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보호기사

농업직, 식물 원예 등 핵심만 모은 식물보호기사 정리 파트 3. 잡초방제학

반응형

3. 잡초방제학

 

일반

관련 용어

- ★잡초란 인간의 의도에 역행하는 식물이다.

- 종자은행(seed bank) 또는 seed pool로 비유되는 것은 토양

- 잡초군락을 평가하는 기준: 중요값, 우점도지수, 유사성계수 (생장곡선 X)

- 동일약제에 대한 작물과 잡초의 반응차를 표현할 수 있는 것은 선택성지수

 

☆상호대립억제작용(타감작용, allelopathy)

- ★식물의 여러 기관에서 특정 물질이 분비되어 주변 식물의 발아나 생육에 영향을 주는 현상

- 식물체 분비물질에 의한 상호작용

- 잡초에서 생성되어 분비된 물질이 작물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 작물에 의해 잡초의 생육이 억제되는 경우도 있다.

- 잡초의 종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난다.

- 죽은 식물 조직에서 나오는 물질에 의해서도 상호대립억제작용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 (잡초가 태양을 가려 광합성을 저해하는 것 X)

 

잡초허용 한계밀도

- ★잡초허용 한계밀도: 방제 비용을 고려하지 않고 잡초가 작물 생육에 피해를 주는 시점의 잡초 발생밀도/ 잡초의 밀도가 증가되면 작물의 수량이 감소되고, 어느 밀도 이상으로 잡초가 존재하면 작물의 수량이 현저히 감소되는 수준까지의 밀도

- ★경합 허용한계 잡초밀도: 작물의 수량이 크게 감소되기 시작하는 수준의 잡초밀도

- ★경제적 허용한계 잡초밀도(economic threshold level): 방제노력(제초비용 등)과 방제로 인한 이득이 상충되는 수준까지 잡초를 허용할 수 있는 밀도. 작물의 수량감소를 허용할 수 있는 수준의 잡초밀도

 

잡초경합 허용기간 & 잡초경합 한계기간

- ★잡초경합 허용기간: 잡초경합으로 인한 작물의 손실량이 비교적 적은 기간으로서 생육 초기와 성숙말기의 기간 [초관(canopy)형성 후 생식생장 이전까지의 기간 X - 잡초경합 한계기간]

- ★잡초경합 한계기간: 작물과 잡초와의 경합으로 인한 작물손실의 영향이 비교적 적지만 치열한 경합을 벌이는 시기, 경합에 가장 민감한 시기. 작물의 초관형성기부터 생식생작기 사이의 잡초와의 경합기간

- 작물 생육기간이 100일이면 일반적인 잡초경합 한계기간은 파종 및 이식 후부터 20~30일 내 (첫 1/4~1/3)

- 초관 형성을 비효과적으로 하는 양파의 경우에 잡초경합 한계기간은 생육초기~초관형성기

- 방제는 잡초경합한계기간에 중점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 잡초방제 한계기간: (짧음) ★★녹두 < 벼 < 콩, 땅콩 < 옥수수 < ★★양파 (긺)

 

 

제초제 관련

- 제초제 저항성 잡초: 본래 제초제에 의해 잘 방제되었던 잡초가 제초제를 처리해도 잘 죽지 않는 생태형 변화된 잡초

-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발생 원인은 동일한 제초제 연용

-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방제 방법: 제초제를 순환 사용

- 제초제 처리층: 토양처리된 제초제가 일정 두께의 토양에 고루 분포되어있는 부위

- 제초제의 토양 중 지속성은 반감기(half life)로 나타내는데, 반감기란 처리한 제초제의 1/2이 소실되는데 요하는 시간이다. (단, 전 기간을 통하여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1차 반응식을 전제로 함)

 

잡초의 유익성

- ☆★★토양침식(유실) 방지

- ★★★토양물리 환경개선(물리성)

- ★★토양에 유기물 제공

- ★★★자원으로 이용가능(유전자은행)

