효소
목재 흰썩음병(=목재 백색썩음병)

사과나무를 전정할 때 생긴 상처를 통하여 주로 침입, 발병하는 대표적 병해는 부란병이다.

주로 수공감염 하는 작물의 병은 벼 흰잎마름병

병원체가 각피를 통해 직접 침입하는 균은 ★벼 도열병, 장미/보리 ★흰가루병, 사과나무 탄저병, 밀 줄기녹병 등이 있다. (★밤나무 줄기마름병 X)

대부분의 병원균이나 병원세균은 바랑 등에 최소한 얇은 막의 수분이 필요한데, 물 없이 식물체를 둘러싸고 있는 상대습도만 높아도 포자가 발아하고 침입하여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은 흰가루병균이다.

저항성

유전자 대 유전자 이론: 병원균의 병원성과 기주의 저항성은 병원균이 가지고 있는 병원성 유전자와 이에 대응하는 기주의 저항성 유전자의 조합으로 결정된다는 이론

유전자 대 유전자설을 제창한 학자는 Flor이다.

품종과 레이스 사이에 특별한 유전자 대 유전자의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저항성으로 품종 고유의 소수 주동유전자에 의하여 발현되어 재배환경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저항성은 수직저항성이다.

레이스 비특이적 저항성 = 다인자 저항성 = 수평 저항성 = 포장 저항성 = 일반적 저항성 (미동 유전자)

레이스 특이적 저항성 = 단인자 저항성 = 수직 저항성 = 진정 저항성 (주동 유전자)

★과민성반응: 레이스 특이적 저항성, 수직저항성, 급격한 산화반응의 결과이며, 기주와 병원체가 불친화적이다. = 괴사적 방어

도열병균의 한 레이스를 한 벼 품종에 접종하였더니 병반형성이 전혀 없거나 과민성 반응이 나타났다면 이 품종이 가진 저항성은 수직 저항성이다.

병원균이 기주식물에 침입을 하면 병원균에 저항하는 기주식물의 반응으로 항균 물질 및 페놀성 물질 증가 등의 작용을 확대 저항성이라고 한다.

salicylic acid 또는 dichloroisonicotinic acid와 같은 화학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것은 유도 저항성

★한 식물체의 병에 대한 저항성이 무너지게 되는(저항성에서 감수성으로 바뀌는) 가장 큰 요인은 병원균의 변이(새로운 race출현)이다.

병원성이 다른 레이스가 가장 많이 알려진 병원균은 Puccinia graminis이다. (맥류 줄기녹병)

병원균의 감염에 의하여 식물체 속에 형성되는 phenol류는 저항성 기작과 관련이 있다.

★파이토알렉신(Phytoalexin)은 기주와 병원균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기주가 생성’하는 발병억제물질이다.

Pisatin(완두), Ipomeamarone(고구마), Phaseolin, Capsidiol 등 (Salicylic acid X)

★동물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지만 식물체 내에서 식물에 의해 생성되는 항체는 Plantibody이다.

독소

★★★★★★감염된 식물체를 가축이 먹으면 해로운 병은 맥류(보리, 밀) 붉은곰팡이병이다. (알칼로이드 독소, 인축 식중독 유발)

★맥각병에 걸린 균핵을 먹으면 중독을 일으킨다. (유독한 알칼로이드)

사람이나 가축에 독작용을 나타내는 맥각중독증을 일으키는 식물병원균은 Claviceps purpurea

곡물저장에서 주로 문제가 되는 병원균은 Aspergillus flavus

기주특이적 독성물질을 분비하는 병원균에 의하여 발생하는 병은 배나무 검은무늬병이다.

[참고] 주요 기주특이적 독소와 병원균 (Mycotoxin X)

★★★Victorin
귀리 마름병
AK 독소, Altenine
배나무 검은무늬병
Alternaria kikuchiana
AM 독소
사과나무 점무늬낙엽병
Alternaria mali
AL 독소
토마토 줄기마름병
HMT 독소
옥수수 깨씨무늬병
HC 독소
옥수수 그을음무늬병
PC 독소
수수 Milo병

비기주특이적독소(Mycotoxin), 사람이나 척추동물에 생리적 장해를 일으키는 곰팡이 대사산물 (매칭 잘 할 것!)