- ★내성작물 육성을 위한 자원

- ★수질정화(물옥잠, ★부레옥잠)

- 가축사료로 이용(피)

- 민간 한방용(별꽃)

- 섬유, 종이 등 공예 원료(어저귀)

[참고] 어저귀: 줄기에서 윤기가 나는 섬유를 채취하여 로프와 마대를 만들고, 찌꺼기는 종이 원료로 사용

- 구황식물로 이용

- 곤충/야생동물/조류/미생물의 먹이와 서식처 제공

- 무공해채소(달래, 냉이, 쑥, 취)

- 약료/염료/향신료/향료(반하, 쪽, 꼭두서니, 쑥)

- 조경식물(벌개미취, 미국쑥부쟁이, 술패랭이꽃)

- 미적인 즐거움

- (작물과 같이 자랄 경우 빈 공간을 채워 도복을 막아준다. X)

- (토양에 많은 종자 제공 X)

 

잡초에 의한 작물의 피해

- 직접적 피해: 경합(물, 광선, 영양분), 기생, 상호대립억제작용

- 간접적 피해: ★★★병해충 매개(서식처)

- 농작물의 품질저하

- ★작업환경의 악화 (호전 X)

- 농가 작업 비용 증가

- 작물 수량 감소

 

잡초 방제의 주요 목적

- 작물수량증가, 작물품질향상, 병해충 서식처 제거 등

(오답이 되는 것은 잡초의 유익성에 해당하는 항목임)

 

 

 

 

 

 

 

잡초군락의 천이 원인, 다년생 잡초 증가 원인

-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잡초의 발생초종 구성이 변화하는 천이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제초제 사용(연용) - 직접적 원인

- ☆★★동일(유사) 제초제의 연용 (가장 큰 영향)

- ★★★★일년생 잡초에 유효한 제초제의 연용

- ☆춘경 및 추경의 감소, 경운 및 정지법의 변화

- ★답리작의 감소, 이모작의 감소, 인력제초의 감소

- ★★★시비량 증가, 퇴비시용량 증가 (퇴비시용량 감소 X)

- ★제초방법, ★★★물 관리 변화

- ★작부체계, 동일 작물의 지속적 재배

- ★★조기이식 재배 (조기이식 감소 X)

- 수확방법 및 시기, 본답시기 등

- 아닌 것: 병해충, 신품종 보급, ★연작재배, 외래잡초의 급격한 증가, 직파재배의 보급

 

잡초의 특성

- 휴면성이 강하다, 종자생산량이 많다.

- 전파수단이 다양하다.

- 불량 환경 적응성이 높다.

 

우리나라 경지에 발생하는 잡초의 특징

- 논에서의 잡초발생 최성기는 6~7월이다. (벼가 우점하기 전)

- 생태적으로 남방형 잡초가 많이 발생

- ★국화과>화본과>방동사니과 의 순으로 많이 발생

- 1모작지의 경우 추경답보다 춘경답에서 많이 발생(?)

 

잡초 종별 발생현황

발생비율(%)
품종수
19.5
국화과
Compositae
73
11.7
화본과
Poaceae
44
6.7
마디풀과
Polygonaceae
25
5.6
십자화과
Cruciferae
21
5.6
콩과
Fabaceae
20
4.6
꿀풀과
Lamiaceae
16
3.5
메꽃과
Convolvulaceae
13
3.5
방동사니과 = 사초과
Cyperaceae
13
3.5
현삼과
Scrophulariaceae
13
2.4
석죽과
Caryophyllaceae
9
2.4
명아주과
Chenopodiaceae
9
2.4
장미과
Rosaceae
9
2.1
가지과
Solanaceae
8

 

잡초의 학명

- 속명과 종명은 이탤릭체로 쓰는 것이 원칙이다.

- 라틴어로 쓰여지고 라틴어 발음으로 읽는다.