오크라톡신
Ochratoxin
★Aspelgillus ochraceous
아플라톡신
Aflatoxin
Aspergillus flavus
파튤린
★Patulin
Aspergillus clavatus
Penicillium 속
시트리닌
Citrinin
Penicillium citrinum
제랄레논
★★Zearalenone
Fusarium graminearum
디옥시니발레놀
Deoxynivalenol
Fusarium graminearum
푸모니신
★★Fumonisin
Fusarium moniliforme
트리코테신
Trichothecene
Fusarium속
테누아조산
Tenuazoic Acid
=Tentoxin
Alternaria alternata,
Pyricularia oryzae
에르고톡신
Ergotoxin
Claviceps속
지베렐린
Gibberellin
Gibberella fujikuroi

★사료에 함유된 균독소의 피해는 식물 병원균의 감염으로 인한 피해이다. (물 부족으로 인한 시들음 증상, 미량요소 부족으로 인한 황화현상, 강한 햇볕으로 인한 과일의 괴저현상 등은 병원균에 의한 피해가 아님)

병징

식물 바이러스 병징 중 세포조직의 괴사로 나타나는 증상은 반점, 둥근겹무늬, 줄무늬 등이 있다. (위축 X)

전신감염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세균, 바이러스, 파이토플라즈마 등이다. (선충 X)

★★글루티노사 담배=야생담배(Nicotiana glutinosa)에 TMV(담배 모자이크바이러스)를 접종했을 때 “접종된 잎에만” 주로 국부병징이 나타난다.

식물에 모자이크 증상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병원체는 바이러스이다.

고추 모자이크병은 표징보다는 주로 병징으로 진단할 수 있다.

★★지베렐린은 벼 키다리병균이 분비하여 벼가 비정상적으로 신장하는데 관계하는 생장조절제이다.

토마토 풋마름병: 감염된 식물체의 지상부는 푸른 상태로 시들고, 진전되면 식물체 전체가 변색되어 말라죽는다. 시든 줄기를 칼로 잘라 깨끗한 물에 담갔을 때 절편에서 희뿌연 물질이 흘러나온다. (세균병) > 식물체의 물관에 침입하여 증식

토마토 풋마름병의 올바른 진단법으로서 가장 유의할 점은 물관부의 갈변이다.

수목병의 증상: 소나무 시들음, 밤나무 줄기마름, 호두나무 뿌리혹 (아까시나무 뿌리혹 X)

복숭아 세균성구멍병: 병원균에 감염된 식물체가 이층(Abscission)을 형성함으로써 감염부위가 건전부위와 격리된다.

사과나무에 발생하는 병 중 병든 부위로부터 알코올냄새가 나는 특징으로 진단이 가능한 병은 부란병이다.

Pectobacterium(Erwinia)속 무름병의 가장 대표적인 진단 기준은 악취 발생이다.

과수 근두암종병의 발병 부위는 줄기 밑부분이다.

밤나무 줄기마름병의 병반 부위의 전형적인 병징은 궤양이다.

감염기주에서 인돌아세트산(옥신)의 분비량을 증가시키는 병원균은 감자 역병, 배추 무사마귀병, 옥수수 깜부기병 등이 있다. (완두 검은무늬병 X)

[참고] 옥신 증가 병원균

감자 역병
Phytophthora infestans
배추 무사마귀병
Plasmodiophora brassicae
옥수수 깜부기병
Ustilago maydis
사과 붉은별무늬병
Gymnosporangium juniperivirginaianae
바나나 시들음병
Fusarium oxysporum f. cubense
세균성 시들음병
Pseudomonas solanacearum
근두암종세균
Agrobacterium tumefaciens

아밀라리아(Armillaria) 뿌리썩음병균에 의해 나타나는 증상: 자실체(버섯), 근상균사속(뿌리모양의 균사다발), 부채꼴 모양의 흰색 균사매트 (균핵 X)

토마토에 발생하는 병해 중 비기생성 병해는 배꼽썩음병이다. (Ca 결핍)

잎에 누렁 증상(황화)이 나타나는 원인: 질소결핍, 저온, 파이토플라즈마 감염 등 (불소독성 X - 불화수소는 백화현상)

PAN에 의한 식물 피해는 잎의 은색화, 유리화, 광택화 등이며, 특히 어린 잎이 민감하다.

뿌리에 선충의 피해를 받은 수목이 지상부에 나타나는 증상: 황화, 시들음, 성장저해 (반점 X)

기생성 종자식물: 국부적 이상 비대, 기주로부터 양분과 수분 탈취, 저장물질의 변화 및 생장 둔화 (태양광선의 차단 X)

표징

식물병에 있어서 표징(Sign)이란 병환부에 나타난 병원체이다.

식물병을 진단할 때 가장 확실한 수단은 표징이다.

병징인 동시에 표징인 것은 오이 잎의 흰가루 (흰가루는 주로 표징으로 보자)

자낭포자로 인한 표징이 잘 나타나지 않는 병은 벼 깨씨무늬병이다.

★오이에 발생하지만 표징을 보기 어려운 병은 모자이크병이다. (균핵병, 노균병, 흰가루병은 표징 有)

흰가루병, 녹병, 깜부기병은 병반 위에 분생포자에 의해 가루모양의 표징을 나타낸다.