- 일반적으로 Linne가 제창한 이명법이 쓰인다. (삼명법 X)

- 속명, 종명, 명명자 순으로 표기한다. (명명자 생략 가능)

- ★★너도방동사니: Cyperus serotinus

- 알방동사니: Cyperus difformis

- ★★올챙이고랭이: Scirpus juncoides

- ★★올미: Sagittaria pygmaea

- ★★벗풀: Sagittaria trifolia

- ★★올방개: Eleocharis kuroguwai

- 물달개비: Monochoria vaginalis

- 강피: Echinichloa oryzicola

 

잡초의 분류

 

단자엽 잡초와 쌍자엽 잡초 비교

 
단자엽
쌍자엽
자엽
1매
2매
줄기
★산재유관속 관상경
개방유관속
★★★평행맥
그물맥, 익상맥
뿌리
★섬유근계 관근
직근계
생장점
★식물체 하단에 위치(중간 X)
★★식물체 위쪽에 위치
배유
있음
없음
예시
화본과
광엽잡초

- 잡초 분류방법 중 식물분류학적 분류: 계>문>강>목>과>속>종 (ex) 화본과잡초

- 잡초의 식물학적 분류에서 단자엽식물의 특성에 해당되는 것은 섬유근계

- '피'의 식물 분류학 위치: 피자식물, 외떡잎식물, 유관속식물, 화본과(벼과)

 

- 형태적 특성에 따른 분류: 화본과, 방동사니과, 광엽 (소엽류 X)

- 생활사에 따른 분류: 1년생, 2년생, 다년생

- 수습적응성에 따른 분류: 수생, 습생, 건생

- 발생지에 따른 분류: 경지, 목초지, 과수원, 비경지, 정원, 잔디밭

 

- ★1년생 화본과 잡초로 벼농사에 큰 피해를 주는 것은 피, 강피, 돌피 등 (1년생 화본과 논잡초 종류 고르기)

- ★★주로 간척지 다년생 우점잡초는 새섬매자기

- 땅콩 포장에 문제가 되는 잡초종: 강아지풀, 깨풀, 마디꽃, 쇠비름 (논잡초를 소거하고, 밭잡초를 고르면 된다)

- 유럽이 원산이며 논둑 등에서 자생하고, 종자와 지하경으로 번식하는 다년생 마디풀과 잡초는 애기수영

- 과수원, 비경지잡초: 망초, 닭의장풀, 참소리쟁이

- 잔디밭잡초: 클로버

- 주로 콩과 작물 및 목본식물에 기생하여 수분이나 양분 등을 탈취하는 잡초는 새삼

- 물피의 줄기는 벌어져 있으며, 이삭에 까락이 많다.

 

재배지 - 발생 잡초 - 분류학적 위치 매칭

- 밭, 메꽃, 메꽃과

- 논, 자귀풀, 콩과

- 논, 매자기, 방동사니과(=사초과)

- 논, 너도방동사니, 사초과(=방동사니과)

 

 

 

 

 

 

 

 

 

※ 주요 잡초 구분하기 ☛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음!!!!”

(5회 당 비어있는 별 하나☆ - 별 너무 많아서 따로 표기했음)

(논잡초/밭잡초, 1년생/다년생, 화본과/방동사니과/광엽잡초 구분)

 
 
1년생
2년생
다년생
화본과
= 볏과
★★★피, ★★강피, 물피, ★★★돌피, ★조개풀, 논둑외풀, 참새피
 
★나도겨풀, 드렁새
방동사니과
=사초과
★★알방동사니, 바람하늘지기, 바늘골, 나도방동사니
 
★★올챙이고랭이, ★물고랭이, ☆☆★★올방개, ★★★쇠털골, ★너도방동사니, ★★매자기, ★새섬매자기, 파대가리
기타
광엽잡초
☆☆★★물달개비, ★★물옥잠, ★가막사리, ★★여뀌, ★★여뀌바늘, ★자귀풀, ★★사마귀풀, 큰고추풀, 곡정초, 중대가리풀, 등에풀
★생이가래
★★★올미, ★★★벗풀, ★★★가래, 네가래, 수염가래꽃, ★★★개구리밥, 미나리, 애기수영, ★보풀
화본과
= 볏과
☆☆☆바랭이, ★★강아지풀, 미국개기장
☆★★뚝새풀,★메귀리, 새포아풀
참새피, 띠
방동사니과
=사초과
★★★참방동사니, 금방동사니
 