탄저병은 타원형의 갈색무늬가 생기고 도관부가 검게 변한다.

씨방의 엽화, 잎의 황화현상, 식물체 전체의 위축은 표징이 아니다.

★밀 줄기녹병의 특징적인 표징은 포자퇴이다.

벼 잎집얼룩병의 특징적인 표징은 균핵이다.

잎은 시들고 흑색으로 변해 말라 죽었으며 병환부에서 황색 점액이 누출된 경우 표징은 황색 점액이다.

★비생물학적 병원에 의해 발생하는 생리병해는 병징만 나타나고, 표징은 나타나지 않는다.

사과나무 부란병의 분생자각은 표징이다.

★대추나무 빗자루병은 표징을 관찰할 수 없다. (비전염성병, 바이러스병, 바이로이드, 파이토플라즈마 등 표징을 보기 어려움)

소나무류 잎마름병(엽고병)은 병든 잎의 기공에 구형의 자좌, 병자각 등의 표징이 나타난다. (자좌와 병자각이 함께 선택지에 있을 때는 자좌를 답으로 고를 것)

배나무 줄기마름병에서는 병징이 나타난 곳에서 병자각을 볼 수 있다.

병원균의 분생포자각과 자낭각이 보이는 식물병은 밤나무 줄기마름병

진단

코흐의 원칙(Koch‘s Postulates)

병의 원인을 증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칙이다.

4단계의 규칙으로 구성되었다.

식물병뿐만 아니라, 동물병에도 적용될 수 있다.

모든 식물병원체에 적용할 수 없다: ★바이러스, 흰가루병, 노균병은 적용할 수 없다.

병원체를 확인하고 동정(identification)할 때 적용해야 한다.

병원체는 분리되어 배지에서 순수배양 되어야 한다.

★순수배양한 병원체를 건전한 기주에 접종하였을 때 동일한 병이 발생하여야 한다.

★병환부에는 그 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되는 병원체가 항상 존재하여야 한다.

★발병한 부위로부터 접종에 사용하였던 것과 동일한 병원체가 재분리 되어야 한다.

주요 세균병의 한천배지 반응

★식물병균 세균 중 육즙한천배양기 상에서 황색균총을 형성하는 것은 Xanthomonas이다.

병명
세균속
편모
한천배지
벼 흰잎마름병
Xanthomonas
단극모
황색 원형
복숭아나무 세균성구멍병
Xanthomonas
단극모
황색 원형
벼 세균성알마름병
Burkholderia
단극모
황록색 원형
콩 세균성점무늬병
Pseudomonas
단극모
형광색 원형
담배 불마름병
Pseudomonas
단극모
형광색 원형
가지과 풋마름병
Ralstonia
단극모
백색 원형
뿌리혹병
Agrobacterium
단극모
백색 원형
오이류 풋마름병
Erwinia
주생모
백색 원형
배나무 화상병
Erwinia
주생모
백색 원형
채소 세균성무름병
Erwinia
주생모
회백색 불규칙
감자 더뎅이병
★★
Streptomyces
★분지성 사상체
백색, 황갈색 원형
감자 둘레썩음병
Clavibacter
없음
 

* 균사와 같은 연쇄상 = 분지성사상체

진단법

★판별품종: 병원균의 병원성 분화형/생태형(Race)을 결정(인식)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일군의 기주 품종이다.

벼 도열병균의 레이스(Race)를 구분할 때 사용하는 판별품종: 인도계(T), 일본계(N), 중국계(C) [필리핀계(R) X]

★제한효소를 사용하여 DNA 특정 염기부위를 잘라 DNA 절편 다양성을 통해 병원체를 동정하는 진단법은 RFLP(제한효소 절편길이 다형성,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이다.

★중합효소연쇄반응(PCR)법은 핵산분석에 의한 진단방법으로, 핵산과 DNA를 증폭시키는 것이다.

★샤이고미터(Shigometer)는 수목의 목재썩음병의 진단에 이용되는 기기이다.

★식물 바이러스병을 진단하는 방법: 지표식물 이용, 전자 현미경 관찰, 항혈청반응 이용법, 핵산 분석 (그램염색반응 X - 세균 진단법)(배양학적 진단 X - 바이러스는 인공배지에 배양 불가)

★★혈청학적 진단법: ★바이러스 진단방법이며, ELISA법(효소결합항체법), 슬라이드법, ★형광항체법, 적혈구응집반응법, 한천겔확산법[AGID], 직접조직프린트면역분석법[DTBIA] 등이 있다.

식물병의 면역학적 진단방법을 의미하는 용어는 ELISA이다.

효소결합항체법(ELISA)은 다클론항체법과 단클론항체법이 있으며, 다클론항체법은 특이성과 신뢰도가 낮다.

한천겔확산법은 한 번에 여러 가지 진단이 가능하다.

★생물학적 진단법: 바이러스병 진단법이며, 지표식물 진단법, 괴경지표법, 채아법, 박테리오파지법, 병든 식물즙액접종법, 협촉반응법, 유전자법 등이 있다. (X-체 검정법 X)

지표식물인 천일홍에 인공즙액을 접종한 결과로 진단할 수 있는 병은 감자 X 바이러스(PVX)이다.

★괴경지표법은 씨감자 중에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을 선별하여 도태시키기 위한 것으로, 온실에서 생육한 감자의 눈에 나타난 병징으로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판정한다.

벼 오갈병은 충체 내 주사법으로, 오이 노균병은 즙액접종법으로 감염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해부학적 진단법: 현미경을 이용하여 조직에 있는 병원균의 존재와 형태를 관찰하여 진단하는 방법이며, 유출검사법, 그람염색법, 침지법(DN), 초박절편법(TEM), 면역전자현미경법, X체 검사법 등이 있다. (★파지의 검출 X) (?)

바이러스에 감염된 식물에서 봉입체를 확인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광학현미경을 사용한다.

파이토플라즈마 진단법: 전자현미경으로 사부내의 세포 관찰, 이병 절편을 Dienes' stain하여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 이병 조직의 사부를 DAPI로 염색하여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 (명아주 지표식물을 이용한 생물검정관찰 X)

Dienes 염색약은 파이토플라즈마에 의한 식물병의 진단에 사용되는 것이다.

방제

<발생예찰>

식물병의 발생 예찰 시 사용하는 요인: 기상, 병원체의 밀도, 작물의 생육 (작물의 수량 X)

<경종적 방제>

★저항성 품종을 이용한 방제방법으로 가장 큰 문제점은 저항성 품종의 이병화현상이다.

중간기주인 향나무류를 제거하면 사과나무 붉은별무늬병의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다.

★pH가 5.0인 산성조건에서 많이 발생하고, 석회를 이용한 토양산도 조절로 pH를 7.0 이상으로 조절하여 방제하는 병은 배추 무사마귀병이다.

[참고] 토양 조건과 주요 병

산성
무/배추 무사마귀병
알칼리성
감자 더뎅이병
미숙유기물
자주빛 날개무늬병

토마토 시설재배에서 자외선 차단 비닐을 이용하여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는 병은 잿빛곰팡이병이다.

재배시기를 앞당기거나 늦춤으로써 토양병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시기를 피할 수 있다.

접목재배를 하여 오이나 수박의 토양병을 해결할 수 있다.

윤작(돌려짓기)이나 혼작을 이용한 경종적 방제는 연작에 의한 ★토양전염성 병에 효과적이며, 병원균의 기주범위가 넓은 경우는 효과가 떨어진다. 기주식물이 없어도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는 균핵병과 같은 경우는 적당하지 않다.

오이재배 시 양파와 혼작하면 덩굴쪼김병을 방제할 수 있다.

순무 모자이크바이러스는 진딧물이 활동하는 시기를 피하여 재배한다.

★★오이 모자이크병의 방제에는 매개곤충 방제가 가장 효과적이다. (복숭아혹진딧물)

딸기 시들음병은 고온에서 잘 발생하므로 고온의 시기를 피하여 재배한다. (28℃의 고온, pH 낮을 때 많이 발생)

과수 탄저병이나 사과 부란병 등은 병든 가지나 줄기에서 월동한 병원체가 다음해 전염원이 되는데, 이들 1차전염원을 제거하는 방제법은 포장위생이다. ex)이병식물의 제거

사과 탄저병에 가장 효과적인 대처법: 봉지씌우기

벼 깨씨무늬병에 가장 효과적인 비화학적 방제방법은 합리적인 비배관리이다.

<물리적 방제>

종묘소독은 종자와 종묘 외에도 덩이뿌리 등 영양번식체를 소독하는 방법이다.

★종자소독제: 처리가 간편하고 시간과 노력에 비해 효과가 크다.

보리 줄무늬병의 방제 방법 중에서 가장 중요하며 제1차적으로 시행하여야 하는 것은 종자 소독이다. (토양소독, 약제살포, 윤작 X)

<생물학적 방제>

미생물의 길항작용, 상호경쟁 또는 병저항성 유도를 이용하여 병을 억제한다.

★병이 발생한 후에는 치료의 효과가 낮다.

★신속하고 정확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넓은 지역에 광범위하게 적용하기가 어렵다.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아 처리효과가 일정하지 않다.

★밤나무 줄기마름병은 ds-RNA 저병원성 균주를 이용한 생물적 방제를 한다. (DNA X)

Bacteriocin: 자신과 근연한 세균에 대해서만 항균작용을 나타내는 단백질 물질이다.