★향부자
기타
광엽잡초
☆☆★명아주, 흰명아주, ☆☆쇠비름, ★★개비름, 비름, 털비름, ★★깨풀, 마디꽃, ★★닭의장풀, ★밭뚝외풀, 환삼덩굴, ★어저귀, 별꽃아재비
☆망초, ★개망초, ☆★★★냉이, ☆★별꽃, 속속이풀, 꽃다지, 달맞이꽃, ☆벼룩나물, 황새냉이, 방가지똥(종종 2년생)
★쑥, 씀바귀, 민들레, 토끼풀, ★★★메꽃, ★★★쇠뜨기, 참소리쟁이, 미국자리공, 박주가리, 반하, 괭이밥, 질경이, 산달래

월년생 잡초

- ★2년생 잡초라고도 한다.

- ★로제트(rosette) 형태로 월동한다.

- ★주로 온대지역에서 볼 수 있는 잡초이다.

- ★월년생 잡초가 주로 발아하는 시기는 가을과 겨울 사이

- 동계1년생(월년생) 잡초의 주 발아시기는 가을

- (월동 이후에 화아분화하여 개화, 결실한 후 고사 X)

[참고] 월년생 잡초는 1년이상 생존하지만 2년 이상은 생존 못함

- 뚝새풀, 별꽃, 냉이, 벼룩나물, 달맞이꽃, 망초, 개망초, 속속이풀, 꽃다지 등

 

다년생 잡초

- 대부분 영양번식 기관이 있다.

- 게넷(Genet)으로 번식이 가능하다.

- 인경, 구경, 괴근 및 포복근 등의 재생력을 지닌 번식 기관이 있다.

- (X) 라멧은 휴면성과 다양한 유전자형을 구비하여 불리한 환경에서도 생존한다.

 

여름잡초 (주로 겨울잡초를 소거하여 찾는 방식 추천)

- 봄에 발생하여 여름에 피해가 많고 가을에 결실하는 것

- 1년생 여름잡초: 피, 돌피, ★★★명아주, ☆★바랭이, ★★비름, ★★쇠비름, 개비름, ☆깨풀, 별꽃아재비, ★★★강아지풀, ★★참방동사니, ★여뀌, ★물달개비

- 다년생 여름잡초: ★민들레, ★애기메꽃, 나도겨풀, 메꽃, 엉겅퀴

- 여름형 일년생 잡초로 3~4월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5월부터 성기를 이루는 하계 1년생 밭 잡초는 명아주

- 여름 작물의 밭에 발생하는 우점초종은 깨풀

- 여름에 발생하는 화본과 밭잡초는 강아지풀, 바랭이(화본과, 밭잡초 고르고 나서 겨울잡초 제외하기)

겨울잡초 (必암기)

- 가을에 발생하여 월동 후에 결실하는 잡초

- 9~10월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월동 전에 생육기를 보내는 잡초

- 봄에 피해가 많으며 늦봄과 초여름에 결실하는 것

- 1년생 겨울잡초: ★★★냉이, ☆별꽃, ☆★벼룩나물, ★★★뚝새풀

- 때로는 1년 이상: 벼룩이자리, ★속속이풀, 개양개비

- 다년생 겨울잡초: 갈퀴덩굴, 점나도나물, ★쑥, 반하, 할미꽃

- 봄에 보리밭에서는 냉이, 뚝새풀, 벼룩나물, 별꽃 등이 우점한다.