식물병원균에 대한 길항균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Trichoderma harzianum이다.

[참고] 길항미생물

세균
Agrobacterium, Bacillus, Pseudomonas, Streptomyces
진균
Ampelomyces, Candida, Coniothyrium,
Glicoladium, Trichoderma
기타
Agrobacterium radiobacter K84
(Agrobacterium tumefaciens균에 의한 뿌리혹병을 방제)

Trichoderma속 균에 의하여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는 병은 Rhizoctonia속 균에 의한 병이다.

소나무 혹병이나 잣나무 털녹병의 수포자 형성을 억제하여 생물방제 이용 가능성이 있는 기생균은 Tubeculina maxima이다.

교차보호: 기주식물의 면역 또는 저항성 개선을 위해 약독계통의 바이러스를 미리 감염시켜 식물체를 강독계통의 바이러스의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화학적 방제>

★경엽처리제: 농약 사용량을 계속 증가하여도 방제효과는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

★토양처리제: 작물을 심기 전 주로 유제나 액제를 토양 속에 잘 혼입되도록 처리한다. (표면에만 X)

★훈연제: 연무기를 이용한 연무를 살포하거나 약제를 태워 훈연입자를 확산시킨다.

살균제를 계속해서 사용하면 효력이 점차 떨어지는 이유는 저항성균의 발생이다.

살균제에 대한 저항성 유발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농약살포 횟수를 최소화한다. 항저항성 물질이나 협력제를 첨가한다. 상이한 유효성분을 가진 약제를 교대로 살포한다. 침투성살균제와 보호살균제를 상황에 맞게 사용해야 한다.

보르도액은 프랑스학자 Millardet에 의해 처음 개발이 되었고, 포도 노균병 방제를 위해 사용되는 보호살균제로, 황산구리와 석회를 혼합해서 만든다.

보르도액에서 살균효과가 있는 유효성분은 구리이다.

★★대추나무 빗자루병 방제를 위해 나무주사(수간주사)에 사용되는 항생제는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이다.

★★파이토플라즈마에 의한 수목병인 뽕나무 오갈병의 치료제로 주로 쓰이는 것은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이다.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사용 적기는 수액 상승이 왕성한 4~5월이다. (3월초 X), 안전사용기준은 수확 30일 전까지 사용하는 것이다. 흉고직경이 15cm 미만인 경우 ★수돗물 1L에 약제 5g(5g/L)을 정량한 후 잘 저어서 녹인다. 흉고직경이 15cm 이상인 경우 1회에 1.5~2L 주입

병든 식물체에 살포하거나 주입하면 병징이 감소하며, 때때로 바이러스 입자가 사라지는 경우도 있는 항바이러스성 물질은 Ribavirin이다.

에르고스테롤(Ergosterol) 생합성저해제는 균사의 신장을 저해한다.

묘포장의 묘목을 가해하는 뿌리썩이선충을 방제하는 살선충제로 널리 사용되는 약제는 다조멧

<법적 방제>

식물방역법에는 수입 금지식물, 금지지역, 금지병해충을 명시하고 있다. 금지병해는 배 화상병, 담배 노균병 등이 있다.

<종합적 방제>

농약사용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제방법을 도입하여 효과를 높이는 것을 말한다. (여러 가지 농약 종합 X)

저항성 품종을 심고 적절한 재배관리를 함으로써 병해충의 피해를 줄여나가는 것이다.

병해충의 발생정보를 토대로 적절한 방제방법을 선택하는 것

<기타 방제 각론>

★시설재배에서 발생하는 토양 병해의 방제방법

습도조절, 태양열 소독, 훈증제 사용, 담수 등

(경엽처리제 사용X - 밀폐된 공간이므로 잔류 문제로 부적절)

(냉수온탕침법 X - 종자소독 방법임)

수목 병해 방제의 4원칙

배제, 보호, 제거 (살균 X)

제거: 기주가 자라는 곳에 이미 도입된 병원체를 없애는 것.

TMV(Tobacco Mosaic Virus)로 인하여 발병하는 고추모자이크병

전년도에 재배한 줄기나 뿌리를 제거한다.

제3인산소다를 이용하여 종자를 소독한다.

생육도중 발병한 식물체는 곧바로 제거한다.

(살충제로 매개곤충 제거X - 접촉전염하는 병이므로 효과 없음)

벼 흰잎마름병

비, 바람으로 상처를 입은 벼 잎가에 흰줄무늬(회백색 물결무늬)를 나타내는 세균으로 심하게 발병되면 수량저하를 초래하는 병원 세균이 속하는 속은 Xanthomonas

병원균은 Xanthomonas oryzae

볍씨소독을 철저히 한다.

★질소질 비료의 과용을 피한다.

폭풍우에 의해 묘가 ★침수되지 않도록 한다.

월동 잡초 및 피해를 입은 개체는 제거한다.

★(만코제브 수화제 X)

벼 도열병 방제

규산질 비료가 가장 효과적이다.

종자소독 시 방제효과가 크다.

★논바닥이 마르지 않도록 한다.

race비특이적 저항성 품종을 재배한다.

찬물을 직접 논에 넣지 않는다.

★덧거름은 너무 늦지 않도록 준다.

볏짚을 퇴비로 사용할 경우에는 충분히 부숙 시켜서 사용한다.

★병이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곳에서는 레이스 비특이적 저항성 품종(수평저항성)을 사용한다.

★파종시기가 늦어지면 도열병 발병이 증가하고, 이앙시기가 빨라지면 잎집무늬마름병 발병이 증가한다.

못자리, 분얼기, 출수기에 맞추어 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한다.

보리 겉깜부기병 방제

무병지에서 채종한 종자 사용

종자를 냉수온탕침법으로 처리

종자를 침투성 종자소독제로 소독

(보리 이삭이 필 무렵 석회 황합제 살포 X)

향나무 녹병 방제

향나무 부근에 사과나무를 심지 않는다.

중간기주식물에 4월부터 6월까지 방제약제를 살포한다.

향나무와 중간기주를 2km 이상 떨어져 심는다.

동포자에서 발아한 담자포자에 의해 중간기주 감염이 나타난다.

(10월에 병든 가지를 쳐낸다. X)

잣나무 털녹병 방제

살균제 살포, 내병성 수종의 육종, 중간기주 제거 (매개충 X)

소나무재선충(Pine Wood Nematode)에 의한 소나무 시들음병(Pine Wilt Disease) 방제

매개충 방제, 감염목 제거 및 훈증, 내병성 품종 육성 등이 있다. (중간기주 X)

사과나무 겹무늬썩음병 방제

저항성 품종 재배

★약제의 주기적 살포: 6월 상순에서 8월 하순까지 정기적으로 살균제를 살포한다. (10일 간격)

병든 과실이나 가지 제거 (주변 아카시아나무 제거)

나뭇가지에 형성된 사마귀를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것은 실효성이 떨어진다.

(토양 소독 X)

오이류 덩굴쪼김병 방제

종자를 소독한다

저항성 품종을 재배한다

호박이나 박을 대목으로 접목하여 재배한다.

(잎 표면에 약제 집중 살포 X - 토양병이므로 효과 없음)

사과나무, 배나무 불마름병(화상병) 방제

매개충 구제

석회보르도액 살포

감염된 부위 제거

(토양소독 X)

기타 각론

학명(시험에 나왔던 것만 적음)

벼 키다리병

불완전세대: Fusarium moniliforme

완전세대: Gibberella fujikuroi

벼도열병

완전세대: Magnaporthe grisea

불완전세대: ★Pyricularia grisea (P. Oryzae)

모잘록병 (원인 균이 다양함)

완전세대: Thanatephorus cucumeris

불완전세대: ★Rhizoctonia solani

Pythium debaryanum

Fusarium oxysporum

(Alternaria kikuchiana X)

★감자 더뎅이병: Streptomyces scabies

감자역병: Phytophthora infestans

채소류 균핵병: Sclerotinia sclerotiorum

가지과 풋마름병: Ralstonia solanacerum

배추 무사마귀병: Plasmodiophora brassicae

무, 배추 노균병: Peronospora brassicae

벼 흰잎마름병: Xanthomonas oryzae

포도 노균병: Plasmopara viticola

포도 잿빛곰팡이병: Botrytis cinerea

사과 점무늬낙엽병: Alternaria mali

겹무늬병: Alternaria solani

인삼 뿌리썩음병: Fusarium solani (불완전세대)

뽕나무 오갈병: Hishimonoides sellariformis

맥각병: Claviceps purpurea

감자역병

학명은 Phytophthora infestans이다.

★공기전염성균과 토양전염성균이 있다.

점균류, 접합균류에 의한 병이다. (담자균류 X)

병원균은 자웅이주성균으로 유성생식을 한다.

★균사 형태로 흙속의 병든 감자나 씨감자에서 월동한다. (포자로 토양에서 월동 X)

★잎 언저리에 암록색의 수침상 부정형 병반을 형성한다.

★주로 기온이 20℃ 내외이며 습기가 많은 조건에서 발병한다.

★★★19세기 중반 아일랜드에 큰 기근으로 인하여 100만명을 굶어 죽게 하였던 식물병이다.

역사적으로 1845년경에 대발생했다.

무병 씨감자를 사용하여 방제할 수 있다.

사과나무 역병

지표면 가까운 열매에 많이 발생

채소류 균핵병

병원균은 Sclerotinia sclerotiorum이다.

잎, 줄기, 열매 등에 발생한다.