- (X) 맥류 포장에서 월동 후보다 월동 전의 잡초 피해가 더 크다.

- (X) 겨울 작물 포장에서 잡초는 서리가 내리기 직전에 발생량이 최대이다.

- (X) 알방동사니, 밭뚝외풀, 곡정초, 물별, 쇠털골

 

기타 분류

- 부유성 잡초: ★생이가래, 개구리밥, 좀개구리밥, 가래, 부레옥잠

- 외래(귀화)잡초: 개망초, ★단풍잎돼지풀, 미국자리공, 미국개기장, 서양민들레, 미국가막사리 등

- 주로 밭에만 발생하는 잡초는 쇠비름

 

화본과 = 볏과

- ★작물재배지에서 발생하는 문제잡초종들을 식물분류학적 분포로 볼 때 가장 점유율이 높은 것은 화본과

[참고] 화본과 잡초는 C4식물로 광합성 효율이 높아 C3작물보다 생육이 왕성하다.

- 우리나라 논에서 많이 발생하는 화본과 잡초는 강피

- ★★★벼와 의 주된 형태적 차이점은 벼에만 잎혀(엽설)와 잎귀(엽이)가 있는 것 (피에는 없는 것)

-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는 잡초 종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며, 잎집과 잎몸의 이음새에는 막이 있고, 털이 밖으로 생장한 모습의 잎혀가 있으며 잎맥이 평행한 특성을 가진 것은 화본과

 

방동사니과 = 사초과

- 줄기가 삼각형이다.

- 줄기는 직립하며 굵다.

- (X) 잎이 좁고 능선이 없다.

- (X) 엽이가 있다.

- (X) 잎은 엽신과 엽초로 구분되어 있다.

- 논에 발생하는 다년생 사초과 잡초가 아닌 것은 미나리

 

광엽잡초

- 광엽잡초는 잎이 넓고 크며 잎맥이 그물처럼 된 것이 특징이다.

(화본과나 방동사니과에 속하지 않는 잡초 총칭)

- 택사과: 벗풀, 보풀, 쇠귀나물, 택사 등

 

기타 잡초각론

가래

- 종자보다 근경으로 번식한다.

- 잎을 물위에 띄우는 부유성 다년생잡초이다.

- 지하경을 내고 분지신장을 하며 옆으로 뻗어가며 생육한다.

- 학명은 Potamogeton distinctus A. BENN이다.

 

밭작물과 잡초

- 논보리에서는 뚝새풀이 우점하고 밭보리에서는 광엽잡초가 우점한다.

- 옥수수는 초장이 크고 광합성 효율이 높아 잡초에 대한 경합력이 비교적 강하다.

- 맥류 사이에서 잡초에 대한 경합력은 밀보다 보리가 강하나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은 보리보다 밀이 강한 편이다.

- 두류의 경우 맥후작보다 단작을 할 경우 생육기간이 길어 제초 노력이 많이 든다.

 

 

잡초의 생리생태

잡초의 생장형

- ★직립형: 명아주, 가막사리, 쑥부쟁이 (사마귀풀 X)

- ★총생형: 둑새풀, 억새

- ★만경형: 메꽃, 환삼덩굴 거지덩굴

- ★로제트형: 민들레, 질경이

- 위로제트형: 개망초

- 위로제트형+포복형: 꽃마리, 꽃바지

- 로제트+포복형: 좀슴바귀

- 분지경+포복형: 올미

- 분지형: 광대나물, 애기땅빈대, 석류풀

- 포복형: 선피막이

 

토양 환경과 잡초의 출현

- 종자가 무거울수록 발생심도가 깊다.

- 토양이 과습하면 출현율이 낮아진다.

- 토양이 건조하면 출아율이 낮아진다.

- 사질토는 중점토보다 발생심도가 깊다.

 

 

 

잡초 종자의 특징

<p id="SE-c4a1b25e-9be2-4fc8-adae-38fcf7e7a7bd"
반응형