★자낭포자나 균핵에서 발아한 균사로 침입한다.

★발병 후기에는 발병조직에 백색 균사가 나타난다.

★균핵이 땅 속에 묻혀 있다가 저온에서 발아한다. (고온 X)

채소류 잿빛곰팡이병

★딸기, 토마토, 고추 등에 발생한다.

★병환부에 형성된 분생포자가 바람에 의해 전파된다.

★시설재배의 경우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을 때 주로 발생한다.

노지재배의 경우 흐리고 비가 오는 날이 계속될 때 주로 발생한다.

다범성(polyxenic)이다.

잎보다는 꽃과 열매에 많이 발생한다.

방제: 관수는 최소한으로 줄인다.

질소질 비료의 과용을 피한다.

꽃, 잎, 열매꼭지에서 상처를 주의한다.

온도는 18~23℃가 되지 않도록 한다.

★하우스 내의 습도를 높게 유지하지 않는다.

★밀식을 피한다.

채소류 무름병

병원균은 Erwinia속에 속한다.

채소재배에서 제일 문제가 되는 병이다.

병에 걸린 조직은 효소작용으로 ★수침상이 되고 냄새가 난다.

주로 도관부, 유조직이 침해되어 무르게 된다.

방제 시 토양소독이 요구된다.

채소, 과수 흰가루병

밀가루 모양의 흰색포자를 잎의 표면에 형성한다.

순활물기생균으로 인공배양이 어렵다.

병 발생 후기에는 자낭각을 형성한다.

(잎이나 줄기를 시들게 만든다. X)

배추 무사마귀병

십자화과 작물에 발생한다.

병원균은 Plasmodiophora brassicae이다.

★배수가 불량한 토양에서 발생이 많다. (저온다습)

★토양산도 pH 6.5~7.0에서 발병이 낮다. (pH 낮은 산성 토양에서 잘 발병)

★유주자가 뿌리털 속을 침입하여 변형체가 된다.

순활물기생균으로 인공배양이 되지 않는다.

가지과 풋마름병

Ralstonia solanacerum에 의해 발생한다.

대표적 병징은 시들음 증상이다.

여름철 평균기온이 20℃ 이상인 경우 잘 발병한다.

비닐하우스 재배 시 과한 비료는 병 저항성이 감소된다.

피해가 심한 지역에서는 논으로 1년 정도 벼 재배를 실시한다.

일반적으로 토양에서 월동한 병원균이 뿌리의 상처로 침입하여 감염된다.

오이 노균병

난균류

★오이 잎에 발생하는 병해 (줄기 X)

수침상의 점무늬의 가장자리가 잎맥으로 포위되는 ★★다각형의 담갈색 무늬로 발전한다.

★★습기가 많으면 병든 부위의 뒷면에 서리 또는 (회색)가루모양의 곰팡이가 생긴다.

발병이 심하면 병환부가 말라 죽고 잘 찢어진다.

오이 모자이크병

진딧물에 의해 ★비영속성 전염을 한다. (영속적 X)

방제대책으로 저항성 품종을 이용한다.

★잎에서 황색의 반점이 다수 집합한다.

대부분 종자전염은 일어나지 않는다.

오이 외에도 다양한 작물에 발병한다.

CMV(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분포

방제: 저항성 품종 재배. 시설재배 시 입구에 방충망 설치로 진딧물 침입을 막는다. 포장 주변 전염 가능성이 있는 잡초를 제거한다. (진딧물 방제를 위해 페나리몰 유제를 적기에 살포한다 X - 향나무 녹병용 살균제임)

TMV(Tobacco Mosaic Virus)

핵단백질로 되어 있으며, 입자는 핵산이 단백질에 감싸여 있다.

길이는 300nm, 너비 18nm로 막대모양이다. (공모양 X)

TMV의 구조 중 단백질 껍질을 켑시드라 한다.

복숭아나무 잎오갈병

★자낭균에 속하는 진균에 의해 발병한다.

★24℃ 이하의 저온에서 잘 발병한다.

★발아 전 약제(디티아논 수화제) 살포로 방제할 수 있다.

주로 잎에 발생하며, 꽃에도 발생한다.

전형적인 병징은 이상 비후이다. (천공, 위조, 도장 X)

분생포자의 형태로 침입한다. (균사 X)

벼 도열병(불완전균류)

★불완전세대로 Pyricularia grisea (P. Oryzae)이다.

병원균의 학명은 Magnaporthe grisea이다.

병원균에는 여러 가지 레이스가 존재한다.

공기전염성 식물병이다.

병원균의 분생포자는 곤봉형이며, 8~12개의 격막을 가지고 있다. (3개 X)

병원균이 균사 또는 분생포자 형태로 월동하고 다음 해의 제1차 전염원이 된다. 제1차 전염에 의하여 병무늬가 생기고 거기에 분생포자가 형성되면 그것이 바람에 날려 제2차 전염을 계속한다.

★★★담녹갈색(암녹갈색)의 짧은(작은) 다이아몬드형(마름모=방추형, 장방추형) 병무늬를 형성한다.

잎, 잎자루, 잎혀, 마디, 이삭목, 이삭가지, 볍씨 등에 발생한다.

볍씨의 발아 직후부터 발생하여 출수 후 성숙기까지 계속 발생한다.

야간온도가 높고 습한 조건에서 질소질비료를 과용한 논에 잘 발병한다.

관개하거나 강수량이 많은 곳에서 재배하며, 다량의 질소비료를 사용하는 곳에서는 가장 중요한 병이다.

비가 자주 오고 일조가 부족하며 다습할 때 다발한다.

벼 줄무늬잎마름병

감염 매개곤충은 애멸구이다.

병원균이 곤충의 몸에서 월동한다. (애멸구)

유령병이라고도 하며, ★★병원균은 바이러스이다.

★피해를 입은 작물의 잎이 황백색으로 뒤어 뒤틀리거나 늘어지거나 말리고, 결국 고사한다.

추정, 일품, 농안, 봉광벼 등은 감수성 품종이다.

★방제: 애멸구 제거, 저항성 품종 재배, 논두렁 잡초 제거 등이 있다. (살균제 살포X - 바이러스라서 효과 없음)

벼 잎집무늬마름병(잎집얼룩병)

담자균류

발병최성기: 고온 다습한 8~9월

다범성 병원균이다.

주로 잎집에 발생한다.

균핵으로 지표에서 월동한다. >> 특징적인 표징도 균핵

주요 전염원은 월동균핵이다.

예방을 위해 칼륨질 비료를 충분히 시용한다.

다발생 조건: 밀식, 다비, 고온다습 (만파만식 X - 이앙, 파종시기가 빨라지면 발생한다.)

방제: 폴리옥신디 수화제

벼 키다리병

병원균은 Gibberella fujikuroi이다. (완전세대)

불완전세대는 Fusarium moniliforme이다.

육묘기의 본엽 2~3엽기부터 발생한다.

대형분생포자는 초승달 모양이다.

무발병지에서 채종하고 염수선한 수 종자소독한다.

소나무 재선충병

솔수염하늘소가 매개충이다.

잣나무, 소나무, 해송 등에서 발생한다.

아바멕틴 유제를 나무주사하여 방제한다.

피해를 입어 고사한 소나무는 벌채하여 메탐소듐 액제로 훈증 처리한다.

토양관주, 위생간벌, 피해목 제거 등으로 방제한다. (중간기주 제거 X - 이종기생균이 아니므로 효과가 없다.)

소나무류 잎마름병

진균(불완전균류)

소나무나 곰솔(해송)이 감수성 수종이다.

봄에 잎 끝부분이 갈색으로 변한다.

주로 1~2년생의 어린 묘목에서 심하게 발생한다.

(건조한 토양X)

감귤 궤양병

세균에 의한 병해이다.

귤굴나방에 의해 전염된다.

환기를 자주하여 방제할 수 있다.

과실의 색과 모양을 변화시켜 상품의 가치를 떨어뜨린다.

배나무 붉은별무늬병

병원균은 순활물기생균이다.

★여름포자를 형성하지 않는다.

병원균이 기주교대를 한다.

주요발병 부위는 잎, 열매, 가지이다.

잎에 병무늬가 많이 형성되면 조기 낙엽의 원인이 된다.

4~5월의 강우 직후에 2~3회 디니코나졸 수화제를 살포하면 방제가 가능하다.

배나무 검은별무늬병

사과나무 검은별무늬병을 일으키는 병균과 학명이 다르다.

병원균 월동 부위는 주로 낙엽 또는 인편이다.

개화직전과 낙화직후의 약제살포가 방제에 효과적이다.

자낭균이다. (담자균 X)

월동형태는 균사이다.

기타

병원균이 포도 탄저병균(Glomerella cingulata)과 같은 것은 사과 탄저병이다.

계산문제

소요약량 (농약학 계산문제 참고)

어떤 유제(50%)를 1,000배로 희석하여 150L를 살포하려 한다면 이 유제의 소요량은?

[풀이] 소요약량 = 살포량/희석배수

150L = 150,000ml

150,000ml ÷ 1,000 = 150ml

벼 도열병 방제를 위해서 가스가마이신․프탈라이드 수화제를 1000배로 희석하여 뿌리고자 한다. 물 1L에 수화제를 얼마나 타면 되는가?

[풀이] 소요약량 = 살포량/희석배수

1L/1000 = 0.001L → 물의 비중이 1이므로 0.001kg = 1g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